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표토 활용 식재기반의 토양기능 개선효과

        김필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도시개발 둥에 불가항력적으로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표토를 자원으로 인식을 확대하고, 표토자원 활용 의무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현장발생토를 토양층위 특성을 고려하여 채취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식재기반으로 조성하였을때,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소나무의 생장량과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식재기반 조성유형별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토성의 경우 표토만 처리한 실험구가 사질식양토, 표토 및 심토를 혼합한 실험구와 심토를 처리한 실험구는 사질양토인 것으로 확인됐다. 토양 화학성의 경우 토양산도는 표토 및 표토와 심토의 혼합토를 처리한 실험구는 산성, 심토를 처리한 실험구는 알칼리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전도를 제외한 전체 항목에서 표토의 함량이 높을수록, 그 값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표토층에 가까운 토양을 식재기반으로 활용할수록 식재기반 조성시 표토의 배합비율이 높을수록 식물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토양기능의 개선을 위하여 처리한 복합비료 및 유기물층은 식재기반의 물리성 변화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으나 공극률 및 내수성입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현장에서 발생한 유기물층을 적용할 때 내수성입단율 증가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화학성의 경우에는 복합비료를 처리한 실험구와 비교하여 유기물층을 처리한 실험구에서 변화 양상이 뚜렷하였다. 각 처리별 분석 결과를 종합한 결과 유기물층 처리가 복합비료 처리에 비하여 토양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복합비료 및 유기물층 처리시 표토가 포함된 실험구는 공통적으로 화학성 전체 항목에서 표토가 포함되지 않은 실험구에 비하여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각 식재기반별 소나무의 생존율은 무처리(100%) = 유기물층(100%) > 복합비료(6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고 및 근원직경의 경우 표토를 처리한 실험구와 토양 기능의 개선효과를 위하여 유기물층을 처리한 실험구의 부피생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표토 및 유기물층을 활용하는 것이 소나무의 초기 생육에 긍적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양 중 표토와 유기물층은 식물생육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조경식재공사에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각종 건설 및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발생토를 무분별하게 처리하는 것보다는 표토 및 유기물층 등의 토양 층위별 자원가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채취한 후 해당 지역의 조경식재공사 등에 활용하는 것이 식물의 생육 및 생존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는 관리 필요성 저감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까지 고려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mandatory utilization of top soil resources which are being created as a result of city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examine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responses of Pinus densiflora when using topsoil as planting bas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il horizons. In terms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 horizon was sandy clay loam, B horizon was sandy loam and the mixture of two layers appeared as sandy loam which was identical to the B horizon. Each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of porosity and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In regards to chemical properties, the A horizon as well as the mixture of A horizon and B horizon showed acidity and the B horizon showed alkalinity. The figure of chemical properties was greater as the content of A horizon increased, whereas the figure of conductivity increased as the content of A horizon decreased. As a result of growing and developing the Pinus densiflora by each planting ground, the final survival rates were all above 100%. However, the tree height and the rate of growth for the diameter of roo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 horizon > A horizon + B horizon > B horizon, which indicates that the increased content of A horizon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The treatment of soil improvement agents used for recovering the functions of in-situ soil showing poor growth and development did not have a clear impact on the soil texture and porosity. However, the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using O horizon as the soil improvement agent among the types of in-situ soil. As such, using soil closer to A horizon as planting ground enabled stabilized physicochemical features of soil, leading to favorable plant growth. It is expected that using soil for civil work soil by categorizing them into O horizon, A horizon, and B horizon will contribute to reducing plant defects without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management. Also, additional economic effects are expected by the reduced necessity for plant management.

      • 우리나라 스포츠인터넷마케팅 현황과 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스포츠 웹사이트에 대한 사례분석 중심으로

        김필립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올해는 "2002한일월드컵축구대회"로 인해 세계의 이목이 한국과 일본으로 집중된다. 한국과 일본에는 각각 35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할 것이며, 전 세계에서 연 인원 600억 명의 시청자가 TV를 통해 경기를 지켜봄과 동시에 인터넷 상에서 수많은 월드컵 관련정보를 공유할 것이다. 새 천년의 첫 월드컵인 "2002한일월드컵축구대회“는 전에 열렸던 어떤 월드컵 대회보다 인터넷과 함께 하는 축제가 될 것이며, 숨가쁜 각국 선수들의 경쟁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네티즌에게 전달될 것이다. 그러나 이를 준비하는 국내 스포츠인터넷사이트는 초기단계이며 효과적인 인터넷 마케팅 활동을 위해서는 국내 인터넷 스포츠사이트의 현황 분석과 효과적인 발전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인터넷마케팅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의하고, 스포츠웹사이트를 분류함과 동시에, 스포츠웹사이트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스포츠인터넷 마케팅의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인터넷 스포츠 마케팅은, '인터넷 상에서의 스포츠의 마케팅(On-Line Marketing of the Sports)'과 '인터넷 상에서의 스포츠를 통한 마케팅(On-Line Marketing through the Sports)'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스포츠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가치를 높여주는 마케팅 활동으로 정의를 하였고, 둘째, 스포츠 웹사이트 분류로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 인터넷 스포츠 마케팅 정의, 인터넷 스포츠 정보 유형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되었고, 셋째, 스포츠 사이트 평가 모델로는 웹사이트 평가 항목 전반적인 느낌, 웹사이트의 목적, 컨텐츠, 메인페이지, 그래픽, 네비게이션, 레이블, 페이지 구성, 사용자분석, 운영 및 관리를 기본으로 하여, 사업성 측면과 내용구성,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항목에 의한 스포츠 웹사이트 평가모델표를 결과물로 얻었으며, 이상의 분석한 연과 결과를 종합하여 넷째, 스포츠 인터넷 마케팅의 효과적인 발전방안으로 1) 스포츠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스포츠비즈니스를 전개 2) 생존을 위해, 독점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핵심 기술(컨텐츠·서비스의 고도화) 확보 3) 확실한 수익구조와 명확한 이익 모델 구축 4) 스포츠 고객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강화 5) IT 선진기술에 대한 발 빠른 접목 6) 스포츠 컨텐츠 제공업체와 문화 엔터테인먼트 업체와의 co-marketing 7) 글로벌 마케팅 8) 정부의 지원과 투자, 제도적 규제완화 및 통합 등의 여덟가지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show trend of internet sports business, case of domestic internet sports business, analysis of good case study that study theoretic concept of Sports Internet Marketing. Also, analysis sports web site, developing model at same time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s web site that present effective development mode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1) The Internet Sports Marketing is on-line marketing of the sports and on-line marketing through the sports that make value-added product. It is also marketing activity that show great value of sports itself. 2) Divide the sport web site by 1. Sales, portal, mediation and contents service by merits of providing service. 2. Definition of Internet sports marketing 3. The game information by internet sports information type, statistics and record information, professional column, team/player/information of relative organization, moderate information tool for sports activity and bulletin board information. 3) For analysis of sports web site, arrange 3 major composition( business part, contents analysis, user interface) and 13 minor composition based on 10 analytical elements (Feeling, object of web site, contents, main page, graphic, navigation, label, page formation, analysis of user, managing and operation). 4) Present development model for sports internet marketing 1. Strength of internet marketing 2. Development of distinctive contents 3. Show continuing profit 4. Strength of data-base marketing for user 5. complement of digital technology 6. balance between media and entertainment industry 7. Globalization 8. Reconfirm of the legal program related to internet business. These are my 8 recommendation for this study. Our life styles have been changed by Popularity of computer and cyber space called ?Internet?. To follow up this trend, we should be concerned with internet sports marketing and there should be many more studies follow.

      • 관악단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필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관악단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지적장애 학생의 대부분은 주의집중력에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의집중력의 결함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며, 학습의 실패로 인해 대인관계에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사회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지적장애 학생에게 주의집중력의 향상은 학습, 사회성 등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해선 지적장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동기부여를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음악 활동의 경우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시각, 청각, 촉각을 자극하여 흥미를 줄 수 있는 좋은 자극제가 될 수 있다. 그중 관악단 활동을 통해 학습하게 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주의집중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 G 구 소재의 H 학교로 관악단 활동을 하는 경도 지적 장애 학생 중 연구에 참여 동의를 구한 7명이다. 연구 진행은 2016 9월 1일부터 2016년 11월 24일까지 12주간 주당 1에서 3회를 진행하였으며, 관악단 활동을 매회 40분씩 22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주의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해 FAIR주의력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22회에 걸친 관악단 활동은 FIAR주의력검사의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비교해본 결과 P(능력지수)는 PR – 6.7(STN – 0), Q(통제지수)는 PR – 28.4(STN – 2), C(지속성 지수)는 PR – 9.4(STN – 1)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관악단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지적장애 학생들이 주의집중력을 향상하는 교육적 방법으로서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물류보관시설 평가체제에 관한 연구 : 사용후 평가에 의한 경쟁요인 및 평가모형 개발

        김필립 仁川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물류보관시설은 물류거점으로도 불리며 재고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지점인 결절부분에 해당한다. 물류보관시설에서의 사용후 평가(POE: Post Occupancy Evaluation)는 물류보관시설 사용자가 각종 시설과 공간을 사용한 후 물류보관시설 환경에 대한 만족 수준에 대한 의사표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물류보관시설 평가는 경쟁력 향상을 위한 선도 표준이 될 경쟁요인 선정 및 평가체계 구축에 의해서 이뤄지므로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평가보다는, 물류보관시설의 계획 건설 운영 이용 관리 평가에 직 간접적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있는 기획자?사용자?공급자(이하 '물류보관시설의 사용 후 평가 3축')의 사용후 평가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물류보관시설 성능을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 할 것인가를 설명할 수 있는 경쟁요인 분석 및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서 물류보관시설 성능 개선을 위한 평가 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물류보관시설의 사용후 평가는 평가 3축의 만족도(중요도)를 종합적으로 분석된 기법이 요구되며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조사인 전문가 정합성조사와 전문가 표적집단면접으로 이해관련집단인 평가 3축(다면평가시스템을 도입)이 기대하는 물류보관시설 경쟁요인을 측정 분석하여 평가기준요소(평가항목)를 선정하였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여 48개의 평가기준요소를 5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후 계층화하였다. 셋째, 문헌조사와 예비조사로 예측된 물류보관시설 평가의 종합적인 체계를 실증분석으로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과 각 물류보관시설의 이해관련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시기, 평가항목과 기준 등 실증적이고 타당성 있는 물류보관시설 평가체계를 검증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물인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물류보관시설 평가체계모형인 ‘물류센터생애주기모형’(Life Cycle of Logistics Center)의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 평가주체 : 사용후 평가 3축(공급자, 기획자, 사용자)의 참여 · 평가 : 사전평가→실행평가→사후평가 · 정합성 조사 : 물류보관시설에 대한 목적성, 기능성, 요구성 조사와 분석 · 평가업무 범위 : 하드웨어 물류센터에서 부터 확장된 물류센터 과정까지의 조사와 분석 · 협업적 물류보관시설 관리 : 사용후 평가 3축이 모두 참여하여 정보 공유와 상호이익관계 및 협력체계 조사 분석 · 생애주기(Life Cycle) : 물류보관시설의 시작과 성장, 쇠퇴하는 전체 생애주기 동안 지속적인 평가체계를 위한 조사 및 분석 다섯째, 물류보관시설 평가체계 모형을 기반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평가주체별 물류보관시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산출하였다. 이는 평가요인 간 상관관계(식)와 만족도 측정모델 개발을 위한 지수로 사용될 것이며, 제시된 모델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는 물류보관시설의 총체적인 만족 수준과 개선우선순위(개선필요도)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물류보관시설 산업과 물류보관시설을 운영하는 개별 기업의 성능에 대한 수준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물류보관시설 개발 프로세스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시설의 시장 경쟁력 향상을 위한 평가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되는 말 : 물류보관시설, 평가체계, 사용후평가, 델파이조사, 평가 3축, 평가기준요소, 다면평가시스템, 표적집단면접, 조합비교법, 인자분석 Logistics centers, commonly known as logistics footholds, are nodes where the flow of inventory stops temporarily. The definition of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in logistics centers is subjective expression of user's intention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after use of many kinds of the utilities and space.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logistics centers is composed selection of competition factors which will be the leading standards for the better competitiveness and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Therefore, POE of planers, users and providers(next 'logistics centers' evaluation with 3 axes) who are mutually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logistics centers in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utilization, management is considered rather than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only for users. The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logistics centers aims to provide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better logistics centers performance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ompetitiveness factors and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which would explain how to measure logistics centers performance and evaluation. The POE of logistics centers needs the comprehensive technique analysing satisfaction(importance) of evaluation with 3 axes.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valuation standard factors(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by the measurement of logistics centers competition factors which are necessary to evaluate 3 axes and the experts consistency survey as preliminary study. Secondly, from the result of factors analysis a total of 48 evaluation factors in 5 groups were stratified and assembled. Thirdly, the overall logistics centers evaluation system including evaluation subject,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time, evaluation factors and standard which were anticipated from literature and preliminary survey were verified through Delphi Technique and interest group survey as an empirical analysis. Fourthly, this study arranged and compiled the factors of 'Life Cycle of Logistics Center' that is logistics centers evalu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objectively measurable evaluation model. • Evaluation subject : participation of evaluation with 3 axes(planers, users and providers) • Evaluation : preliminary evaluation → evaluation → post evaluation • Consistency survey : logistics centers inquiry and analysis in object, function, demand • Evaluation scope : inquiry and analysis from hardware logistics center to extended logistics center • Collaborative logistics facility management : inquiry and analysis of information exchanges and cooperative system among evaluation with 3 axes • Life cycle : inquiry and analysis for the consistent evaluation system during the whole of logistics centers lifetime from beginning, growth to decline Fifthly, improvement order of priority for the existing logistics centers was determined by correlations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model calculated from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evaluation subjects produce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logistics centers evaluation system model. The study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e the standard of logistics industry and performance of each companies running logistics centers and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for improving industry competitiveness through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centers development process. Key words : logistics centers, evaluation system,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delphi technique, evaluation standard factors, multilateral evaluation system, focus group interview, paired comparison, factor analysis

      • 통계적 도로교통 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도시구성요소 기반 인공신경망 모형

        김필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로, 철도 항공기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는 지역 내, 광역 간 인적 · 물적 자원 의 수송을 담당하며, 도시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필수 사회 기반 시설이다. 특 히 도로교통은 지방도, 간선도로 및 고속도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도심을 포함한 주거 지역에 밀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 거주민의 생활 환경에 직 ·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로교통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 중 특히 소음 · 진동은 국내 환경 민원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피해 내용 중 약 36%가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을 정도로 영향이 크다. 이렇 게 도로교통에 의한 소음에 지속적, 장기적 노출은 불쾌감 호소, 수면 장애 발생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유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 피해를 예방하기 위 하여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자료를 기반으로 소음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 여 소음 노출 인구 분석, 저감 대책 수립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소음 환경 관리를 위한 소음지도의 작성은 높은 활용성에도 불구하고, 작성 과정에서 의 다양한 자료, 소음지도를 활용하기 위한 숙련된 인력과 기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고성능의 컴퓨팅 시스템과 긴 연산 시간 등이 필요하여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를 구성하고, 특성을 반영하는 인구, 교통, 건물, 토지이용 도의 다양한 도시구성요소와 도로교통소음의 관계를 기반으로 도시구성요소를 이 용하여 도시 내 소음 분포를 검토할 수 있는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형을 제 안한다. 광주광역시를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도로교통소음과 도시구성요소 의 대푯값을 산정하기 위한 적정 크기의 격자시스템을 선정한다. 도로교통소음의 대푯값은 기존에 작성된 3차원 외벽소음지도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도시구성요소 는 소음지도 작성에 활용한 3차원 도시 모형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200m×200m 격자시스템을 적용하여 산정한 도시구성요소와 도로교통소음의 관계 분석을 위해 기초 선형 모형인 통상최소자승 모형, 단일은닉층을 포함한 인공신경망모형 그리 고 두 가지 형태의 합성곱신경망 모형을 선택한다. 통상최소자승 모형과 단일은 닉층-인공신경망 모형은 하나의 격자에서 도로교통소음을 산정하기 위하여 해당 격자의 도시구성요소 자료만을 활용하며, 합성곱신경망 모형은 해당 격자의 도시 구성요소 자료와 함께 인근 8개 격자를 활용하는 3×3 합성곱신경망 모형, 인근 24개 격자를 활용하는 5×5 합성곱신경망 모형으로 구분된다. 광주광역시의 자료를 모형 훈련을 위한 학습자료와 모형 검증을 위한 시험자 료로 구분하고, 먼저 학습자료를 기반으로 네 개의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 형을 작성하였다. 각 모형에 시험자료를 적용하여 계산된 통계적 소음도와 공학 적 소음도의 상관관계 및 결정계수를 분석하고, 두 소음도간 오차 범위에 따른 격자의 갯수를 분석하여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각 모형의 정확도를 보다 상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공학적 소음도 범위별로 통계적 소음도와 관계를 분석하 였고, 50dB(A) 이하 구간에서 통상최소자승 모형과 단일은닉층-인공신경망 모형 의 계산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격자를 대상으로 도시구성요소 분포를 검토한 결과, 인구 및 건물 관련 도시구성요소의 특성을 3×3 합성곱신경 망 모형과 5×5 합성곱신경망 모형이 잘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로 교통량과 같은 도로 관련 도시구성요소가 해당 격자에 존재하지 않고, 인근 격자 에만 존재하는 경우 통상최소자승 모형과 단일은닉층-인공신경망 모형은 이를 반 영하지 못하여 통계적 소음도를 제대로 산정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주 광역시의 통계적 소음도와 도시구성요소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학적 소음도와 도시구성요소의 관계와 유사하였다. 각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형에서 도시구성요소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으며, 도시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소음도의 정량적 변화를 간접 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로 면적 밀도, 도로 교통 량, 상업지역 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도시구성요소로 나타났으며, 인구밀도, 방음벽 면적 비율, FSI, 차량 운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별 도시구성요소의 민감도 분석 결과는 방음벽 면적 밀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시구성요소가 공학적 소음도-도시구성요소의 관계, 통계적 소 음도-도시구성요소의 관계와 유사하였다.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도시구성요 소가 통계적 소음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소음도의 변화 폭이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개의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형을 광주광역시에 적용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을 때 5×5 합성곱신경망 모형의 성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형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일 부 도시구성요소 변화에 따른 통계적 소음도의 변화와 다른 도시인 청주시의 통 계적 도로교통 소음지도 작성 결과를 검토하였다. 광주광역시의 FSI, 도로 교통 량, 대형차량 혼입률 변화에 따른 통계적 소음도의 변화는 도시구성요소의 민감 도 분석 결과, 도시구성요소 변화에 따른 공학적 소음도의 예상 변화량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청주시의 통계적 소음도는 두 합성곱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였을 때 공학적 소음도에 비해 과대평가되는 편의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공학적 소음도 와 통계적 소음도의 선형 상관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시의 공학적 소음 지도의 자료를 임의 추출하여 통계적 소음도를 보정한 결과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형의 다른 도시의 적용 및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두 활용성 검토 결과는 현장 측정 소음도와 비교 검증 과정이 생략되었으므로 현장의 측정 소음도와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합성곱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통계적 도로교통소음 산정 모 형을 이용하여 공학적 소음지도의 작성 이전에 도시 내 도로교통소음의 분포를 개 략적으로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로교통에 의한 소음뿐만 아니라 도 로교통을 배출원으로 공유하는 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의 분 포를 동시에 산정하는 환경오염인자의 통합 산정 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Traffic infrastructure, such as road-, railway- and aircraft-, is responsible for transportation of human and resources in cities, and is an essential social overhead capital for urba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Especially, road- traffic is located near the residential area, so it affects on urban resident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complaints of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road-traffic accounts majority among various environmental associated complaints in Republic of Korea. Continuous and long-term exposure to noise could cause annoyance, sleep disturba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order to prevent adverse effects of noise, the noise map was developed based on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 and it used to manage the noise environment of urban area. Although the utility of noise map is high, there is a high barrier to entry for utilize noise map, because the development of noise map needs many resources and tim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form indicators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 and road-traffic noise was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statistical models for calculating the road-traffic noise based on urban form indicators were developed. 200m×200m grid cell system was applied to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representative values of road- traffic noise level and urban form indicators were calculated in each grid cell. Ordinary least squares(OLS), single hidden-layer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and tw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were chosen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form indicators. And the CNN model is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one is a 3×3 CNN that utilize the urban form indicators of 9 grid cells including neighboring cells to predict road-traffic noise of a grid cell. And the second one is 5×5 CNN that utilize the urban form indicators of 25 grid cells including neighboring cells to predict road-traffic noise of a grid cell. The dataset of Gwangju were divided into training and test dataset. And the training dataset were used to train statistical road-traffic calculation models, the test dataset were use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odels. As results, statistically calculated road-traffic noise level of 5×5 CNN model was most similar to acoustically-calculated noise level in total dataset of Gwangju.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stically and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was analyzed according to scope of acoustically predicted noise level to verify accuracy of the models in detail. The correlation of between statistically calcuated noise level using OLS and ANN model and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was small in the grid cells that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was lower than 50dB(A). The grid cells did not traffic- related urban form indicators but neighboring cells contained traffic-related urban form indicators. So, stati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of OLS and ANN model was underestimated than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The two CNN models could reflect urban form indicators of neighboring cells. As result, the explanatory power of two CNN models that utilize urban form indicators of neighboring grid cells were better. To investigate effects of urban form indicators of statistical road-traffic noise calculation model, relative importance and sensitivity of urban form indicators were analyzed. The commonly and relatively important urban form indicators were road area density, traffic volume. and fraction of commercial area. Population density, noise barrier area density, FSI, and traffic speed were less important than other urban form indicators. Also, the quantitative effects on the road-traffic noise level according to change of urban form indicators were diverse, and there is even a greater impact due to changes in neighboring grid cells at some urban form indicators. 5×5 CNN model was best model to calculate road-traffic noise level based on urban form indicators among four statistical models. The utility of statistical road-traffic noise calculation models was tested through calculation of noise level by changing urban form indicators of Gwangju. Also, the models were applied to another city to develop statistical road- traffic noise map. The change of noise level of Gwangju according changing of urban form indicators was similar to sensitivity analysis, and expected change of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Stati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of Cheongju using two CNN models was overestimated than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but linear correlation between statistically and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was higher than other models. Calibrating stati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using random sampled acoustically calculated noise level improved explanatory power of CNN models. The statistical road-traffic noise calculation model which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check distribution of road-traffic noise in urban area roughly. And it would be available as a basic data for selecting noise problem- expected area. Air pollutants such as ultrafine dust, nitrogen oxide share road-traffic as emission source. Also the models could improve to calculate not only noise, but also air pollu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