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인 비혼 간의 차등에 대한 위헌심사기준:헌법은 혼인을 ‘특별보호’하는가

        김하열 헌법재판연구원 2022 헌법재판연구 Vol.9 No.1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ruled that Paragraph 1 Article 36 (Marriage Clause)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cludes ‘Special Protection’ for marriage, and strict scrutiny(proportionality test) should be applied to decide whether unfavorable classification against marriage could be justified. But unlike the German Constitution, our Constitution does not provide ‘Special Protection’ for marriage. The essence of our Marriage Clause lies in the ‘Equality of Sexes’ within marriage(that is, between husband and wife). Provisions in Marriage Clause and Framer’s intent thereof differ greatly between Korea and Germany. Our Marriage Clause provides sufficient protection for marriage without ‘Special Protection’ doctrine. The Court is said to have used the doctrine to frustrate legislative initiatives to promote fairness in the sphere of tax law. Drastic social changes concerning married, unmarried, and single life are in progress. The choice toward not-married life needs to be respected and protected as well. ‘Special Protection’ doctrine does not accord well with this current. ‘Equality of sexes’ within marriage functions as a special equality norm, effecting a strict scrutiny. As for classifications between marriage and not-marriage, general equality clause(Article 11) and therefore rational basis test should be applied. 헌법재판소는 몇몇 조세법령에 대한 위헌결정에서, ① 헌법 제36조 제1항(혼인조항)이 ‘혼인’에 대한 ‘특별보호’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 ② 혼인을 ‘비혼’(非婚)에 비하여 불리하게 차등취급하는 것이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때는 엄격한 위헌심사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리 헌법은 독일과 달리 혼인을 ‘특별보호’하지 않는다. 우리 혼인조항의 핵심은 혼인당사자간의 양성평등이다. 혼인 ‘특별보호’론은 헌법의 명시적 규정이나 헌정사적 배경이 전혀 다른 독일 기본법의 해석론을 추수(追隨)한 것이다. 특별보호론 없이도 혼인 ‘보호’는 우리 혼인조항이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 빗나간 특별보호론의 유탄(流彈)은 엉뚱하게 조세입법자를 맞추어 조세공평 목적의 정책을 좌절시켰다는 비판을 초래하였다. 특별보호론을 존치하면 앞으로도, 특히 세법과 사회법의 영역에서, 이런 일이 재발할 개연성이 높다. 생활양식에 대한 가치관이 급변하여 혼인의 비중은 낮아지고 비혼에 대한 인식이나 그 비중이 갈수록 달라져 가는 현실에서 비혼을 더 이상 비정상의 존재로 열위에 놓을 것이 아니라 또 하나의 선택지로 존중,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도 특별보호론은 폐기되어야 한다. 혼인조항의 적용영역을 뭉뚱그려 그 전부에 대해 특별평등조항으로 보아 엄격심사기준이 적용된다고 볼 근거는 없다. 이는 혼인당사자간의 양성평등 영역에서만 타당하다. 혼인 비혼 간의 차등취급에는 헌법 제11조의 일반평등원칙이, 위헌심사기준으로는 원칙적으로 합리성심사가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헌법소원 사건의 효율적 처리에 관한 고찰 ― 지정재판부 권한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

        김하열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3 No.1

        The effectiveness and authority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can ultimately be guaranteed by the persuasiveness of the argumentations which lie within the reasons of its decision. The deliber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needs to focus on meaningful cases, which enables the Court to deliver more precise argumentations, and in turn makes the judgements of the Court convince other state authorities and promote people’s trust. Such selection of cases is indispensable for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Complaint.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Complaint, reasonable distribution of tasks between full bench and designated bench is needed in order to perform its subjective function of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and to fulfill its objective function of clarifying constitutional issues as well. To do this, designated bench should be empowered to dismiss complaints in prior- examination that are non other than abusive claims. Also, it is necessary to authorize the designated bench to deny on the merits the obviously groundless claims. Furthermore, such claims should be barred from the availability of the court-appointed counsel, thus constraining the useless filing of complaints. With these three improvements, the burden of the full bench will be considerably reduced. The demarcation between the full- and designated bench should be that ‘the important, principal matters to the full bench, executing the law established by the full bench to the designated bench’. To ensure the unity of judgements and secure the jurisdiction of the full bench, certain procedural adjustments between the benches that provide them with the means of communications are essential. 헌법재판의 실효성과 권위는 궁극적으로 그 결정이유에서 밝힌 논증의 설득력에 의하여 담보된다. 결정이유에서 보다 치밀한 논증을 전개함으로써 다른 국가기관에 대하여는 결정의 설득력을, 국민에 대하여는 결정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자면, 재판부의 평의가 소수의 가치 있는 사건에 집중되어야 한다. 이러한 선택과 집중이 집중적으로 요청되는 소송유형은 헌법소원이다. 헌법소원에서는 국민의 기본권 보호라는 그 주관적 기능과 헌법문제의 해명이라는 그 객관적 기능을 조화롭게 수행하도록 재판부와 지정재판부 간의 합리적 업무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선대리인제도의 효율적 운용을 통해 무익한 헌법소원의 청구 가능성을 봉쇄해야 하고, 헌법재판소법의 개정을 통하여 지정재판부로 하여금 남청구에 해당하는 헌법소원을 사전심사 단계에서 각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명백히 이유 없는 헌법소원을 기각할 수 있도록 그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세 가지의 제도 및 운용상의 개선만으로도 재판부의 헌법소원 사건 부담이 상당한 정도로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헌법재판의 중요한, 원칙적인 문제는 재판부에서 결정하고, 지정재판부는 재판부에서 확립한 기존 판례를 사후 집행하는 것에 그친다.’는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헌법판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 재판부의 헌법재판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정재판부와 재판부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보장하는 헌법재판소 내부의 절차적 조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命令·規則에 대한 司法審査 : 憲法裁判의 觀点에서 본

        金河烈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2008 헌법판례연구 Vol.9 No.-

        Not as a prior question concerning the revoke of the administrative action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decrees of regulations(hereafter ‘decrees’), but rather permitting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directly requesting the revoke of confirmation of the invalidity of the decrees, thus endowing jurisdiction on such a matter to the ordinary court can be faced with the doubt on the constitutionality under the present Constitution Contentions that decrees could directly be the objec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because they are essentially administrative act are simple and clear, and can be positively evaluated if you put weight on the integration of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But decrees and individual administrative actions are essentially different in their substantial functions, although they belong to administrative power alike Integration of constitutional review should be as highly appreciated as the integration of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Provided the ordinary court has the jurisdiction over the original review against the decrees, complete separation as of ‘judicial review against the statute to the Constitutional Court, judicial review against the decrees to the ordinary court’ should lead to the failure in achieving the integration of the judicial review Original review against the decree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rial over facts, appeal institution which ascribe to the strength of the ordinary court, on the contrary need for uniformity in the interpretation of law requires single judgement without appeal Henceforth a suggestion to put jurisdiction over administrative litigation against the decrees in the Supreme Court just means to alter the judging court(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to the Supreme Court) The reason for such an alteration has not been suggested so far In consideration of specialty, experie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burden of the Supreme Court,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ontinuously takes charge of the original review against the decrees ensuring the people’s right and optimizing the state’s function.

      • KCI등재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김하열 한국공법학회 2010 공법연구 Vol.39 No.1

        Few terms have a variety of meanings like ‘democracy’ does. In a democratic society, individuals should not be impotent beings against state or society. Nowadays people who live in ‘democratized’ countries suffer from the sense of alienation and impotence. This kind of formalization of democracy might be attributed to a liberal understanding of democracy. Liberalism and Liberal democracy succeeded in protecting the individual's freedom against state or other people, while they hinder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in that their concept of liberty, the representative system and their sphere of democracy collide with ideal of democracy. When you understand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you need to reflect on the political theories of democracy. Although Constitution opens up a wide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as to the concept and the content of democracy,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re to be evaluated as being made mainly on the basis of a liberal understanding of democracy. They have limited the possibilities of direct democracy, and they have been insufficient for the protection of labor rights which are valued as touchstone of industrial democracy. They also have reduced the feasibility of social rights, making them substantially empty. Supposing that liberal democracy has reached its limit, a search of ways to advance democracy is indispensable. For the sake of it, a rich diversity of political theories of democracy needs to be grafted on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민주주의라는 말만큼 다양다기하게 이해되는 용어도 많지 않을 것이나, 민주주의라고 하기 위해서는 일반국민들이 국가 혹은 사회와의 관계에서 일방적으로 지배당하거나, 아무런 영향력을 미칠 수 없는 무력한 존재여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많은 ‘민주화’된 국가의 국민들은 이런 소외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있다. 오늘날 목도되는 민주주의의 이런 형식화는 상당한 정도로 민주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적 이해에 기인한다는 혐의를 둘 수 있다. 자유주의와 이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는 국가나 타인으로부터 개인의 자유를 일정하게 지켜내는데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자유의 개념, 대의제, 민주주의의 적용영역 등의 점에서 적지 않은 취약점을 지니고 있어서 민주주의의 성취를 저해하고 있기도 하다. 헌법원리로서 규범적으로 민주주의를 이해할 때에도 민주주의 정치이론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우리 헌법은 민주주의의 개념이나 내용에 관하여 개방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헌법재판소 판결을 전체적으로 조감하여 보면 민주주의 헌법원리를 전개함에 있어 비교적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이해에 토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직접민주주의의 헌법적 허용성을 대단히 좁혔고, 산업민주주의의 시금석이라 할 노동기본권 신장에 인색한 태도를 보여 왔다.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 가능성을 극히 좁혀 실질적으로 공허하게 만들고 있다. 자유주의적 민주주의가 오늘날 어떤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면 다기하게 발전, 전개되고 있는 민주주의 정치이론을 대안적으로 혹은 보완적으로 헌법원리와 접목시켜 한 단계 고양된 민주주의를 실현시키려는 탐구와 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

        헌법상 가족의 개념

        김하열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0

        §1 Art.36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protection of “family life”. The concept of “family” needs to be clarified to fully appreciate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provision. The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embraces the various forms of family life that goes beyond the typical family model that consists of married couple and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excessive broadness of the concept should be avoided less it encroach on legal stability. Personal choices concerning familial relations should be respected, and socia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family lif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us the constitutional term of “family” should be defined as: ‘living community of care, built upon a marriage(equivalent union included) or blood tie’. A notion of family without a child, although deemed as a significant factor of the family, should be acknowledged. Between sibling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between an uncle(aunt) and a nephew(niece) can a family relation be established. Non-marriage couple can build a family between themselves or with their children. Degrees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can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forms of family life. Statutory protection might be provided to non-familial living communities that lie outside the concept of family. 헌법 제36조 제1항은 가족 보호를 헌법적 가치로 천명하고, 가족 관련 기본권을 개인에게 보장하고 있다. 이 조항의 규범적 의미를 이해하고, 여러 생활영역에 걸쳐 있는 가족 관련 법적 규율에 헌법적 규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이라는 헌법 개념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헌법상 가족 개념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혼인부부와 자녀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형태를 넘어 현재와 미래의 보다 다원적인 가족형태를 포용할 수 있으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잃을 정도로 그 범위를 지나치게 넓히지는 않아야 한다. 가족관계의 형성에 관한 개인의 선택과 자율을 우선적으로 존중하며, 가족의 사회현실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직시하고 그에 응답하여야 한다. 헌법상 가족 개념은 가족 구성의 인자(因子), 그리고 생활실체라는 두 핵심 지표를 중심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가족 구성의 인자는 혼인(그에 준하는 결합관계 포함)과 혈연이고, 이로 인해 결합된 구성원들 사이에 부양, 양(교)육, 보호의 생활공동체가 형성될 때 가족 개념이 충족된다. 따라서 헌법상 “가족”이란 ‘혼인(그에 준하는 결합관계 포함) 또는 혈연으로 맺어진 부양, 양(교)육, 보호의 생활공동체’를 말한다. 자녀는 가족 개념의 핵심요소의 하나이지만, 그것 없이는 가족의 성립을 배제시키는, 가족 개념의 절대적 요소라고 할 수는 없다. 혼인부부가 아닌 사실혼, 비혼(非婚)동거, 동성 결합의 당사자 사이, 그리고 이들과 그 자녀 사이에도 가족관계가 성립한다. 가족을 구성하는 혈연관계에는 형제자매, 조손(祖孫), 숙질(叔姪) 등도 포함된다. 헌법상 가족 개념에는 다양한 가족생활의 모델(형태)이 포함될 수 있고, 가족생활, 가족모델의 다양성에 상응하여 헌법적 보호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위 인자(因子) 없이도 다양한 계기, 형태로 친밀한 생활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겠지만, 법적 명확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이들을 가족 개념에 포함시키기는 어렵다. 헌법상 가족 개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서로 돌보고 보호하는 (가족 외적) 친밀공동체에 대하여는 법률적 차원의 보호가 가능하다.

      • KCI등재

        헌법재판의 증명책임

        김하열 헌법재판연구원 2021 헌법재판연구 Vol.8 No.1

        Burden of proof can also be an issue in constitutional litigation where dominates the doctrine of ex offcio principle(Untersuchungsprinzip).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ossibility, scope and aspects of applying the doctrine of burden of proof in constitutional litigation, on the basis of doctrines on it in civil procedure. Constitutional litigation differs fundamentally in many aspects of procedures such as the object and function of the process, procedural doctrines, and the effects of judgment. In many cases facts do not directly determine the outcomes of the judgment, and they merely serve as the data materials considered in judicial argumentations. It is commonly legislative facts, not adjudicative facts that counts in constitutional litigation. The significance of burden of proof in constitutional litigation is limited in general. On the admissibility to a merit, it is petitioner in principle who bears burden of proof in all the types of constitutional litigation. In cases where individuals struggle against state authorities who have factual data exclusively, it maybe converted to state. Burden of proof rarely plays a role in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Normenkontrolle) in that: it is a general judgment between law and law, it lacks adversarial parties, and its fact finding commonly relies on non-evidentiary social, economic data. In a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a law, the review focuses on whether the limitation on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individuals can be justified. The review relies on the standards of review like, most commonly, proportionality. Burden of proof that should show the requirements of proportionality have met falls on state. Among subcategories of proportionality, the test of ‘legitimacy of purpose’ and that of ‘proportionality in strict sense’ are normative judgments in essence. Burden of proof in test of ‘rational connection’ and that of ‘least restrictive means’ matters but not in significant way. In equal rights cases, it is petitioner who should prove that his/her suffering is caused by statutory classification. It is state who should prove that the classification can be justified. In a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a concrete measure of state and in a case of state power dispute, impeachment and party dissolution, burden of proof can play bigger role in that: it has adversarial parties, it is adjudicative facts that matters here, not legislative facts. 헌법재판에서는 직권탐지주의가 적용되므로 사실과 증거의 수집은 헌법재판소의 책임이지만, 객관적 증명책임(진위불명일 때에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는 불이익)을 어떻게 분배할 지는 헌법재판에서도 문제된다. 이 글은 민사소송의 증명책임론을 토대로 하여, 헌법재판에서 증명책임(분배)론 적용의 가능성과 범위, 적용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헌법재판은 소송의 목적과 기능, 심리의 기본원칙, 재판의 효력 등의 면에서 민사소송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또한 사실인정의 여부에 따라 재판의 결론이 직접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규범적 평가가 많은 경우 동반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실 문제가 단지 논증자료로 사용될 뿐이다. 이 점은, 헌법재판에서 사실인정의 대상이 되는 사실이 많은 경우 ‘재판사실’(adjudicative fact)이 아니라 ‘입법사실’(legislative fact)이라는 점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반적으로, 헌법재판에서 증명책임론의 적용 가능성이나 적용의 의미는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헌법재판의 모든 유형의 적법요건 심사에서는 증명책임이 문제될 수 있고, 이때 적법요건의 존재에 대한 증명책임은 본안재판을 얻으려는 쪽의 당사자(청구인, 원고)가, 소극적 소송요건이나 소송장애 요건의 존재에 대한 증명책임은 피청구인(피고)이 부담한다. 다만 개인과 국가권력 간의 관계에서, 사실자료가 국가 측에 편재하는 경우에는 법률요건분류설의 수정 적용이 필요하다. 규범통제의 본안판단은 법과 법 상호간의 관계에 관한 일반적 판단이라는 점에서, 또한 ‘비증거법적인’(non-evidentiary) 방법으로 획득되는 사회과학적 자료・정보가 판단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객관소송으로서 당사자가 없다는 소송구조적 특성의 점에서도, 드문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명책임론과는 조화되기 어렵다. 법률에 의한 기본권 침해 여부가 문제되는 헌법소원의 본안판단은 비례성원칙과 같은 위헌심사기준을 적용하여 기본권 제한이 정당화되는지를 심사하는 과정이다.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할 때, 위헌심사기준을 충족하는 사실에 대한 증명책임은 국가 측에 귀속된다고 보아야 한다. 비례성원칙의 하위원칙 중 목적의 정당성, 법익균형성 판단의 본질은 법적 평가이므로 증명책임이 문제될 여지는 적다. 적합성 심사는 엄밀한 사실인정이 아니라 일상 경험칙상의 판단이나 일반적인 사회적・경제적 자료나 정보에 기초한 판단으로도 합리적 연관성 여부를 충분히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드문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명책임의 의미나 비중은 제한적이다. 최소침해성 심사에서도 대안으로 고려되는 입법 수단이 입법목적 달성을 위한 동등한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재판기관의 평가적 판단의 진폭이 넓다는 점에서 역시 증명책임의 의미나 역할은 크지 않다. 법률에 의한 평등권 침해 여부가 문제되는 때에는, 구분취급으로 인한 불이익의 존재에 대한 증명책임은 청구인이, 그러한 구분취급이 정당화되는지에 관하여는 국가 측이 증명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개별적・구체적 공권력행사에 대한 헌법소원, 권한쟁의심판, 탄핵심판, 정당해산심판의 본안판단의 경우, 대립당사자 구조가 보다 뚜렷하다는 점, 증명의 대상이 대체로 입법사실이 아니라 재판사실이라는 점에서, 증명책임론의 적용 가능성 및 그 비중은 보다...

      • KCI등재

        캐나다의 헌법불합치 결정

        김하열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8 No.-

        Canada differs from Korea with respect to the history of law, legal regime, and judicial system, as it has common law tradition(but Quebec). Still, Canada and Korea have a question, and some of the answer to it, in common : how to deal with the law declared unconstitutional? Canadian jurisprudence on the forms and effects of court decisions declaring a law unconstitutional has been shaped and developed through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of Canada on the basis of section 52(1) and 24(1) of the Constitution Act, 1982. The Court has conceived unique solutions to the question(including suspension of declaration of invalidity, its retroactive or prospective effect, individual remedy), developing abundant constitutional discourses based on the 3 pillars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constitutionalism, rule of law,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each of which partly supplements or partly contradicts with others. The Court provides possible full explanation of the general theories and the case applications in the ruling. The Court has developed several variant forms of decisions besides ‘declaration of invalidity’, enshrined explicitly in section 52(1). They include reading down, reading in, severance and the suspension of declaration of invalidity. The last one was, as was in Korea and in Germany, coined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legal vacuum arising from immediate and retroactive effect of invalidity of laws declared unconstitutional. Here, the law keeps its validity during the suspension period, and the legislature has chance to enact new regime in compliance to the ruling. The suspension of declaration of invalidity in Canada corresponds to the unconformity decision in Korea(render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laration of invalidity takes effect when suspension period expires. The effect is presumptively retroactive, though the court can recognize purely prospective effect when it deems a retroactive application of the declaration could frustrate the very purpose of the suspension. In case of prospective application, the law declared unconstitutional becomes invalid only from the expiration of suspension period to the future. Criminal law also can be suspended and combined with purely prospective effect. This enables to keep punishing those crimes that do not furnish any ground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law. To prevent the possible infringement of rights of the claimants due to the continued validity of the unconstitutional law during the suspension period, the Court generally grants individual remedy on the ground of section 24(1). That is the ‘exemption of suspension.’ Suspension combined by the individual exemption enables to reconcile the need for general application of law with the individually tailored rights guarantee. This should be highly esteemed.

      • KCI등재

        2022년 헌법 중요판례평석

        김하열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3

        This paper reviews major decisions concerning constitutional law render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n 2022. 6 Cases that were assessed to have theoretical or socio-political significance were selected. Selected cases include 1) the case in which it was questioned whether the measures taken by the President, to completely suspen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due to North Korea’s fourth nuclear test, violated property rights of investment companies, 2) the case in which the ordinary court's decisions, which dismissed a request for a retrial based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were found to be subject to a constitutional complaint and annulled, 3) the case in which it was questioned whether the provision, that allows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to provide investigation agencies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data, violates the us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4) the case dealing with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s of the Civil Act which prohibits marriage between relatives within the 8th cousin and stipulates it as a reason for invalidation of marriage, 5) the case dealing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rovision of the Political Party Act, which stipulates that every metropolitan or provincial branch of a party should have more than 1,000 party members as a requirement for registration and existence of a political party, violates the freedom to establish a political party, and 6) the case dealing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 provis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which prohibits tattooing of non-medical persons, violates basic rights such as freedom of occupational choice. 이 글에서는 2022년에 선고된 헌법재판소의 주요 결정들을 검토한다. 법리적 중요성이나 정치사회적 관심 또는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6건의 결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결정들은, ① 북한의 제4차 핵실험 단행 등을 이유로 2016. 2. 대통령 등이 단행하였던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가 투자기업 등의 재산권을 침해하는지 등이 문제되었던 사건, ②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에 근거한 재심청구를 기각한 법원의 재판이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지 및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반하는지가 문제되었던 사건, ③ 수사기관이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전기통신 이용자들의 통신자료 제공을 요청하여 취득한 행위 및 그 근거법률이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지 문제되었던 사건, ④ 8촌 이내 혈족 사이의 혼인을 금지하고, 이를 혼인무효의 사유로 규정한 민법조항의 위헌 여부를 다룬 사건, ⑤ 정당의 등록 및 존속요건으로서 시·도당이 1,000명 이상의 당원을 가지도록 규정한 정당법 조항이 정당설립의 자유 등을 침해하는지 문제된 사건, ⑥ 문신시술을 의료행위로 보아 의료인 아닌 자의 문신시술을 금지하고 그 위반행위를 처벌하는 의료법 조항이 직업선택의 자유 등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다투어진 사건 등이다.

      • KCI등재후보

        기본권의 분류와 통합: 통합적 기본권론 시론(試論)

        김하열 헌법재판소 2018 헌법논총 Vol.29 No.-

        Theories on constitutional rights aim to ensure and implement constitutional rights more effectively. To reach the goal,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inquire into individual contents and effects of each rights than to mechanically corresponding them to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that decides in what category the right in question belongs t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vert the tripartite typology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to a national theory on constitutional rights. Integrated theory of constitutional rights, advocated in this article, recognizes multiplicity and comprehensiveness of state obligations in ensuring constitutional rights, be it civil-political rights or social-economic rights. This theory recognizes state obligations to respect, protect and fulfil constitutional rights no less than the tripartite typology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does. This theory could be a useful tool that would conduce to fuller implementa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because it either fills the gaps between the categories or crosses the borders of classifications. Integrated theory would be helpful to consolidate the enforcement of social and economic rights. It also has strength at expounding the positive elements in civil and political rights. Nowadays, procedural guarantee of constitutional rights have as much importance as that of material guarantee. Integrated theory enables to review if the procedure required has been provided in terms of (state’s) obligation to fulfil or to protect the rights. Integrated theory requires integrated approach in the issue of standard of constitutional review. ‘Necessary Test’ stipulated in Art.36 paragraph 2 provides unitary and comprehensive framework of review that can be applied to all categories of constitutional rights issue. It also allows flexible application of the test according to the varied issues of individual rights. Types of state obligation can be a relevant factor in deciding the standard of review, but the standard can move across the types of obligation as the concrete issue of the rights in question varies. 기본권론의 목표가 보다 더 실효적으로 기본권을 보호․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에 있다면, 기본권 분류상의 귀속에 따라 기본권의 속성, 작용이나 효력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폐쇄적 체계 보다, 개별 기본권의 목적과 의미를 살릴 수 있도록 그 내용과 효력을 탐구․분석하는 개방적 체계가 위 목표에 더 가까울 수 있다. 통합적 기본권론은 분류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무의 다원성, 포괄성을 모든 기본권에 공통적으로 인정한다. 이 시론에서는 국제인권법의 3원적 의무론을 기본권론으로 수용하는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존중, 보호, 충족으로 구성되는 3원적 의무론과 그에 바탕한 통합적 기본권론은 분류의 사이를 메꾸거나 분류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다양한 방법과 수단을 통한 보다 더 완숙한 기본권 실현에로 이끄는 유용한 도구 틀이 될 수 있다. 통합적 기본권론은 사회적 기본권의 권리성을 보다 공고히 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통합적 기본권론은 자유권의 적극적 요소를 설명하는 데도 강점이 있다. 오늘날 기본권의 실체법적 보장에 못지않게 절차보장의 필요성이 인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통합적 기본권론에서는 절차적 조치의 제공 여부를 충족의무 혹은 보호의무의 관점에서 구성, 판단함으로써 절차보장의 중요성에 부응할 수 있다. 통합적 기본권론에서는 위헌심사기준의 체계에서도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헌법 제37조제2항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필요성’이라는 심사기준은 모든 기본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단일의 틀을 제공하면서도 그 틀 안에서 유연하고 탄력적인 하위 심사기준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국가의무의 유형별로 심사기준의 구분이 가능하지만, 그 구분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해당 기본권의 의미와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상대화할 수 있되, 그것은 ‘필요성’이라는 기준의 한계 내에서 작동하는 심사체계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