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직업성 경견완 장애의 사회적 호명과 젠더

        김향수(Kim, Hyang-Soo)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직업성 경견완 장애와 관련한 각 주체들의 담론이 어떻게 생성되고 경쟁하고 있는지 비판적 담론분석 시각에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까지 직업병으로 경견완 장애에 관해 다룬 기사와 문헌들을 분석 자료로 삼았다. 1990년대 직업병으로 경견완 장애는 ‘여성의 직업병’, ‘첨단병’, ‘선진국병’이라는 사회적 호명을 얻었다. ‘여성의 직업병’ 호명은 제조업과 사무직 여성 노동자의 직업병을 일컬으며 여성의 직업병을 문제화하는데 사용된 사회운동 담론이다. ‘첨단병’ 호명은 사무직 중 단말기 사용 (여성) 노동자의 직업병을 일컬으며 여성의 직업건강에서 ‘미래사회의 불안’을 드러내는데 사용된 미디어 담론이다. ‘선진국병’ 호명은 한국통신 여성 전화교환원의 직업병을 일컬으며 여성들을 ‘선진국 진입과 국가 발전의 기표이자 피해자’이며 ‘후진적’ 산업안전보건 시스템의 문제로 규정한 정치 담론이다. 세 번의 다른 호명으로 젠더 문제를 비롯한 사회적 맥락은 비가시화되었고 여성들은 피해자로 규정되었다. 본 논문은 여성의 직업건강을 다루는 과정에서 구부러진 빛을 살펴봄으로서, 노동조합과 사회운동, 국가 등 행위자들의 실천을 통해 직업병 문제를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과정에서 젠더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에 일정한 단초를 제공한다. Cervico-omo-brachial syndrome, emerged in the 1990s as occupational disease, acquired social appellation as ‘women’s occupational disease,’ ‘state-of-the-art disease,’ and ‘developed country disease.’ The first appellation, women’s occupational disease, referred to female occupational disease among manufacturing industry and office workers; its discourse, emerged as social movement discourse, was mobilized to problematize women’s occupational disease. The second, state-of-the-art disease, referred to female occupational disease among office workers, in particular those who worked with Visual Display Terminal; its discourse, emerged as media discourse, relied on women’s occupational health to reveal ‘the anxieties of the future society.’ The third, developed country disease, specifically referred to the telephone operators of Korea Telecom; its discourse, emerged as political discourse, claimed women as ‘signifiant and victims of the entry to the developed country and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disease as a matter of ‘underdevelop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 These three differing appellations blinded the social context of the disease, its gendered nature in particular, and stigmatized female sufferers as major victims. This article looks at the diffracted dimension of how the society deals with women’s occupational health. In so doing, it seeks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occupational disease through the practice of related actors, including labor union, social movements, and the state; it further sheds light on incorporating gender perspective to this process.

      • KCI등재

        만성통증 질병서사의 서사유형과 사회적 고통

        김향수(Hyang-Soo,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본 연구는 만성통증 질병서사를 분석하여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내면 세계, 즉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에 동의한 25명의서사면접을 수행하였고, 이야기꾼인 화자 6명의 생애 이야기를 서사분석하였다. 전체 인터뷰 자료는현상학적 분석으로 만성통증 경험이 구성되는 사회적 맥락 분석의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서사구성방식에 따라 인정, 치료, 조정이라는 3가지 서사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정의 서사는 통증의 비가시성과 불가해함으로 인해 겪는 불신과 곤경 그리고 의료진, 가족과 친구라는 친밀한 관계에서마저 이해받지 못한 존재로 살아가는 사회적 고통과, 신체적 고통과 환자로서 자신을 인정받기 위해방어하는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드러난다. 만성통증을 향한 불신은 의료적 만남에서 의심, 짜증, 낙담등을 낳아 치유실천을 방해한다. 둘째, 치료의 서사는 통증의 만성성, 치료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완치되지 않는 여전히 아픈 몸을 환자 개인의 실패와 잘못으로 여기는 사회적 고통과, 계속 치료실천을 이어가는 투병하는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나타난다. 통증이 악화될 때마다, 치료 정보와 자원을 모으고 비교하며 합리적 의료소비자로 갈등을 경험한다. 셋째, 조정의 서사는 통증의 불예측성과 통제불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인습적 기대에 맞추어 더 아파진 나, 건강관리의 개인적 책임과 생산성있는 몸을이상화한 사회가 주조한 낙인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과, 육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와 자아정체성을 협상하는 성찰적 자아가 서사적 자아로 등장한다. 보건의료의 대중적, 민간, 전문가 영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치유실천을 이어간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고통과 그협상을 통해 아픈 개인의 경험이 사회구조와 규범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와 둘째, 방법론적으로 질병에대한 자기 이해와 현재 치유실천과 관계를 규명하며 질병서사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hospital in Seoul. The topics analyzed are narrative structure of illness narrative which consists of recognition, treatment, and adjustment.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is about myself with an inscrutable chronic pain. The main themes are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the depiction of their intense pain, the difficult communicability of chronic pain and loneliness. In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the narrative self is defending their chronic pain against distrust. The narrative of treatment is about myself who is after repeated treatment, still sick. The experience of gathering hospital information, receiving treatment and seeking better treatment due to uncertainty of treatment becomes the central plot of the story, but the conclusion ends with continuously having with chronic pain, not fully recovered. In the narrative of treatment, the narrative-self is to overcome their own chronic pain. The narrative of adjustment is about negotiating their social role and expectation. Chronic pain is related to women’s social role and expectation an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women who are preoccupied by fulfilling their family member’s requirements and needs as the daughter, wife, mother and daughter-in law. In narrative of adjustment, the narrative self reflects their chronic pain and life.

      • KCI등재

        후기 중년 남성의 우울 영향 요인

        김향수,Kim, Hyang-Soo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후기 중년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로 2018년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124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연구결과, 후기 중년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직업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가족유대감, 노후 생활의 불안정도, 학력(고등학교 졸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70.8%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기 중년 남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와 가족 간의 유대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다가오는 노후생활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고 프로그램 개발 시 학력별 차이를 감안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우울에 취약한 대상자의 대처 기능을 좀 더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show the basis for program development to relieve depression by finding what factors influence depression of late middle-aged men. This research is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124 people and the primary data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Early and Late Middle-aged Men> from 2018.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late middle-aged men are job stress, family bond, anxiety in later lif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ith 70.8% of the total explanatory power. Therefore, it will be needed ways to strengthen positive coping skills for job stress & family bonds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relieve depression of late middle-aged m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ping skills of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depression through customized programs considering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when developing programs.

      • KCI등재

        만성요통 여성노인에서의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 효과

        김향수(Kim, Hyang Soo),박연숙(Park, Yeon Suk),희경(Kim, Hee Kyung),이정숙(Lee, Jeong Sook),신은희(Shin, Eun Hee)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4

        본 연구는 만성요통 여성노인에게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요통의 경감과 일상생활 기능장애개선, 유연성 증가, 균형능력 향상, 요실금 정도 감소, 질 수축력과 지속 시간의 효과를 검증하여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써 D광역시에 거주하고 D,S,J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노인 중 허리통증을 주 증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된 자,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 총 54명를 대상으로 2012년 5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총 3개월 동안 자료 수집하였다. 서술적 통계, χ2-test와 Fisher's exact tes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간안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현재의통증(t=-6.614, p<.001), 가장 심할 때 통증(t=-6.246, p<.001), 일상생활 기능장애(t=-9.335, p<.001), 요실금의 정도(t=-5.377,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균형 중 동적균형인 2.45m 왕복걷기(t=-2.393, p=.020)와 일직선 보행(t=-2.729, p=.009)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소요 시간이 줄어들었다. 유연성(t=5.748, p<.001), 균형 중 정적균형인 눈감고 외발서기(t=3.241, p=.002), 최대 질 수축력(t=5.253, p<.001), 평균 질 수축력(t=4.891, p<.001), 질 수축 지속시간(t=3.120, p=.004)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요통 경감과 일상생활 기능장애 개선, 유연성 증가, 부분적인 균형능력의 향상, 요실금 정도의 감소, 최대 및 평균 질 수축력 증가와 질 수축 지속시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만성요통 대상자의 통증, 기능장애, 유연성 감소와 같은 신체적 문제를 개선시키고 균형능력의 향상을 통해 낙상예방 및 요실금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emale seniors in age of 65 or higher using D, J and S welfare centers in D metropolitan city having low back pains as main symptoms for 6 months or longer are randomly selected. The total number of the sample was 54 people, with 27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decreased significantly current low back pain(F=31.851, p<.001), the worst low back pain(t=-6.246, p<.001), the disability(F=77.635, p<.001), timed up and go test(t=-2.393, p=.020),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t=-5.377, p<.001) and increased significantly the flexibility(F=25.434, p<.001),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open(F=8.023, p=.007), the maximum(t=5.253, p<.001) and mean(t=4.891, p<.001)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ddition, the change of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p=.00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egree of chronic low back pain,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disability index of elderly women who had chronic low back pain decreased, and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positively change with the decline of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through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 KCI등재

        자녀의 질환에 대한 모성 비난과 ‘아토피 엄마’의 경험

        김향수(Kim, Hyang-Soo),배은경(Bae, Eun-Kyung) 한국여성연구소 2013 페미니즘 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한국 사회에 새로운 여성 주체로 등장한 ‘아토피 엄마’의 경험을 통해, 자녀의 질환을 빌미로 여성들에게 쏟아지는 모성 비난의 사회적 구성과 젠더 규범의 현실적 작동 분석한다. 아토피 환아인 자녀를 키우는 여성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그녀들이 모성 비난을 실제로 어떻게 경험하는지 드러내고, 이 경험이 비가시화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살펴본다. 아토피 자녀를 둔 여성들은 모성 비난의 수용과 저항 사이에서 어머니로서 투쟁을 지속하고 있지만, 이러한 협상과 저항의 경험이나 대항서사는 기존의 공론장 안에서 포착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토피 자녀를 둔 여성에 대한 모성 비난과 이것의 비가시화는 기존의 불평등한 젠더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한국의 ‘아토피 엄마’들은 자녀 질환에 대한 모성비난을 경험하고 이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속도전으로서의 어머니 노릇을 수행하며, 이런 과정에서 여성들의 돌봄 책임과 가족관계에서의 성별권력관계는 재강화된다. 여성의 발언과 사회적 활동이 통제되는 모습도 드러난다. 이러한 ‘아토피 엄마’들의 경험은 한국 사회 모성을 둘러싼 젠더 규범의 억압적 성격과 그것의 재생산 기제를 대단히 분명하게 드러내 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thering experience of caring thei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examines the mother-blame and the gender politics. Mother-blame on women raising children with atopy is located in the intersection between disease characteristics of atopy and the gendered parenting responsibility in Korean context. Far from accepting the mother-blame unilaterally, women have a child with atopy continue to struggle against it through ‘acceptance and resistance’, Despite of various struggles of women, the negotiation, resistance, and counter-narration against the mother-blame is not contained in an existing discourse. The mother-blame on the women having a child with atopy and its invisibility can trigger to strengthen the existing unequal gender relationship. First, women have taken to maximize and internalize the role of mother. Second, mother-blame reinforces mother’s care responsibility. Third, mother-blame undermines the capacity of mother in the family relationship, Fourth, mother-blame controls voices and activities of women to the society. It makes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at effect a health of the children and mothers invisible and hinders in searching of socially improve these situation. Engag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topy and the social structure of mothering in Korean context, the mother-blame is ever more strengthened and internalized, which in turn reinforces the oppressive nature of gender norm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질병서사에 나타난 만성통증 은유: 질병경험, 자아 그리고 아픈 나의 삶을 중심으로

        김향수(KIM Hyang-S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이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한국 성인의 질병서사에 나타난 은유를 분석하여,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이 자신의 질병 경험, 자아 그리고 아픈 나의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성통증을 지닌 남성과 여성 25명을 서사 면접법으로 인터뷰하여, 이들의 질병서사에서 드러난 다양한 은유를 살펴보았다. “이따이이따이”는 통증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해 자신의 몸의 고통을 타인과 공유할 수 없는 채 서서히 죽어가는 두려움에 관한 비유이다. “귀신이 붙었나”는 원인 모를 극심한 통증의 고통 뿐 아니라 통증의 불가해함을 영적ㆍ초월적 존재로 설명하는 비유이다. 두 비유는 통증이 신체적 감각에 그치지 않고 모호성과 역설이 가득찬 경험임을 드러낸다. 만성통증을 수용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통증을 “절교하고픈 친구”라 명명하며 친밀한 존재로 동맹을 맺거나, “업보”라고 체념하며 수용하거나, “영광의 상처”라는 성취의 결과로 긍정적으로 의미화하기도 한다. “절교하고픈 친구”는 통증을 내가 아닌 외부적 존재로 여기지만, “업보”와 “영광의 상처”는 자신의 삶에서 통증의 원인을 찾는 것이다. 이 비유들은 통증을 지닌 존재로서의 자기-이해의 시도이자 불가해한 통증을 타인에게 설명하고 전달하기 위해 개발해낸 자기 나름의 언어들이다. 통증의 원인, 만성성의 수용, 아픈 나의 삶에 관한 은유는 질병에 관한 문화적 담론들 속에 화자가 자신의 체현된 경험을 해석하며 대항 담론을 어떻게 구축하는지를 드러낸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taphors of chronic pain used in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s with chronic pain. Study data are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of 19 women and 6 men. The process of dying slowly without understanding or treating the pain was referred to by interviewees as “Itai-itai disease”. The phrase, “the ghost is pulling” refers to intense pain that cannot be expressed. When the sufferer refers to the illness as “a friend who wants to break with”, he means that he is prepared to embrace chronicity, so that the pain becomes as a friend with whom he develops a close relationship. “Karma” refers to the acceptance of chronic pain from a past life. In the Christian ethic, pilgrimages represent the process of finding self and truth in sorrow, whereas karma is the process of suffering because of one’s own mistakes. For the patient, the pain may be borne as a “wound of honor”, that is, as reward for the suffering; the pain is so intense that resembles a physical injury. Unbearable pain is thus expressed through idioms and metaphors in Korean illness narrative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김향수(Kim, Hyang Soo),희경(Kim, Hee Kyung),박연숙(Park, Yeon Suk)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로 신설된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술적 연구로써 D시, C도 G시, C도 C시, K도 O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원 3곳, 재가복지센터 3곳, 요양병원 3곳의 요양보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12일에서 4주 동안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평균연령은 48.1세, 대다수 여성(95.1%)이며, 기혼자로서 배우자가 있고(79.5%),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76.8%)가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 정도는 평균점수 3.68점, 소명의식 3.41점, 외적 통제위 성격 3.23점으로 보통 이상이며, 내적 통제위 성격은 4.12점으로 내적 통제위 성격이 강한 것으로, 교육훈련 유효성은 3.71점, 직업의식은 3.97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식과 관련 요인들의 관계에서, 직업의식과 내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정 상관관계(r=.378, p=.000)를, 외적 통제위 성격은 낮은 역 상관관계(r=-.356, p=.000), 자기효능(r=.420, p=.000), 소명의식(r=.636, p=.000), 교육훈련 유효성(r=.441, p=.000)은 보통 정도의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명의식(B=.329, p=.000)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유효성(B=.250, p=.000), 내적 통제위 성격(B=.216, p=.000), 외적 통제위 성격(B=-.165, p=.002), 요양보호사 선택시 자기 특성 고려(B=.207, p=.004)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57.5%로 나타났다. 추후 요양보호사에게 소명의식 제고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내적 통제위 성격 강화훈련,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업무를 정확히 규명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요인들을 활용하여 직업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basis data to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in order to raise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grasping influence factor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about 185 long-term care workers at D megalopolis and 4 cities of 3 provinc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correlated factor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ncluded self-efficacy(r=.420, p=.000), sense of the calling(r=.636, p=.000), education training effectiveness(r=.441, p=.000), internal locus control(r=.378, p=.000), and external locus control(r=-.356, p=.000). Factors influencing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them were to show in order of sense of the calling(B=.329, p=.000), education training effectiveness(B=.250, p=.000), internal locus control(B=.216, p=.000), external locus control (B=-.165, p=.002), consideration and opplicable job choose characteristic(B=.207, p=.004),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7.5% of the variance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Further research needs to develop well organized educational program, training of enhancing internal locus control, and clear examination about roles and tasks of long-term care workers. Also, it suggests education and research that can enhance professional consciousness by utilizing these factors.

      • KCI등재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향수(Hyang-Soo Kim)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 월경곤란증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월경곤란증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 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11 월 11일~12월 9일 총 4주 동안 총 16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곤란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20, p<.001), 우울(r=.459, p<.001), 수면장애(r=.429,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면장애,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29.3%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면의 질을 높이고 우울은 감소시키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낮추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provide the basis of program development for further dysmenorrhea relief by looking into identify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and dysmenorrhe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We collected 160 data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J university. The study period lasted four weeks, going from Nov 11 to Dec 9. The correlated factors of dysmenorrhea included perceived stress(r=.420, p<.001), depression(r=.459, p<.001), sleep disturbance(r=.429, p<.001). The prevalent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are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perceived stress.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find ways and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lieve perceived stress, reduce depression and enhance the sleep quality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dysmenorrhea relief.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