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와의 동거 여부와 미혼 여성의 결혼 이행:취업 여부 차이를 중심으로

        김필숙,이윤석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residence with parents on marriage for single adult women and the difference in this influenc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The data from the 1st(2007) to the 6th(2016)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from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gle women who are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are less likely to get married than those who are not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Second, those who are unemployed are more likely to get married than those who are employed. Third, although the coresidence status of unmarried women postpones their marriages, its influence vary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Single women who are not employed are likely to get married earlier than those who become employed when they are not in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re influencing their entrance into marriage. 이 연구는 미혼 여성들의 부모와 동거 여부가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 1차 연도(2007년도)부터 6차 연도(2016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따로 사는 미혼 여성들보다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여성들의 결혼 이행 확률이 더 낮다. 둘째, 미취업 상태인 미혼 여성보다 취업한 여성이 결혼 이행 확률이 더 낮다. 셋째, 부모와 동거 여부가 미혼 여성의 결혼 이행을 늦추고 있으나 이러한 효과는 취업 여부에 따라 다르다. 부모와 따로 살 때 취업 여성에 비해 미취업 여성의 결혼 이행이 더 빠르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가족 형태의 변화가 미혼 여성들의 결혼 시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아내 구타에 대한 원인과 대책

        김필숙,안수민,이현주,김은경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1 생활과학연구 Vol.5 No.-

        Of all forms of family violence, wife abuse ranks second, following child abuse, in terms of the attention it now receives in public, professional, and scientific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what is known about prevalence of wife abuse, to summarize theories on what causes wife battering, to describe current treatment modes, and to highlight some premising future directions. The term battered women in this paper will be used to describe women who have experienced physically injurious behavior at the hands of their husbands. Theories of wife battering are organized around three different levels of explanation: intraindividual, soci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Wife battering h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ct on battered wives. A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combat wife abuse. Initial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combatting wife abuse focused on the women who were its victims and included shelters, hotlines, cirsis inter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services for abused wives. In the second level preven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community about wife battering and to alter the societal attitudes which support it. Also it is effective to have a programs for men who batter. Treatments focusing on skills development and behavioral changes include methods designed to improve the men's ability to reorganize their stressors and react to them differently. Educational programs for couples and processionals are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배우자 지지와 기혼여성의 폐경 증상 불균등성

        김필숙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9 한국사회 Vol.20 No.1

        Menopause has important effects on women’s health and quality of life as the biological menopause accompanies various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change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moderating/modify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on post-menopausal wom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t has specifie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on 530 marri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on the Life of Middle-aged Women in Gyeeonggi Province (2011).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 who have reached menopause are found to experience physical symptoms (perspiration, flushing)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loss of the sense of feminine identity) more often than women who have not. Second, it i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e and these menopausal symptoms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pousal support. The higher the spousal support for women who have reached menopause, the weaker these symptoms are. The paper concludes that spousal support is consequential for the lives of women in Korea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menopause. 여성들이 경험하는 폐경은 이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폐경이 라는 생물학적 현상이 여성의 신체적 변화는 물론 다양한 심리적 변화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여성이 이와 같은 폐경 후 신체적 심리적 증상을 경험하는 데 에 배우자 지지가 갖는 조절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에서 여 성들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배우자 지지의 의의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 해 이 연구는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수행한 ‘경기도 중년여성 생활실태 조 사(2011)’자료를 사용해 기혼여성 530명을 대상으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경을 경험한 여성들은 폐경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보다 신체적 불편함(발한, 안면홍 조) 및 심리적 어려움(여성 정체성 상실감)을 더욱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폐경 여성이 겪는 이와 같은 신체적 심리적 증상은 배우자 지지 정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을 겪은 기혼여성 중 배우자 지지를 더 많이 받을수 록 신체적 심리적 폐경 증상을 경험하는 정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 구는 한국 사회 여성들의 삶에서 배우자 지지가 갖는 의미를 폐경 후 여성이 겪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 경험의 불균등성과 연관해 설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남편과의 관계, 사회적 관계 그리고 출산 의향: 초혼 및 재혼 차이를 중심으로

        김필숙,이윤석,김두섭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1

        This study examines potential factors, including couple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at affect marriage immigrant wives’ fertility intention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we found that marriage immigrant wives who had remarried were less likely to have intentions to give birth than those who had married for the first time. As marriage immigrant wives spent more time interacting with their Korean husbands and becam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ital life, they became more likely to plan an additional child. Moreover, they planned to have more children as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s and gatherings increased. Furthermore, we found that associ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fertility intentions were stronger for marriage immigrant wives who had remarried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first marital un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ertility intentions of marriage immigrant wives vary based on the status of the marital union.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간 대화, 결혼생활 만족도, 사회적 관계 요인이 초혼과 재혼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본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혼인 결혼이주여성들에 비해 재혼인 결혼이주여성들은 앞으로 자녀를 더 가질 계획이 낮다. 둘째, 남편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결혼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의향은 더 높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초혼에 비해 재혼인 경우 더 크다. 셋째, 모국인 모임, 지역사회 모임 등 다양한 사회적 모임 및 활동은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의향을 높이며, 이러한 효과는 초혼보다 재혼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혼이주여성의 출산 의향이 초혼과 재혼의 결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 30~4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Focus on 30's~40's of Married Men and Women

        김필숙,김태현 한국가족관계학회 200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9 No.3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ee how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8 married men and women who were in their 30's-40's and had at least one chil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jor leisure activities of the respondents was sports activities, and the average hours they spent were 10-15 hours per month.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score showed that the respondents were happy with the activities both parent-child relationship adaptation and couple's relationship adaptation. Second, sex and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ature of the leisure activities.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sex, education, job, and work condition. The period of time s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education, income, and job. Leisur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income.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sex, education, income, job, work condition, family type, and religion.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dapt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The couple's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and family type. Third, the period of time s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family relationship. Fourth,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sex,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married people's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However, leisure activities style,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and the period of time spending on leisure activities showed no impact on family relationship adaptation.

      • KCI등재

        맞벌이 기혼 남녀 관리자들의 일-가족 갈등

        김필숙(Phil-Suk Kim),이윤석(Yun-Suk Lee)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4

        이 연구는 일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생활이 일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여성 관리자 패널을 이용하여 맞벌이 기혼 여성 관리자 976명과 남성 관리자 296명을 대상으로 일-가족 갈등과 가족-일 갈등을 분석하였다. 여성 관리자들은 남성 관리자들에 비해 일-가족 갈등과 가족-일 갈등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다. 남녀 관리자들의 일-가족 갈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당 총 근로시간과 직장상사 지원이었다. 직장 내 차별 경험은 남녀 관리자들의 가족-일 갈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족갈등의 성별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This study distinguishes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We use the information from a sample of 976 female managers and 296 male managers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We find that women experience higher levels of both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s than men. The numbers of work hours and discrimination at the workpla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rk-family conflicts for both female and male managers, whereas supervisor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to the literature on gender differences in expectations and distributions of work and family roles.

      • KCI등재

        광고반응평가 범주의 중요성 비교

        김필숙 ( Kim Phil-suk ),정형안 ( Jung Hyung-ann ),이윤석 ( Yun-suk Lee ),조민희 ( Min Hee Ch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 논문은 광고 만족도 평가에 반응평가 각 범주의 중요성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피앰아이에서 운영하는 틸리언 패널을 통해 광고 제품에 따라 TV 광고에 대한 반응 평가가 어떻게 다른지 소비자 15,198명에게 설문 조사했다. 조사 대상은 15개의 TV 광고였으며, 광고 반응 평가는 총 12개 범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의 광고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추천 의향, 광고모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 만족도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차와 맥주 광고는 구매 의향이 광고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약품, 공기청정기, 화장품, 숙박 앱 광고는 모델 효과가 더 컸다. 반면, 이동통신 서비스와 신용카드 등의 제품은 브랜드 및 분위기가 소비자들의 광고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광고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제품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반응 평가를 측정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of ad response evaluation to advertisement satisfaction. For this study, we use the online Tilian panel, the largest online panel in Korea. We find that both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advertising model affect ad satisfaction. Also we find that ad satisfaction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s. These findings show the necessity of measuring various aspects of consumer response evaluation according to product-specific characteristics in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