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스타나 도시풍경에 반영된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 정체성 건설의 딜레마

        김태연 ( Kim Tae Y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의 새로운 수도 아스타나의 도시풍경에 그 정체성이 표현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딜레마를 고찰하는 것이다. 소비에트 과거는 포스트소비에트 정체성 건설 과정에서 배제되어야 하는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표상하고 기억하는 건축물과 기념물이 도시 공간에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에트 과거의 딜레마를 찾을 수 있다. 카자흐성은 나자르바예프 정권이 표방하는 새로운 정체성 비전의 하나지만, 역사적ㆍ현실적 조건과 요인으로 인해 아스타나 도시풍경에서 불완전하게 때로는 모호하게 표현되고 있는 딜레마를 노정한다. 현대성 또한 정권이 아스타나 도시풍경의 (재)구성을 통해 표출하려 하는 정체성 중의 하나지만, 카자흐성처럼 불완전함의 딜레마뿐만 아니라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는 딜레마도 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ilemmas arisen in the process of post-Soviet Kazakhstan’s identity being expressed in its new capital city Astana’s cityscape. Although the Soviet past is an object that has to be excluded in the process of post-Soviet identity construction, a Soviet past dilemma can be found in that the architectures and monuments to represent and remember the Soviet past still continue to exist in the urban space. Kazakhness is one of the new identity visions that Nazarbayev’s regime asserts, but it has a dilemma of being expressed incompletely, sometimes ambiguously in Astana’s cityscape due to the historial and practical conditions and factors. Sovremennost’ also is one of the identities that regime seeks to display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Astana’s cityscape, but it has, like Kazakhness, an incompleteness dilemma, and moreover, a dilemma of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 KCI등재

        중앙아시아에서 억압을 기억하는 세 가지 방식: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탄압의 희생자 박물관 비교연구

        김태연 ( Kim Tae Y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9 도시인문학연구 Vol.11 No.2

        이 글은 포스트소비에트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건립된 4개 탄압의 희생자 박물관―타슈켄트 박물관, 카를락 박물관, 알지르 박물관, 아타-베이트―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우선 이 글은 박물관 전시 구성 및 박물관건립 의도와 관련되며 박물관 관람객의 체험과 인지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이들 탄압의 희생자 박물관의 위치적ㆍ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4개 박물관의 전시 구성과 전시 서사, 즉 이들 박물관에서 전시가 조직된 방식과 이를 통해 박물관이 전달하려는 전시의 주제를 비교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중앙아시아 각국 정권이 탄압의 희생자 박물관을 건립한 의도와 그 사회정치적 의미를 논의한다. 이는 중앙아시아 탄압의 희생자 박물관을 각국의 사회정치적 구조ㆍ과정ㆍ맥락 속에 위치시켜 고찰하고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study of four museums of victims of repression in post-Soviet Uzbekistan, Kazakhstan, Kyrgyzstan: Tashkent Museum, Karlag Museum, ALZHIR Museum, and Ata-Beyit.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loca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museums that are related to the exhibition composition of the museum, the purpose of building the museum, and museum visito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en, this research carries out a comparative work looking at these four museums’ exhibition composition and the exhibition narratives, that is how the exhibitions are organized in these museums and what themes the government of each country in Central Asia tries to convey by arranging the exhibitions in such way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purpose of Central Asian government’s building the museum of victims of repression and the sociopolitical meanings of the construction of this kind of museum. In doing so, this paper situates these museums of victims in Central Asia within the sociopolitical structure, process, and context of each country.

      • KCI등재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의 2차 세계대전 기념물 -다르게 말하기와 기억의 조작 사이에서

        김태연 ( Kim Tae Y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1

        이 글의 목적은 리쾨르의 실천적 차원에서의 기억의 실행 개념에 의거하여 포스트소비에트 카자흐스탄에 건립된 2차 세계대전 기념물의 사회정치적 역할과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들 기념물은 주로 에스닉 카자흐인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소비에트 전쟁 기념물의 그것과 상이한 조형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다르게 말하기’를 실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리쾨르가 제시한 타인에게 그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말하게 하기라는 ‘다르게 말하기’ 개념과는 다르다. 한편 이들 기념물이 승전에 기여한 이들로 에스닉 카자흐만을 재현하고 있으며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다는 점은 이들 기념물이 ‘기억의 조작’ 또한 실행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처럼 이들 기념물 건립을 통한 기억의 실행은 ‘다르게 말하기’와 ‘기억의 조작’의 성격을 모두 나타내는데, 이는 기념물 제작을 주도하고 있는 정권의 국가 중심적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sociopolitical roles and meanings of World War II monuments built in post-Soviet Kazakhstan based on Paul Ricoeur’s conception of the exercise of memory on the practical level. It could be said that theses monuments are exercising a sort of ‘telling otherwise’ in that they are mainly giving shape to ethnic Kazakhs and are showing formativeness quite divergent from that of Soviet war monuments. But this ‘telling otherwise’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ion of ‘telling otherwise’ presented by Ricoeur as letting others tell their own experience and memory. Meanwhile that these monuments are representing only ethnic Kazakhs as the ones who contributed to victory in war and are given shape out of accordance with historical facts is telling that these monuments are also exercising the ‘manipulation of memory.’ It could be said that in this way the exercise of memor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se monuments assumes the character of both ‘telling otherwise’ and the ‘manipulation of memory’, which stems from state-centric thinking of the regime that is taking the lead in producing monuments.

      • KCI등재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이슬람운동(IMU)과 타지키스탄 이슬람부흥당(IRPT)의 발생 조건과 요인 비교연구

        김태연 ( Kim Tae Yon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이 글은 한때 급진 이슬람 운동이라는 평판을 얻었던 우즈베키스탄이슬람운동(IMU)과 타지키스탄이슬람부흥당(IRPT)의 정치적 기회구조, 동원구조, 프레이밍 과정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소비에트 말기 IMU와 IRPT의 국내정치적 기회구조는 이전 시기보다 열린 것으로서 유사했지만,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들어서 IMU는 닫힌 국내정치적 기회구조와 열린 국제정치적 기회구조에, IRPT는 열린 성격과 닫힌 성격을 모두 갖는 국내ㆍ국제정치적 기회구조에 놓이게 되었다. IMU와 IRPT의 주요 동원구조는 비공식적인 초국적ㆍ지역적 네트워크라는 유사성을 나타냈는데, 이때 IRPT의 동원구조가 보다 다변화된 것이었다. IMU가 표방한 프레임은 포괄적이지만 경직된 극단적 대립 프레임이었다면, IRPT가 채택한 프레임은 포괄성과 유연성을 모두 나타낸 것이었지만, 동시에 온건주의와 급진주의를 오가면서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기도 했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mobilizing structures, framing processes of the Islamic Movement of Uzbekistan (IMU) and the Islamic Renaissance Party of Tajikistan (IRPT), both of which had at one time earned a reputation as the radical Islamic movements. In the late Soviet period domestic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of the IMU and the IRPT were similar ones that became more open than before. But entering the post-Soviet period, the IMU faced open domestic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and closed international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e IRPT -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that had both openness and closedness. Main mobilizing structures of the IMU and the IRPT showed a similarity, that is informal transnational and regional networks, and yet mobilizing structures of the IRPT were more multifaceted. While the IMU advocated an inclusive but rigid frame of extreme confrontation, the frame that IRPT adopted was the one that showed both inclusivity and flexibility but at the same time the inconsistent one that went back and forth from moderatism and radicalism.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람 담론과 무슬림 정체성: 영토화와 탈영토화 개념을 중심으로

        김태연 ( Kim Tae Yon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1 러시아연구 Vol.31 No.2

        이 글의 목적은 통시적 접근의 채택과 ‘영토화’ 및 ‘탈영토화’ 개념의 적용을 통해 사회현상으로서의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즉 우즈베키스탄 정권의 이슬람 담론과 대중의 무슬림 정체성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포스트소비에트 우즈베키스탄 정권의 이슬람 담론은 국가의 세속성 원칙 주장과 이슬람에 대한 이분법적 인식을 특징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담론은 제도화를 통한 국가 관리라는 전후 시기 소비에트 정권의 중앙아시아 이슬람 정책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이슬람 영토화 전략이다. 한편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대중의 종교성 수준은 일반적인 고정관념과 달리 그리 높지 않은데,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삶이 이슬람과 무관한 것은 아니어서 이들은 나름의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무슬림 정체성을 표현ㆍ실천하고 있다. 오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러한 우즈베키스탄 무슬림 대중의 다양한 이슬람 관련 행위ㆍ활동은 탈영토화의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Islam in Uzbekistan as a social phenomenon, i.e. regime’s Islamic discourse and the public’s Muslim identity in Uzbekistan by adopting a diachronic approach and applying the concepts of ‘territori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Regime’s Islamic discourse in post-Soviet Uzbekistan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assertion of the principle of state secularism and the dichotomous perception of Islam. This is a territorialization strategy that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as the Soviet regime’s policy toward Islam in Central Asia in postwar period, i.e. state control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Meanwhile, unlike a general stereotype, the level of religiosity among the Muslim public in Uzbekistan is not very high,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ir life is irrelevant to Islam. They are expressing and practicing their Muslim identity on their own terms in a variety of ways and forms. These various Islam-related behaviors and activities of the Muslim public in Uzbekistan, which date back to early times, could be interpreted as a movement of deterritorialization.

      • KCI등재

        소비에트 말기 및 포스트소비에트 초기 타타르 민족주의 운동의 부상과 쇠퇴

        김태연 ( Tae Yon Kim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러시아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역사적 제도주의와 사회운동론의 개념적 도구와 분석틀을 사용하여 소비에트 말기 및 포스트소비에트 초기 타타르 민족주의 운동이 대중적 지지를 받으며 부상했다가 빠르게 쇠퇴한 현상을 낳은 조건과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타타르 민족주의 운동의 등장은 결정적 분기점의 시기에 정치적 기회구조가 확대되고 운동이 주장한 민족적 경제 불평등프레임이 대중적 지지를 얻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때 소비에트 민족 제도는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대, 운동의 조직 구성, 민족주의 운동의 프레임에 대한 지지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타타르 민족주의 운동의 쇠퇴를 낳은 요인으로는 달라진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정치현실에서 정치적 기회구조의 축소, 공고화된 지방 엘리트의 억압, 지방 엘리트의 주권 프레임의 작용을 들 수 있다. 공화국 엘리트의 대항프레임은 공화국의 역사적·경제적조건과 필요를 반영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대중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달리 말하면, 지역 차원에서의 경합의 정치 혹은 프레이밍 경쟁에서 공화국엘리트가 우위를 점함으로써 운동의 탈동원이 일어난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conditions and factors that caused the rise of the Tatar nationalist movement and its rapid decline in the late Soviet and the early post-Soviet periods, using the conceptual tools and analytical framework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social movement theory. What made possible the successful emergence of the Tatar nationalist movement was the expansion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during the critical juncture period and the people``s support for the ethnic economic inequality frame constructed by the nationalist movement. At this time Soviet ethnic institu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creating movement organizations, and generating popular support for the nationalist frame. The factors in the decline of the Tatar nationalist movement include the contraction of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in the changed post-Soviet sociopolitical realities, the consolidated local elites`` repression, and the effect of the local elites`` sovereignty frame. The republican elites`` counterframe could garner the people``s support because it reflected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nd needs in the republic. In other words, the republican elites gained the upper hand in the contentious politics or the framing contest at the regional level, which led to the demobilization of the move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