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데올로기의 수사학과 유토피아의 시학

        김한식(Hansik KIM),장수민(Sumin JANG)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82 No.-

        Notre étude a pour but d éclaircir le conflit des interprétations autour d Antigone de Sophocle, tragédie qui n a pas cessé d inspirer les créateurs (Garnier, Rotrou, Racine, Alfieri, Ballanche, Anouilh, Brecht....). Nombreux sont en effet les philosophes et critiques (Hegel, Heidegger, Lacan, Ricoeur, Mills, Irigaray, Butler....) qui ont essayé d interpréter les actions des héros de cette tragédie. Les ré-écritures et les polémiques violentes qu a fait naître Antigone de Sophocle semblent témoigner donc de l inépuisable, le potentiel, l inachevé d une oeuvre classique. On pourrait parler du fond agnostique de l épreuve humaine , où s affrontent sans cesse l homme et la femme, la société et l individu, les vivants et les morts. Si nous confrontons les deux variations imaginatives du texte ―Antigone de Brecht et Antigone d Anouilh―, c est surtout dans la perspective de l imginaire social : il s agit de la notion d idéologie et celle d utopie, deux types d imaginaire social, selon Paul Ricoeur. Ces deux Antigones nous montrent une tension dialectique, chacun à sa manière, entre l idéologie et l utopie. Il faut dire ici que l idéologie a la fonction négative de dissimulation et de déformation, mais aussi la fonction positive, celle d intégration. À l inverse, l utopie s oppose à l idéologie dans sa fonction de libération et de subversion totale.

      • KCI등재

        허구, 미메시스, 그리고 문학

        김한식(Hansik KIM)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1

        사전적으로는 “현실에서는 완전한 모델을 갖지 않는 상상력의 산물” 또는 “현실을 은폐하거나 꾸밀 목적으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구성된 상상적 구조물”로 정의되는 허구는 흔히 물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사실이 아닌 ‘지어낸’ 것, 그래서 진실과는 거리가 먼 거짓이나 모방, 가장, 흉내, 놈이, 환상 등의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렇다면 허구와 현실과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할 수 있으며, 왜 우리는 허구를 필요로 하는가? 허구 세계는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실 세계와는 다르지만 어쨌든 하나의 세계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그 세계가 과연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며 어떻게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말하기 어렵다. 이처럼 허구는 현실과 관련하여 사실 또는 실재 개념을 불러오고 이는 모방 또는 재현으로서의 미메시스라는, 문학과 예술 그리고 현실이 맺는 관계에 대한 성찰로 우리를 이끌어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논 사실과 허구의 경계와 관련된 역사와 허구의 교차, 텍스트 세계의 존재론적 위상 등의 문제를 생각해보고, 인지과학적 관점에서는 이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최근의 연구 경향을 소개함으로써 학제간 연구의 지형도를 그려볼 것이다. 허구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그와 연계된 개념들, 즉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메타버스 등의 개념을 탈-신비화하고 그 유효성과 한계를 성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무엇보다 허구 이야기로서의 문학이 갖는 보편성과 근원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Définie comme “produit de l'imagination qui n'a pas de modèle complet dans la réalité”, la fiction est souvent considérée comme mensonge, dissimulation, imitation ou feintise ludique qui se trouve aux antipodes du réel et de la vérité. Il n'en est pas moins vrai qu'elle nous affecte et influence si profondément, d'une manière ou d'autre, que nous nous perdons parfois à la frontière de la fiction et le réel. Quel lien pourrait-on établir entre la fiction et le réel? quels sont le statut ontologique et la fonction de la fiction par rapport au réel? En partant d'une approche centrée sur la fiction littéraire, nous nous interrogeons sur la possibilité d'élargir notre problématique, non seulement dans une domaine littéraire, mais aussi philosophique et cognitive, pour dessiner une géographie des recherches actuelles de la fiction dans une perspective interdisciplinaire. Ces reflexions nous permettront d'évaluer et d'attester, à la croisée du réel et de la fiction, la puissance de la littérature, qui pourrait nous former et transformer.

      • KCI등재

        위계의 내부와 담론의 바깥 - 서정인의 『달궁』 연구 -

        김한식 ( Kim Hansik ) 겨레어문학회 2021 겨레어문학 Vol.67 No.-

        『달궁』은 발표 초기부터 독특한 형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형식적 특징에 쏠린 관심에 비추어 볼 때 정작 이 소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는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사와 인물 그리고 주제 등에 주목하여 『달궁』을 살펴보았다. 『달궁』은 주인공의 불행한 삶의 추적과 그녀가 살아가면서 만났던 인물들에 관한 탐구를 동시에 수행한다. 첫 번째 흐름을 따르면 이 소설은 여인의 고난을 다룬 전기적 서사로 읽힌다. 두 번째 흐름을 따르면 이 소설은 하나의 지배적인 목소리가 아닌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우리 사회를 재현하는 작품이다. 두 가지 서사를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 탐구와 하위층은 영원히 패배할 수밖에 없는 지배 담론에 대한 비판이다. 위계질서가 흔히 말하는 능력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 그것이 계급사회의 기초라는 점이 비판의 핵심이다. 이 능력에 따른 위계질서라는 관념은 계급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이념적 기반이다. 따라서 하위층의 저항은 현재와 다른 담론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소설은 그러한 담론의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복잡한 형식을 통해 새로운 소설을 지향했음에도 이 소설은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꾼다는 점에서 1980년대 우리 소설의 상상력과 그리 멀리 있지 않다. 비록 주인공 인실의 삶이 비극적으로 끝나긴 했지만, 그가 보여준 새로운 세계를 향한 바람마저 의미 없지는 않다. 현재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이 그쪽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더욱 그러하다. “Dalgung” carries out the pursuit of the protagonist's unhappy life and the exploration of the people she met during her life. Following the first story, the novel is read as a traditional narrative dealing with a woman's suffering. Following the second story, this novel reproduces our society through various voices rather than one dominant voice. The subject of this novel is an exploration of the Korean social hierarchy and a critique of the dominant discourse in which the lower classes are bound to be defeated forever. The core of the criticism is that hierarchies are determined by what is often called competence, and that it is the basis of our society. The notion of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this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ideological foundation that supports our society. The resistance of the lower classes must be made through a different discourse than the present. This novel speaks of the necessity of such a discourse. Although the novel aims for a new novel through various formal experiments, it is not far from the imagination of our novels in the 1980s in that it dreams of a utopia. Although Insil’s life ended in tragedy, the desire for a new world her showed is not without meaning. It is even more so when we consider that is the direction we need to go now.

      • KCI등재

        노인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 방안 연구

        김한식 ( Kim Hans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상호문교육콘텐츠로서 노인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찾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다문화교육 관련 전문가 11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노인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콘텐츠의 방안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의 일상 속에서 노인의 눈높이에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생활공감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둘째,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접촉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체험-참여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셋째, 노인들의 다문화적 인성과 가치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 장으로서 사회환원형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안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상호문화교육콘텐츠의 세 가지 방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then found a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I analyzed the literature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n the in-depth interviews of 11 exper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ree ways of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a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follows: First, it proposed a sympathetic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understandable at eye level of the elderly in everyday life of the community. Second, it proposed a participatory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that provides continuously an opportunity for positive contact with the multicultural situation. Third, it proposed a community don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s a means by which the elderly can realize the multicultural society values. In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hree ways to the field of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 and to research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상징과 은유의 해석에 대하여 -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김한식 ( Kim Hansik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2 No.-

        리쾨르의 해석학이 상징과 신화, 은유, 이야기 등 문학적인 기호나 형식들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것이 문학언어 특유의 겹뜻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리쾨르의 해석학에서 문학 언어의 의미 문제를 철학적 반성과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악의 상징 에서 악에 대한 직접 의식과 표현은 불가능하며 인류의 위대한 문명이 낳은 상징들의 해석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드러난다는 해석학적 전회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해석이론』과 『살아있는 은유』에서 언어학적 전회를 거치면서 리쾨르는 영미 화용론의 입장을 받아들여 낱말 차원이 아닌 주부와 술부의 관계에서 새로운 의미생산의 근거를 찾고, 이를 통해 문학 언어의 다중의미 또는 모호성은 정서적이고 장식적인 기능을 넘어 의미론적인 혁신을 통해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하고 나아가 우리의 삶과 존재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우리는 리쾨르의 상징 해석학에서 말하는 상징이란 무엇이며 그 의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은유의 해석학에서 넘치는 의미는 의미론 차원에서 어떻게 생산되며 그러한 의미론적 혁신은 인식론적이고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어떤 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상징과 은유를 잇는 고리와 관련하여 리쾨르의 은유론은 상징론을 넘어서면서 상징론으로 은유론을 보완한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으로 은유는 상징이 갖고 있는 비언어적 의미를 의미론적 혁신 개념으로 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상징을 넘어선다고 말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은유는 상징이 가진 힘을 언어로 다 풀어낼 수 없기 때문에 상징에 미치지 못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은유와 상징을 잇는 보다 확장된 은유 이론으로 상징 이론을 감쌀 수 있다는 것이 논문의 결론이다. L'herméneutique de Paul Ricoeur s'intéresse en particulier aux formes littéraires, telles que le symbole, le mythe, la métaphore et le récit, dans la mesure où elles montrent par excellence le double sens ou le surplus de sens, caractéristique de la langue littéraire. Déjà, dans son Symbolique du mal, Ricoeur conclut que le Mal peut être atteint, non par la voie courte de la conscience directe, mais par la voie longue de l'interprétation des symboles ou les mythes, C'est ainsi qu'il distingue les différents types de symboles et les mythes du Mal. Il s'agit d'un tournant herméneutique pour relier l'herméneutique du symbole à la réflexion philosophique : le symbole donne à penser. Ricoeur met en question dans De l'interprétation et Le conflit des interprétations “l'immédiateté, la transparence, l'apodicticité” du Cogito cartésien et affirme que le sujet ne se connaît qu'à travers les signes déposés dans sa mémoire et son imaginaire par les grandes cultures, à savoir que par le détour du langage symbolique. Il rencontre alors la problématique de l'innovation sémantique, qu'il essaie de résoudre dans la Métaphore vive et Interpretation theory. Au niveau de la phrase, c'est la prédication impertinente de la métaphore qui produit le surplus de sens grâce à une tension sémantique entre le sens littéral et le sens figuré. Il s'agit alors de la dialectique d'être et de ne pas être, celle de voir-comme et d'être-comme. C'est cette dialectique qui conduit à la fonction heuristique de la métaphore et à la véhémence ontologique de la métaphore vive, une fonction qui nous fait découvrir au-delà de la quotidienneté le vrai réel. Nous avons essayé alors de retrouver la chaîne perdue entre l'herméneutique du symbole et celle de la métaphore : la théorie ricoeurienne de la métaphore, concentrée sur la notion d'innovation sémantique, renforce au niveau linguistique la théorie du symbole, tandis que le moment non-linguistique du symbole donne à la métaphore la force symbolique et matérielle.

      • KCI등재

        욕망의 의미론과 이야기의 시학 -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하여

        김한식 ( Hansik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7

        “삶이란 해석되지 않는 한 생물학적 현상에 지나지 않는다.” La psychanalyse de Freud explique la vie psychique de l`homme et le sens de l`action humaine en termes de pulsion ou de desir. Ricoeur declare cependant dans son De l`interpretation, une interpretation philosophique sur la psychanalyse de Freud, que le dicours freudien se donne comme ≪un discours mixte, qui articule des questions de sens (sens du reve, du symptome, de la culture, etc.) et des questions de force (investissement, bilan economique, conflit, refoulement, etc.)≫ : le desir humain y est considere, tant qu`il parle quelque chose a quelqu`un sur quelque chose, non seulement comme une force, mais aussi comme un discours. C`est dans cette perspective que nous remarquons les histoires de cas . des recits de reve aux recits litteraires en passant par les contes populaires ou les mythes . sur lesquelles la psychanalyse travaille. Ce sont pour ainsi dire des recits symboliques elabores par le desir pour se montrer ou se masquer. Il faut alors l`interpretation du recit pour mettre en lumiere les racines enfouies dans ce desir obscur. C`est dans ce sens que Ricoeur affirme, dans son Conflit des interpretations, qu`≪il n`y a ni faits, ni observations de faits en psychanalyse, mais l`interpretation d`une histoire≫. Cette constatation nous amene a introduire l`hermeneutique du recit de Ricoeur pour mieux comprendre le fonctionnement du recit dans la psychanalyse de Freud. De meme que le recit de reve represente le desir refoule par le travail du reve, le recit litteraire configure la realite historique ou fictive par l`imagination creatrice. Bien que la litterature se differe fondamentalement du reve en ceci qu`elle se presente comme un jeu et un enjeu de la conscience, elle est comme un reve, dirait-on, en ce sens qu`elle revele la realite en la dissimulant. Ainsi s`etablit un lien etroit entre la psychanalyse et l`hermeneutique, ou pour mieux dire, la therapeutique de la psychanlyse et la comprehension du soi de l`hermeneutique. Nous avons recours alors a l`analyse semantique des deux types du recit, l`un recit de reve, l`autre recit litteraire―L`homme aux loups de Freud et OEdipe le roi de Sophocle―pour eclairer la validite et la limite de l`interpretation psychanalytique du recit. Enfin, l`interpretation psychanalytique se donne pour but de faire apparaitre la verite du desir a travers le retour en arriere qui vise a atteindre l`origine du desir, alors que l`interpretation teleologique essaie de devoiler le desir d`etre de l`homme pour frayer le chemin vers l`avenir et l`histoire. Mettre dans une dialectique ces deux voies du symbole, ouvertes par la conscience et l`inconscience, c`est mettre en avant le ≪sujet humble≫ en admettant la limite du cogito cartesien. Freud lui-meme insiste sur cette dialectique de l`archelogie et la teleologie : ≪Ou Ca etait, Je dois devenir.≫ Ceci dit, l`etude de Ricoeur qui examine la validite et la limite de la psychanalyse a travers le conflit des interpretations entre l`hermeneutique de la confiance et celle du soupcon se donne, loin d`etre une exegese ou une critique, comme un travail visant a porter secours au cogito humilie.

      • KCI등재

        문학텍스트의 의미론적 혁신과 은유적 진리

        김한식 ( Kim Hansik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50 No.-

        폴 리쾨르의 해석학에 문학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그가 전통적으로 문학연구의 대상이었던 상징과 은유 그리고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철학적 성찰을 펼쳤기 때문이다. 리쾨르는 하이데거의 이해의 존재론과 가다머의 언어철학을 받아들이면서 기호, 상징, 텍스트의 의미론을 거쳐 존재론과 윤리로 나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언어의 의미 물음을 주체 물음과 연결시켜 텍스트 이해를 통한 자기 이해를 주장하고 이를 실존의 문제와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문학 텍스트 특유의 구조는 ‘의미론적 혁신’이라는 현상을 통해 언어의 창조성, 즉 다양한 의미생성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현실을 다시 묘사하고 기술한다는 점이다. 이야기를 통해 현실을 재현하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은유적 전환을 통해 현실을 다시 구조화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 해석학의 중심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 개념을 발전시킨 ‘삼중의 미메시스’ 개념이 있고, ‘의미론적 혁신’도 그런 해석학적 순환 과정 속에서 일어난다. 그렇다면 한 개인의 독특한 경험이 만들어낸 독특한 작품이 어떻게 익명의 독자나 관객에게도 소통 가능한 보편적 의미를 갖게 되는가? 미적 경험의 보편성과 관련된 이런 물음에 대해 리쾨르는 예술작품의 의미론적 혁신에 따른 ‘도상적 증대’ 개념을 도입한다. 즉, 예술가는 자신의 독특한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독특한 ‘물음’이라는 형식에 자신의 경험을 합치시킴으로써 ‘소통가능성’을 얻게 되며, 그때 소통되는 것은 예술작품 특유의 체험으로서의 ‘무드’이다. 리쾨르가 말하는 허구적 경험은 문학작품이 자기 스스로를 넘어서는 힘에 의해 투사하는 방식이며 세계를 사는 잠재적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허구적 경험은 일상적인 경험과 만날 수 있도록 작품이 투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것은 경험이지만 허구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텍스트 세계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는다. 독자가 텍스트를 받아들이면 이러한 허구적 경험과 독자의 살아 있는 경험이 서로 만나게 되며, 텍스트에 의해 투사된 세계와 독자의 삶의 세계가 교차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비로소 문학작품은 온전한 의미를 획득한다. 독서는 단순히 저자의 의도를 찾아낸다거나 이미 텍스트 안에 있는 의미를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텍스트를 앞에 두고 벌이는 ‘싸움’이자 ‘놀이’이고, 불확실한 의미를 찾아가는 ‘여행’이자 ‘탐색’이 된다. 리쾨르의 표현을 빌자면 “자기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텍스트 앞에서 자기를 이해한다는 것이고, 이는 독서를 하면서 찾아오는 나와는 다른 자기의 조건들을 그 텍스트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이다.” 리쾨르가 말하는 진리는 이처럼 텍스트 세계와의 만남을 통해 무엇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태로서의 삶을 펼쳐나가고 그렇게 해서 “할 수 있는 인간”을 만들어가는 진리이다.

      • KCI등재

        이문열 「사람의 아들」 연구 - 인물의 선택을 중심으로 -

        김한식(Kim, HanSik)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판매량과 대중들에게 준 신선함 그리고 현재까지의 영향력 면에서 「사람의 아들」은 이문열의 대표작으로 꼽기에 손색이 없다. 이 소설의 매력은 박학한 지식을 간명하게 제공하여 독자들의 교양 욕구를 채워 주고, 시대가 요구하는 비극적 전망을 보여준 데 있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의 인물들이 주어진 비극적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소설의 인물들은 현실을 비판하고 현실의 불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현실의 긴장을 견디지 못하고 긴장의 끈을 놓치고 만다. 그 결과는, 오래 전 한 시인의 말을 인용하면, 풍자와 자살 사이의 선택이 아니라 투항 아니면 자살이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가진 관념성이 신학적인 주제에 있다기보다 인물들의 이런 성격에 있다고 보았다. 또 이 소설의 인물들은 누군가의 영향으로 쉽게 삶의 방향을 바꾸고, 타인의 삶을 자신의 존재 이유로 삼는다. 이런 성격의 인물에게서는 일상이 소거되기 쉬우며 자기중심적인 세계 인식이 부각 되기 쉽다. 타자에 의해 주어진 삶은 극단적 경향을 띠기도 한다. 인물들의 이런 공통된 선택은 작가의 세계관과 무관할 수 없다. “The Son of Man” is a good choice for Lee Moon-yeol’s representative work. The charm of this novel is that it satisfies readers’ desire for liberal arts by simply providing educated knowledge and showing a certain tragic prospect. This thesis looked at how the characters of this novel cope with the tragic situation given. The characters in this novel criticize reality and react sensitively to the anxiety of reality. However, at some point, he cannot endure the tension of reality and misses the tension. The result, to quote a poet long ago, is not a choice between satire and suicide, but surrender or suicide. This thesis saw that the idea of this novel is not in the theological subject, but in this character of the characters. In addition, the characters in this novel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under the influence of someone and use the lives of others as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In a person with this personality, everyday life is easy to be erased and self-centered world perception stands out. Life given by the other tends to be extreme. The common choice of these characters cannot be irrelevant to the artist’s aspect.

      • KCI등재

        프랑스 극우의 신화와 이데올로기:

        김한식(Hansik KIM)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80 No.-

        Nous avons essayé dans cette étude de mettre au point l idéologie du discours politique du Front national(FN), parti d extrême droite en France. Ils agit de son national-populisme : souverainisme politique, économique, culturel qui promet à l électeur de toute classe sociale d être protégé de la globalisation économique, démographique et culturelle . Ce qui nous intéresse par rapport à la bataille des mots dans le champ politique, c est surtout la stratégie discursive de dé-diabolisation de Marine Le Pen. Tandis que le discours limpide de Jean-Marie Le Pen témoignait d une vision du monded une extrême cohérence, Marine Le Pen donne un discours plus opaque et équivoque qui demande un décodage plus minitieux. Faudrait-il voir dans lepassage du discours transparent de Jean-Marie Le Pen au discours opaque— ni de droite ni de gauche —de Marine Le Pen un changement idéologique? Nous disons qu il ne s agit là que d une stratégie cosmétique,pour donner une image plus favorable aux électeurs. D abord, nous avons analysé la stratégie de dé-diabolisation dans une perspective rhétorique pour décrypter la logique de son discours(rétorsion,amalgame, abstraction, substitutions lexicales, allusions, etc...) et démasquer son vrai visage d extrême droite. Marine Le Pen crée ainsi un nouveau code, un discours modernisé, un extrémisme euphémisé et démocratique quibrouille les repères (la démocratie, la république, la laïcité, l antisémitisme, l immigration, etc...). La stratégie du double discours consiste de se tenir àdistance des sujets traditionnels du FN (racisme, anti-immigration,xénophobie, etc...), tout en gardant son identité d extrême droite. Ensuite, nous avons analysé la force de l imaginare du discours frontiste,la métaphore et le mythe sous-jacent. Il s agit d un grand-récit, mythe au sens de Roland Barthes ou bien roman-national si nous empruntons le concept de roman familial de Freud. Ainsi s écrit un roman national de la France et des Français. L histoire de la France apparaît là comme une légende où les héros se battent avec les démons pour sauver la patrie, le peuple. C est une histoire de la fiction projetée d un imaginaire collectif, histoire a-temporelle, mystique et mythique.

      • KCI등재후보

        탐정 소설, 범죄를 다루는 사적인 방법 <셜록 홈즈> 읽기

        김한식(Kim, Hansik)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소설의 하위 장르로서 추리소설은 대도시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별히 인구 집중이 낳은 범죄 라는 문제에 대응한 문학 장르이다. 도시의 범죄는 과거의 범죄와 다른 양상을 띠었다. 단순히 수의 증가뿐 아니라 범죄 양상이 복잡해지는 경향도 보였다. 범죄를 보는 시간도 달라졌다. 범죄를 낭만적으로 바라보던 시간이 다라져 사회적 위협으로 보 는 시각이 보편하된 것이다. 범죄는 개인적인 원인으로 치환되고 문제의 해결은 탐정의 뛰어난 능력을 증명할 뿐이다. 발생 시기로 볼 때 추리소설은 범죄에 담겨 있는 전복적 에너지를 감시하고 처벌하려는 지배 계급의 의지를 대변한다. 추리소설의 범죄자는 언제나 사회의 주류층이 아니고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하층민이거나 이방인들이다. 따라서 그들을 제거하는 것은 안전을 회복하는 일이고 그 임무는 언제나 사회의 주류층 인물들에게 맡겨진다. 홈즈 시리즈에서는 국가기구를 그리 긍정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자본주의 지배 계급은 자신들의 헤게모니를 위협하는 두 가지 세력의 도전에 직면했다. 하나가 노동계급에 의해 주도듸는 혁명이라면 다른 하나는 경찰로 상징되는 국가기구의 강화였다. 지배계급에게 국가의 통제와 개입은 노동계급의 성장만큼 불편한 것이었다. 홈즈 시리즈를 비롯한 영국 추리소설에서 경찰은 대개 독자적으로 범죄를 수사할 능력이 없는 무능한 존재로 그려진다. As a subgenre of fiction, mystery novel are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large cities. Among them, it is a literary genre that specifically responds to the problem of crime caused by population concentration. Crime in the city took on a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the past. Not only did the number increase, but the pattern of crimes has also changed. The romantic view of crime has changed, and the view of crime as a social threat has become more common. Crime is replaced by personal causes, and solving the problem only proves the detective s superior ability. Judging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mystery novels represent the will of the ruling class to monitor and punish the subversive energy contained in crime. The criminals of mystery novels are not always the mainstream of society, but the lower classes or strangers who threaten the safety of society. Therefore, getting rid of them is to restore the safety of society, and the task is always left to the mainstream of society. In the Holmes series, the state apparatus is not portrayed very positively. The capitalist ruling class faced the challenge of two forces threatening its hegemony. One was the revolution led by the working class, and the other was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e apparatus symbolized by the police. For the ruling class, state control and intervention was as inconvenient as the growth of the working class. In British mystery novels, including the Holmes series, police officers are usually portrayed as incompetent beings who cannot independently investigate cr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