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近代日本의 <東京表象>硏究-明治前期를 中心으로-

        김필동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7 일본학연구 Vol.22 No.-

        80年代から江戶․東京學に對する關心が日本の學界で高まっている。「東京」においても多樣な硏究方法によって、江戶時代以來、或は明治以後の東京人が蓄積してきた生活をはじめ、その舞台になった都市空間を再評価しようとする動きが活發に展開されている。その背景には、東京の魅力喪失や伝統への溫存意識、そして人間に住みよい環境造成という問題意識が內在されているようである。硏究史的にみても生活史や都市地理、都市計畵學の觀点からの分析が目立っている。 江戶․東京學におけるこのような動向を念頭におきながら本稿では、文明開化期の思想的流れとこれを先導する明治國家の近代化政策が、大変革期に處された庶民達の心情的世界に及ぼした影響とその結果を分析した。具体的には、近代日本の文明開化を象徵した都市「東京」を中心に、分明開化の發展樣相とその中で生活者としての新しい生き方を營む庶民の心情的世界、そしてそれに反映して現れる東京「表象」の歷史的意味などを檢討した。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戦後日本の対外経済協力構想に関する少考―1950年代アジア「文化外交」の基盤という観点から―

        김필동 한국일본학회 2009 日本學報 Vol.79 No.-

        敗戦後の日本はアメリカ占領軍の支配下におかれていたので、日本の外交も基本的にはアメリカの対外政策を支持・反映する以外に選択の余地はなかった。その日本の外交が、名実共に自主独立国家としての道を歩み始めるようになったのは、アメリカの対日占領政策の変化と韓半島の戦争、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の締結などが実現されてからである。この頃から、戦後日本の安全保障と戦後復興、そして高度経済成長による経済大国化への道が開かれるようになった。 この経緯を踏まえ本稿(後編・上)では、とりあえず1950年代を中心に、戦後日本の「国家像」造り、戦後外交における「文化外交」の重要性認識の背景、文化外交の実態及びその時代的意味等を概略した「前編」に続いて、戦後復興を通じた日本の「対外経済協力構想」の持っている時代的意味を「文化外交」との関連性の中で検討した後、次稿(後編・下)では、これと結び付いたアジア・欧米文化外交の実態(推移と特徴)を具体的に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1950年代における日本の文化外交の全容を明らかにしようとする。

      • KCI등재

        제국일본의 ‘일본문화’ 인식

        김필동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1 No.-

        일본사회에서 「문화」가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이후이다. 근대사회 형성기 일본의 지식인사회는 「문화」를 「고도의 정신적인 소산」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근대국가의 시스템이 거의 완성된 19세기 말이 되면 국내외 정세의 변화를 반영하여 「문화」에 대한 인식이 내셔널리즘과 결합하는 경향을 보고, 동시에 「문화」에 대한 인식도 대중성을 확보하기 시작한다. 문화에 대한 일본사회의 인식확대와 일본문화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은 다이쇼시대(大正)를 거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식자층을 중심으로 일본의 전통 속에서 「일본문화」를 발견하여 근대적으로 재해석 하려는 움직임과 자본주의의 발달과 함께 형성된 대중사회 속에서 「대중문화」로 수용하려는 흐름이 동시에 형성된다. 특히 전자는 일본의 본격적인 대외침략과정에서 싹트기 시작한 「일본문화」의 대외선양(宣揚)의식과 맞물리면서 「문화」에 대한 인식이 보다 국수적인 성격을 띠게 되고 개념자체도 탄력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짙어진다. 이 무렵부터 일본은 국제적인 지위변화를 반영하여 「동방(東方)문화」를 대표하는 일본의 문화・사상의 「해외선양」을 국가의 주요정책으로 설정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문화는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국일본의 지배층이 대외팽창과정에서 「일본문화」를 어떻게 인식하여 외교수단으로 활용했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일본문화인식에 대한 일본사회의 역사적 기반을 검토했다. In Japanese society, culture was mentioned after the modern era. The formative period for the modern era considered culture as the highest spiritual product in Japanese intelligence society. The latter part of the 19th century, however, in which the system of the modern nation had almost been established, showed the tendency that perception about culture had coalesced in to nationalism. Coincidentally, the perception of culture was starting to become popular. The revaluation movement about Japanese society that had appeared expansion of perception for culture and cultural entities of Japan had been observed in a more specific form through the Taisho period. Centralization around pundit class had emerged new movement to reinterpret Japanese culture from Japanese tradition. Furthermore, a new stream that had attempted to embrace Japanese culture as a pop culture had evol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at the same tim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how the ruling class in Japan perceived Japanese culture during their policy of foreign expansion. Additionally, based on the first question,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in detail how they utilize Japanese culture as diplomatic mea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Japanese society about the perception of Japanese culture.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일본의 대학 개혁의 전개: '대학심의회' 활동을 중심으로

        김필동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2 국제지역연구 Vol.11 No.3

        University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87 in order to give recommendations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on the practical measures for enhancing, individualizing and invigorating higher education. It functioned as the prime mover of higher education reforms in the 1990's by means of many reports submitted to the Minister especially after 1991. As the results, Japanese universities have experienced many changes in the spheres of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methods,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and governance structure after 1990's. These changes were the results of the long standing policy needs and academic researches for Japanese higher education reform, and resulted from the social pressures owing to economic crises in the 1990s' Japa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criticisms that the fruits of reforms are not sufficient and the reforms have a bent for external one. Therefore the reforms in the 1990s' are evaluated as 'half success.' However, Japanese higher education reforms are very suggestive to Korean higher education holding similar reform tasks in common. 대학심의회는 교육연구의 고도화·개성화·활성화 방안에 대해 문부대신에게 자문할 목적으로 1987년에 설치되었는데, 특히 1991년 이후 수많은 답신을 제출함으로써 1990년대 대학개혁의 추진체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1990년대 이후 일본의 대학은 교육 과정과 방법, 교육·연구체제, 그리고 지배구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개혁에 대한 오랜 정책적 요구와 학문적 성과를 수렴한 결과인 동시에, 1990년대 일본의 경제적 위기가 낳은 사회적 압력의 산물이다. 그러나 개혁의 성과가 미진하다거나 내실보다는 외형적 개혁에 치중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대학개혁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일본 대학개혁의 과정은 비슷한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의 대학개혁에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 KCI등재

        근세일본인의 정신문화 ― 일본인의 직업윤리의 역사성 ―

        김필동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7

        일본인의 사유양식을 언급할 때 국제사회에서 언급하는 내용들은 대동소이하다. 근면, 검약, 정직, 예의, 인내, 친절, 배려 등과 같은 단어를 주로 떠올린다. 그러나 일본인의 사유양식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것은 세계에서 저축률이 가장 높은 국민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럼 일본인은 왜 근면하고 저축률이 높은 민족일까. 이를 자본주의 정신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덕목이 아닐 수 없고, 그 덕목을 일본사회는 역사를 통해서 스스로 형성해 왔다. 일본의 역사에서 그런 역사성을 갖고 있는 인물을 거론한다면 스즈키 쇼산(鈴木正三)과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을 주목할 수 있다. 필자 역시 「근면」과 「검약」이라는 일본인의 사유양식과 일본인의 노동윤리의 역사성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인물로 두 사람의 사상을 중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사회에서 일본인의 직업윤리를 최초로 설파했다고 할 수 있는 스즈키쇼산의 사상과, 그의 사상을 계승하여 근세 중・후기 일본사회에 「상인의 도(道)」를 전파하면서 일본인의 직업윤리 확립과 전승에 커다란 공헌을 한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의 사상을 중심으로, 그들이 주창한 직업윤리의 사상적 특징과 시대적 의미, 그리고 그들의 사상이 일본인과 일본사회의 사유양식(思惟樣式)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으로 전승되었는가를, 일본인의 사유양식이 만들어 낸 일본적 자본주의 정신의 역사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Information referring to the Japanese mindse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imilar. The emphasis is on values such as diligence, frugality, honesty, courtesy, patience, kindness, and caring. However, the fact that Japanese people have the highest savings rate in the world remains unknown despite the general assessment of the Japanese way of thinking. The question is: what is the reason for the diligence found among Japanese people and why do they maintain such a high savings rate? Although this is a very important virtue from the viewpoint of their capitalistic spirit, Japanese society has transformed itself through history. Two notable persons, who are such historical characters in Japanese history, are Suzuki Shosan and Ishida Baigan, both of whom merit further attent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thought of both of these individuals as people who have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way of thinking, their embracement of ‘diligence’ and ‘frugality’, an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bor eth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ology of Suzuki Shosanwho first sought the Japanese occupational ethics in Japanese society and the idea of ​​Ishida Baiganwho propagated “the idea of ​​the merchant.” The analysis considers how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rk ethic, the meaning of the period, and their influence on the Japanese way of thinking and Japanese society are inheri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ity of the Japanese capitalistic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