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간경비원의 내부마케팅요인이 조직유효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경 한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공경비에 의한 역할과 구조·기능적인 한계 속에 안전 도모를 핵심으로 한 민간경비 산업은 안전을 요구하는 수요자로부터 나날이 그 입지를 굳건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민간경비 산업의 급성장은 경비 업체들 간의 과다한 경쟁을 일으키게 되어 제살 깎아먹기 식 회사 운영, 민간경비 종사자들에 대한 미흡한 보수와 처우로 빈번한 이직률을 보이고 있다. 결국, 이러한 환경은 직무를 수행하는 조직과 회사에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어, 높은 이직률을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내부마케팅요인이 조직유효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민간경비원 20세 이상 남·여를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총 4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415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김정근(2015)등의 내부마케팅 척도, 정연우(2015)등 의 조직유효성 척도, 김문성(2014)등 의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민간경비원들의 성별, 연령, 학력, 직위, 근무기간, 월 평균 소득에 따라 내부마케팅 변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민간경비원들의 성별, 연령은 직무에 대한 만족과 인식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몰입에서는 연령에 따라 인식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간경비원들의 직위, 월 평균 소득에 따라 이직의도와 인식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민간경비원들의 성별은 학력, 직위, 근무기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령의 경우 권한위임과 경영층 지원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용형태는 경영층 지원과 직위는 근무기간과, 월 평균소득은 권한위임, 내부커뮤니케이션, 보상시스템, 교육연수요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권한위임 요인은 내부커뮤니케이션, 보상시스템, 교육연수, 복리후생, 경영층 지원,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부마케팅은 보상시스템, 교육연수, 복리후생, 경영층지원, 이직의도와 보상시스템은 교육연수, 복리후생, 이직의도와 교육연수는 경영층지원과 이직의도와 복리후생은 이직의도와 경영층 지원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민간경비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은 연령, 고용형태, 권한위임, 경영층 지원, 직무만족과 연령은 학력, 직위, 근무기간과 학력은 고용형태, 권한위임, 경영층지원과 고용형태는 직위, 근무기간, 월 평균 소득, 보상시스템요인과 직위는 권한위임, 경영층지원, 직무만족요인과 근무기간은 보상시스템, 교육연수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민간경비원들의 직위, 내부커뮤니케이션, 복리후생, 성별 순으로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내부마케팅 요인인 경영층 지원, 고용형태는 조직유효성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민간경비원들의 내부마케팅 요인 중 권한위임, 내부커뮤니케이션, 보상시스템, 교육연수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유효성 요인 중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계된 민간경비원들의 내부마케팅과 조직유효성, 그리고 이직의도에 대한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들은 감정노동자 관점으로 볼 때, 고객 요구에 대한 적절한 보상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보상시스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경영층의 지원을 제도화 하여야 할 것이다. 가령, 고객의 서비스 협조 요청 형태에 따른 지원 전략, 고객 응대 전략, 교육 전략 등의 제도적 개선이 개인 사업장을 포함한 협회 차원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민간경비업은 지속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문성 함양에 기여해왔다. 즉, 적용성, 실용성과 같은 실무교육을 시켜 사명감, 정서, 도전과 협동 등의 교육적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일선 민간경비업체를 살펴보면, 교육계획에서 부터 교육 방법, 차별성, 학습자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는 등 유명무실한 교육으로 구분 짓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무차별적 교육에서 탈피한 중앙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민간경비업 교육과정의 개발과 내용, 프로그램을 단일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민간경비업 전문 교육 기관이 양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국내 민간경비업법 관련 대학의 교육과정은 여타 비슷한 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지 않고,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우수한 인재를 배출해 내야 할 것이다. 넷째, 민간경비원과 청원경찰관의 업무상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청원경찰과 같은 업무상 직무와 역할, 기능에 대하여 보다 더 명확한 규정과 범위, 규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제도 기틀 마련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보급, 그리고 다양한 교육 활동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간경비업 경영자와 관리자는 동료관계, 상하관계, 고객관계에서 발생되는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 중 하나일 것이다. 이는 회사나 조직의 목적 달성은 직무만족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률을 줄일 수 있는 경영의 효율성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우리나라는 점차적으로 민간경비산업체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놓여 있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내부 민간경비원들의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내부마케팅 요인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여줌으로써 민간경비원들 상호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친밀감과 공동체를 형성하여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하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동시에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격 5요인의 각 하위 요인(신경증,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의 사회적 지지에 따라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1, 2학년을 저학년, 3, 4학년을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학년별로 주요 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성격 5요인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저학년에서는 성격 5요인 특성 중 개방성과 친화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특성에서 사회적 지지 및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대학교 고학년에서는 성격 5요인의 성격 특성 모두에서 진로적응성과의 상관이 유의하였고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특성들 및 사회적 지지, 진로적응성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저학년에서는 성실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아버지 지지의 조절효과와, 외향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어머니 지지의 조절효과가 각각 확인되었고, 성격 5요인 특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대학교 고학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와 상관없이 개방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아버지, 어머니,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 지지와 같은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성실성, 외향성 성격 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화되고, 개방성 성격 특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시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 특성 변인으로 대표되는 성격 5요인과 환경 특성 변인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지지로 각각 설정하여 진로적응성의 예측변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고, 성격 5요인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 친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진로상담, 진로탐색 및 교육프로그램에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발달을 위해 개인의 성격 특성과 다양한 지지 제공원의 사회적 지지를 함께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en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ocial support from various people (father, mother, and friend) perceived by undergraduates has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of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and Career Adaptability. It attempts to attain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undergraduates' adaptability in career.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605 undergraduates in sev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which a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lower graders (freshman and sophomore) and higher graders (junior and senior), and then,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he main variables by each grade,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remaining traits except for openness and agreeablenes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lower graders, whereas all personality trai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there exis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remaining traits except for openness and both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for higher graders. Second, each moderating effect of fathers' and mothers' supports on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on career adaptability and that of extroversion on it is found, respectively for lower graders, whil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are not significant. All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mothers', and friends' supports on the effect of the openness on the career adaptability ar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for higher grad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fathers, mothers, and friend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the less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t) on career adaptability, leading to enhancement of a positive effect of openness on career adaptability,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ndergraduates'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predictive variables for career adaptability by dividing them into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representing individual-specific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representing an environment-specific variable, and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intervention considering personality traits of individuals and social support from various sources, in order to develop undergraduates' career adaptability in actual career consultation,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al program, by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mothers' and friends' social support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s and Career Adaptability.

      • 놀이 미술을 위한 유아미술 교구 디자인 연구 : 만 3~5세를 중심으로

        김하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미술교육은 ‘미술을 통한 인간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의 기회를 주어 개개인의 개성을 살린 표현능력을 키워 줄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다시 말해 미술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기능만을 습득시켜 기술적인 능력이 우수한 미술가를 양성 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다양한 체험과 표현의 기회를 주어 내면에 있는 창의성을 표출시키고 그것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살려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창의적인 표현능력과 미적 감수성을 지닌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성장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인 유아들의 일상을 살펴보면 놀이의 연속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만큼 많은 시간을 놀이를 하면서 많은 것들을 경험을 한다. 이러한 놀이 활동을 미술에 접목을 시킨 것이 놀이 미술이다. 놀이 미술은 놀이의 형태를 빌려 미술을 가르치며 기존의 그리기나 만들기 위주의 미술 활동과는 다르게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놀이 미술활동은 유아에게 재미와 흥미를 주며 그로 인해 미술이 지겹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유아들의 미술활동은 그들의 느낌과 감정의 표현이다. 또한 틀에 박힌 생각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해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그리기위주의 단순한 미술활동이 아니라 아동들의 무한한 상상력과 확산적인 사고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미술활동을 위해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만 3-5세의 유아들이 공통적으로 미술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시간 밖에 없기 때문에 만 3-5세의 표준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미술 활동을 알아볼 필요성을 느꼈다. 그 결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미술 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찍기 재료의 사용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유아에게 다양한 재료의 탐색의 기회의 제공과 더불어 유아의 창의성, 정서, 언어, 인지, 신체 사회성 등의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찍기 놀이미술 교구의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놀이 미술 교구를 디자인하기에 앞서, 본 연구자는 3년 간 유.아동미술현장에 근무하며 만3-5세의 유아 즉,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아동이 흥미위주의 놀이 미술수업이 적용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자는 놀이 미술 교구의 사례조사를 통해 기존에 없던 다양한 패턴을 적용하고 인체의 무해한 소재인 EVA를 사용해 찍기 놀이미술 교구를 디자인 하였다. 디자인 한 교구를 제작 하여 놀이 미술 수업에 적용을 하였는데, 수업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에 소재한 B 유치원의 만 3-5세의 유아 20명과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 소재한 G 미술학원의 만 4-5세의 유아 6명이었다. 26명 중 만 3세의 유아는 6명, 만 4세의 유아는 10명, 만 5세의 유아는 10명이었다. 한정된 인원과 환경 안에서 놀이 미술 수업을 적용하였다. 유아들에게 수업에서의 적용을 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유아들은 찍기교구를 통한 놀이 미술활동에 흥미를 느꼈으며 드로잉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아도 흥미를 가지고 쉽고 적극적으로 놀이 미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들은 찍기 놀이를 통한 미술활동을 하여 나타난 우연한 효과로 교사의 질문과 대화를 통해 자유롭게 연상을 하였으며 창의력 신장의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었다. 셋째, 즐겁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미술활동을 진행 하였으며 대부분의 유아들은 본인의 결과물에 대해 만족했다. 넷째, 디자인 된 교구를 활용하여 누리과정의 주제별 미술활동의 내용영역에 적용을 하는 다양한 지도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짧은 기간과 제한된 환경 및 인원으로 교구의 적용 수업이 이루어져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넓은 범위에서 체계적인 놀이 미술 교구의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생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놀이 활동은 교육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놀이를 적용하는 다양한 미술 교구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of the present time is ‘human formation through ar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rt education needs to give children various opportunities for activities and develop their expressivity in their own style. In other words, the ultimate aim of art education is not to teach children only skills and train excellent artists with outstanding skills but to give them diverse opportunities to have activities, express their inner creativity, show their own individuality, and help them to become harmonious human beings with creative expressiveness and aesthetic sensibility. During the early childhood, which is a critical period in the process of human being’s growth, children experience lots of things spending most of their time on playing, so it may safely be said that their daily lives consist of a series of plays. Play art is what combines such play activities with art. This play-based art proceeds along with learners’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unlike other art activities focusing on drawing and making. Play art activities entertain and interest children, so the children do not feel bored with art expressing what they think freely. Children’s art activity is a way for them to express what they feel and think. In addition, they can feel pleasure in free self-expression getting away from conventional thinking. Therefore, a liberal environment for not simple drawing-oriented art activities but new ones promoting children’s unlimited imagination and divergent thinking needs to be provided. Most of the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years can participate in art activities only when they are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so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a need to examine art activities in Nuri curriculum, which is a model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rriculum included art activities related to using various materials but not many for stamping. Therefore, this researcher considered that a design of teaching aids of play art for stamping activities to provid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a variety of materials and help them develop creativity, emotion, language, cognition, physical sociality and etc. was necessary. From this researcher’s three-year work experience in the art institutions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before designing teaching aids of play art, it was judged that the application of play art class to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preschoolers going to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was the most effective. This researcher designed teaching aids for stamping play art by applying various patterns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through the examples of teaching aids for play art and the use of EVA, which was a harmless material to humans. The designed teaching aids were applied to the play art class, and the study objects were 20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in B kindergarten in Uksu-dong, Suseong-gu, Daegu, and six children aged from four to five in G art academy in Siji-dong, Suseong-gu, Daegu, Out of the twenty-six children, children aged three were six, four were ten and five were ten. The play art class was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f children in a confined environment. The class was applied to the childre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ere interested in the class using stamping teaching aids, and even those having difficulty in a drawing activity could easily had interest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it. Second, the stamping activities created an accidental effect that the children could imagine what they would draw as they were questioned and talked with their teachers and the activities boosted the children’s creativity. Third, the art activities proceeded in a free and pleasant atmosphere, and most of the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what they did. Fourth, various lesson plans which could be applied to Nuri curriculum’s art activity content by topic were suggested by making use of the designed teaching aids. Since the class to which the teaching aids were applied was taught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in the restricted circumstances for a short term,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Therefore, systematic follow-up studies on teaching aids for play art in a wider range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addition, play activiti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everything of early childhood, has high educational value, so it is expected that more studies on a variety of play-applied designs of art teaching aids will be continued.

      • 한반도 하구역 부착돌말류의 환경생태학적 연구

        김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구는 하천에서 흘러내려오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정기적으로 혼합되는 지역으로 위치나 시간에 따라 물리-화학적 요인들의 변화폭이 크고 이에 따라 생물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역동적인 계이다. 따라서 생활사가 빠르고 기질에 부착해 서식하여 오염물질의 누적효과를 파악하는 지표생물인 부착돌말의 분포와 이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1) 몬순전후(5월, 9월) 하구의 물리화학적 환경 및 부착돌말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 (2) 담수와 해수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하구 순환의 유무에 따른 수환경과 부착돌말의 군집 비교하고 (3) 하구에서 부착돌말 군집의 분포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을 파악하였다. (1) 몬순기(6월~8월)를 경계로 몬순전(5월)과 몬순후(9월)에 각각 물리 화학적 환경과 부착돌말 조사하였다. 5월과 9월의 조사에서 출현된 부착돌말은 총 284분류군이었으며, 몬순 전후에 각 하구의 동해하구와 서해하구에서 뚜렷한 현존량 감소가 일어났다. 동해하구에서는 몬순이후 수질의 악화와 엽록소량의 감소를 보였으나 남해하구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높은 현존량을 보였던 우점종은 Nitzschia inconspicua를 비롯한 5종이었으며, 대부분 서식범위가 넓은 기수역 보편종 (common species)이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하구에 서식하는 부착돌말은 몬순이후 하구에 따라 수질 및 부착돌말 현존량은 변화하였으나 부착돌말 주요 지표종들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2) 국내 서남부 하천을 대상으로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에서 환경요인 및 부착돌말 군집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부착돌말 출현특성에 따라 열린하구(G1), 혼합형하구(G2), 닫힌하구(G3)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G1은 수질이 양호하고 다양한 부착돌말류가 출현하였고, G3은 수질은 불량하였으나 부착돌말 현존량은 다른 그룹과 다르지 않았다. 또한 G2의 경우 닫힌하구에 비해 수질은 양호하였지만 부착돌말의 종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 우점종은 G1에서 Nitzschia palea, Navicula seminuloides, G2에서 Nitzschia inconspicua, Navicula perminuta, G3에서 Nitzschia inconspicua, Nitzschia palea으로 생태범위가 넓은 보편종들로서 우점종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2와 G3과 같은 닫힌하구에서 부착돌말 현존량은 높지 않았으나 높은 영양염과 엽록소량을 나타내 하구역의 정확한 수환경 상태파악을 위해서는 부착돌말뿐만 아니라 국내 연안에서 종종 조류발생을 일으키는 부유성 돌말류에 대한 조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국내 3개 연안의 하구역 161지점을 대상으로 부착돌말 분포 및 환경요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2~2014년 5월에 부착돌말, 수질 및 주변 토지이용도를 조사하였다. 출현된 돌말류는 총 327분류군이었으며 Nitzschia inconspicua와 Nitzschia frustulum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부착돌말류의 현존량을 기초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그룹(G)으로 구분되었다. 지리적으로 G1과 G2는 한반도의 남동해, G3와 G4는 남서해로 각각 구분되는 지역성을 나타냈다. 수질 및 토지이용도 역시 크게 2 지역 – ES (G1, G2)와 WS (G3, G4)로 구분되었으며 ES는 높은 숲과 종 출현, 낮은 염도, 탁도와 영양염, 그리고 WS는 높은 농경지, 전기전도도, 탁도, 영양염과 낮은 종 출현이 상대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각각 나타내었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부착돌말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ES의 Reimeria sinuata와 Rhoicosphenia abbreviata에 대해서 용존산소와 숲, WS의 Tabularia fasciculata는 염도와 탁도, Cyclotella meneghiniana는 BOD와 영양염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그룹에서 가장 높은 지표값(>60%)을 보였던 그룹 지표종의 출현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예측한 결과 G1의 Navicula saprophila와 Reimeria sinuata는 전기전도도, G3의 Encyonema minutum는 탁도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국내 하구역의 부착돌말류는 지형적인 특성과 인간의 토지이용에 따른 하천 수질의 차이로 인하여 크게 동해와 서해로 이분되는 지역특이성을 나타냈다.

      • 지역지식재산센터 IP 전문컨설턴트 역량 강화 우선순위 연구

        김하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IP 전문컨설턴트의 역량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부산·울산·경남지역지식재산센터의 IP 전문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한 후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총 가중치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1위는 해당 분야 전문지식 보유, 2위는 직무실행 능력, 3위는 해당 분야 경험 및 노하우, 4위는 문제 진단(진단분석가)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 중에서는 우선순위가 낮은 기준으로 외국어 능력이 16위로 확인되었고, 15위는 사명감임을 알 수 있었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우선순위의 차이는 F-test에서 일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지역지식재산센터의 IP 전문컨설턴트 역량 강화를 위한 문헌 검토를 하였고 주요 요인에 대해 AHP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밝혀내었으며 분석 결과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전문지식 보유 여부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부착돌말류를 이용한 하구역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

        김하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부착돌말은 하천 생태계의 중요한 1차 생산자로서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의 범위가 다양하며 수온, 영양염 등의 환경요인 변화에 대해 빠른 반응성을 나타내어 부착돌말을 이용한 수질평가가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부착돌말은 지역에 따라 성장에 대한 환경의 최적조건과 내성범위가 기후나 유역환경 조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부착돌말을 이용한 생물학적 영향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담수 지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보다 하구의 영양상태에 맞게 지수 값을 조정하여 적용하고 부착돌말 공동체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1) 국내 하구에서 부착돌말의 군집 분포 파악 및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 파악과 기존 부착돌말 지수의 하구에서 적용 가능성을 평가 하였으며, (2) 국내 하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을 이용하여 Indicator species analysis와 Monte Carlo test를 통해 오염민감도와 지표가중치를 분석하였다. (1) 국내 324개 하구, 660개 지점에서 부착돌말의 출현종과 현존량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으로 동해와 남해, 서해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부착돌말의 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Random forest를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전기전도도, 염도, 탁도, COD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부착돌말 지수를 이용하여 생태학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하구에서의 적용에는 하구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종에 대한 부재, 영양염에 대한 역반응 등 몇가지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2) 국내 하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을 이용하여 Indicator species analysis와 Monte Carlo test를 통해 오염민감도와 지표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총 197 분류군(55속 및 142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와 오염민감도 및 지표가중치가 모두 일치하는 분류군은 Kelly(1998) 연구와는 3분류군, Kim(2012)의 연구와는 17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오염민감도와 지표가중치를 적용한 ETDI는 총인 농도로 구분한 5개의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등급의 분포 역시 고르게 분포하였다. 또한 ETDI가 기존의 TDI에 비해 환경요인과 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국내 하구의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pilithic diatom is an important primary producer of the freshwater (stream and river) ecosystem, and has a wide range of resistance to chemicals and have a rapid response to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s, so water quality evaluation has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Epilithic diatom, which is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varies according to different optimal conditions and the range of tolerance for growth according to climate or watershe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required to apply a biological assessment system using attachment stones in the estuary.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Secondly, rather than applying the index used in the freshwater area as it is, it should be applied after adjusting the index value to suit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stuary. This research (1) identified major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attachment stone clusters in the estuary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attachment stone index in the estuary, (2) sensitivity and indicator value were analyzed through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Monte Carlo test using attached stones that appeared at the estuary of Korea. (1) Cluster analysis us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ppearance species and the abundance of epilithic diatom appearing at 324 estuaries and 660 sites in Korea, geographically, it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as East sea and South sea, West sea. The important predict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ppearance of epilithic diatom using Random forest model, are electrical conductivity, salinity, turbidity, and COD,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ecological evaluation using the existing epilithic diatom index had limitations such as absence of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and adverse reactions to nutrients inesuaries. (2) To obtain sensitivity and indicator value through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Monte Carlo test using appearance epilithic diatom in estuary of Korea, a total of 197 taxa (55 genera and 142 species) were used. The classification with the same sensitivity and indicator value in this study were 3 taxa in Kelly (1998) and 17 taxa in Kim (2012). In this study, EDTI used modified pollution sensitivity and indicator valu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roups (5 groups) classified by total phosphorus gradientand, and the class was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TDI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T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ive groups classified by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grades was also evenly distribu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TDI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Kelly’s TDI, thus more appropriately evaluating the environment of the estuary in Korea.

      •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성과공유활동이 재계약의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동태적 신뢰를 중심으로

        김하경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은 1980년대부터 도입되어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성장 등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산업으로 발전되어 왔다. 글로벌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국내 진출로 활발한 시장경쟁이 이루어지면서 최근까지 양적 성장이 이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경쟁상황 속에 사업규모 경험이 부족한 소규모 본사의 난립, 가맹본부와 가맹사업자간 분쟁 등 질적인 측면의 성장은 미비한 실정으로 상생을 위한 신뢰관계 형성을 통한 지속성장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프랜차이즈 연구에서는 가맹본부와 가맹사업자간의 신뢰관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안정적 산업 성장을 이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가맹본부 중심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가맹사업자에게 이루어지는 지원활동을 통해 신뢰형성과 몰입을 유도하여 프랜차이즈시스템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나 재계약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시스템 특성상 계약관계 이행이라는 관점에서 가맹본부가 주도적으로 가맹사업자에게 일방적인 이루어진다. 따라서 계약이행 관점에서 수동적인 차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계약의 변경내용이나 해지 등 구축된 신뢰는 언제든지 가변적으로 변화할 수 있어, 동반성장 관점에서 요구되는 상생협력 기반의 신뢰관계 형성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동반성장 관점에서 이해관계자간에 상호 필요한 특정적 자원의 투자와 적극적 사업참여를 유도함으로서 신뢰구축 및 경쟁우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성과공유활동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성과공유활동은 공급망 흐름 속에서 기업 간의 협력적 관계구축의 일환으로 제시되고 있는 성과공유활동은 기업성과 및 상호 신뢰기반의 관계구축 관계가 규명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김경묵, 2013; 윤병선 등, 2010; Kaufman et al., 2000), 가맹본부에 의존하는 대·중소기업 간 구조와 유사한 시스템, 거래당사자간 상호 특정자원의 투자와 참여 등 적극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유발하고 있어, 프랜차이즈 산업에서도 신뢰기반의 관계형성과 상생협력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성과공유활동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는 유통물류 지원 활동과 경영지원, 광고지원, 교육지원활동을 확대 적용하였다. 또한 계약의 변경 및 해지나 공유활동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위험과 상호의존성 거래활동 수준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동태적 신뢰 개념을 적용하여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성과 및 재계약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성과공유활동을 상품 및 서비스 활동, 물류지원활동, 경영지원활동, 광고 및 홍보지원활동, 교육지원활동으로 구분하고, 동태적 신뢰 수준을 매개하여 경영성과 및 재계약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Lewis & Weigert(1985; 2012)에 의해 제시된 동태적 신뢰 수준을 과도기적 신뢰, 계산기반 신뢰, 관계기반 신뢰, 균형기반 신뢰로 구분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실질적인 성과공유활동 수준을 현실적으로 잘 인지할 수 있는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총 447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검증 및 집단간 차이분석을 SPSS 23.0 및 AMOS 23.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과공유활동과 동태적 신뢰와의 관계에서는 과도기적 신뢰에는 물류지원 활동, 경영지원활동, 광고지원활동 및 교육지원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기반 신뢰에는 물류지원 활동, 경영지원활동, 광고지원활동 및 교육지원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기반 신뢰에는 광고지원활동 및 교육지원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기반 신뢰에는 물류지원 및 광고지원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동태적 신뢰와 경영성과 및 재계약의도와의 관계에서 재계약 의도에는 과도기적 신뢰, 관계기반 신뢰, 균형기반 신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성과에는 과도기적 신뢰, 관계기반 신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도 성과공유 활동을 통해 거래당사자간 거래활동에 따라 발생가능한 위험과 상호의존성에 따라 경험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신뢰 수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동태적 신뢰 또한 경영성과와 재계약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즉 가변적 신뢰도 경영성과 뿐만 아니라 재계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상생시스템으로서 동반성장을 위한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양방향적 성과공유활동이 신뢰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관계 형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프랜차이즈 시스템 구조 상 가변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신뢰 수준에 대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호의존성을 높이고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위험 또한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계약기반을 벗어나 상호 신뢰기반의 관계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가맹점 평균 사업 운영기간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에서 상생협력 활동을 통해 신뢰기반의 동반성장 모델 구축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전략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 영어 능숙도에 따른 성인 영어 학습자의 낭독 발화 리듬비교

        김하경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능숙도에 따른 한국인 영어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리듬 경향성과 약화 모음 [ə]의 구현 정도를 비교하고 강세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OEIC Speaking 점수를 영어 말하기 능숙도의 기준으로 삼아 성인 영어 상위 학습자 8명과 성인 영어 하위 학습자 8명을 선정하고, The boy who cried wolf 지문을 낭독한 녹음 자료를 분석하였다. 약화 모음 [ə]와 관련 있는 %V, VarcoV, VI 리듬 지수를 측정 변인으로 활용하여 각 학습자 집단의 리듬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약화 모음 [ə]가 포함된 단어에서 약화 모음의 포먼트를 측정하여 모음 분포도에서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강세 리듬 경향성의 기준으로써 성인 원어민 여성 2명의 낭독 발화 자료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학습자 집단과 하위 학습자 집단의 리듬 지수 %V, VarcoV, VI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상위 학습자 집단이 하위 학습자 집단보다 원어민과 비슷한 리듬 지수 결과를 보여주었다. 전체 구간에서 모음 비율을 의미하는 %V는 값이 낮을수록 강세 박자 리듬이라고 할 수 있다. 모음 간 표준 편차의 비율을 의미하는 VarcoV와 음절 변이 지수 VI는 값이 높을수록 강세 박자 리듬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상위 학습자 집단이 하위 학습자 집단보다 낮은 %V 값과 높은 VarcoV, VI 값을 보였기 때문에 보다 강세 박자 리듬 경향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상위 학습자 집단과 하위 학습자 집단의 약화 모음 [ə]의 발화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boy who cried wolf 지문에 포함된 7개 단어 에서 약화 모음 [ə]의 포먼트 F1, F2를 측정하였다. 이를 모음 분포도에 나타낸 결과 원어민 집단의 [ə]가 가장 중앙에 밀집하였고, 상위 학습자가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상위 학습자가 하위 학습자보다 모음약화현상을 보다 잘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강세 리듬과 모음약화현상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상위 학습자가 세 리듬 측정 공식에서 강세 리듬 경향성을 보였고, 약화 모음 [ə]를 보다 잘 구현하였기 때문이다. 즉, 모음약화현상이 강세 리듬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화 모음은 전체 발화 구간에서 모음 구간을 짧게 만들고, 완전 모음과의 편차를 크게 하며, 나아가 음절간의 편차를 크게 함으로써 강약강약의 강세 박자 리듬을 실현시킨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영어 발음 교육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리듬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강세 박자 리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화 모음 발음 연습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 보행친화적 관점에서 신시가지 주거지의 비교연구 : 목동, 상계, 해운대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김하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대중화는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자동차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도시공간이 차량 중심으로 계획되어지는 모습을 가져왔다. 차량중심의 계획은 도시생활에서 신체활동의 부족을 가져왔으며 건강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으로도 인식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생활에서의 보행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져 왔다. 이는 최근 보행중심의 도시, 서울로 개발, 지하보행공간개발, 차 없는 거리, 녹화거리, 둘레길 또는 올레길 등과 같은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 민간의 운동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모습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보행은 인간의 건강증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환경적 측면에서도 에너지절감과 같은 긍정적인 활동으로 장려된다 (성현곤. 2009). 즉 도시에서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쾌적한 보행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주거지 개발은 근린주구론에 기반한 가구단위 개발로 가구간의 보행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완결적인 가구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정동훈. 2005). 이에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보행친화적인 계획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된 신시가지의 대표적인 단지인 목동 상계 해운대를 보행전용로와 보행목적시설과의 연계성에 대해 분석하여 세 대상지의 실질적인 보행 계획을 파악해 봄으로써 앞으로 주거단지 보행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단지내 보행전용로가 루프형으로 중심을 가로지르고 있어야 하며 단지와 단지간의 연결 또한 우회 없이 동일 동선상에 설치되어 보행이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게끔 해야 한다. 둘째, 루프형의 보행동선은 아파트 단지와의 연결성을 가지고 있고 목적시설 또한 보행전용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고르게 분포되어있어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단지 내에 계획되어있는 보행전용로의 경계부근과 지구중심시설에 계획되어있는 보행전용로와의 연결이 횡단보도를 통해 동일한 선상에우회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야 중심시설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따라서 공동주택단지의 보행계획은 보행전용로가 직접적이고 합리적으로 연결되어야하며 주민들이 보행목적시설로의 접근이 편리한 위치에 계획되어야한다. 또한 지구중심시설과 연결될 때 보행전용로의 이용이 높아진다. 본 연구는, 보행계획이 고려되어 개발된 신시가지 단지의 보행로와 목적시설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행계획에 방향을 제시하여 지금까지의 아파트단지개발에서 적용되지 않았던 보행계획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보행친화적인 주거지 계획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