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nual Variation of Soil CO<sub>2</sub> Efflux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the Geumsan (M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김춘식,이임균,임종환,박병배,천정화,Kim, Choonsig,Lee, Im Kyun,Lim, Jong Hwan,Park, Byung Bae,Chun, Jung Hwa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3

        산림생태계 토양 호흡량은 지구탄소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4년 동안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을 조사하였다.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월별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토양온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토양수분함량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P > 0.05). 동절기(1월과 2월, 2007년의 경우 1월부터 3월)를 제외한 평균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2008년 0.32 g $CO_2\;m^{-2}h^{-1}$, 2009년 0.40g $CO_2\;m^{-2}h^{-1}$, 2007년 0.41g $CO_2\;m^{-2}h^{-1}$, 2010년 0.54 g $CO_2\;m^{-2}h^{-1}$ 순이었으며, 2008년의 연 평균토양온도는 $12.0^{\circ}C$로 다른 연도의 토양 온도 $13.0-13.5^{\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토양 20cm 깊이의 토양온도는 지수함수 관계가 있었으며 ($R^2$ = 0.31-0.75, P < 0.05),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산장기생태연구 조사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은 토양수분보다는 토양온도 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Soil respiration in forest ecosystems play an important role in global carbon cyc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nnual variation of soil $CO_2$ efflux for 4 years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the Geumsan (M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GLTER) site in Southern Korea. The soil $CO_2$ efflux in the GLTER site showed annual variations with the fluctuations of annual mean soil temperature, but not with those of soil water content. The annual mean soil $CO_2$ efflux except for winter season was 0.32 g $CO_2\;m^{-2}h^{-1}$ for 2008, 0.40 g $CO_2\;m^{-2}h^{-1}$ for 2009, 0.41 g $CO_2\;m^{-2}h^{-1}$ for 2007, and 0.54 g $CO_2\;m^{-2}h^{-1}$ for 2010. The lowest soil $CO_2$ effluxin 2008 was associated with the lowest soil temperature ($2.0^{\circ}C$)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years ($13.0-13.5^{\circ}C$). The exponential relationships between monthly soil $CO_2$ efflux and the corresponding soil temperature at the soil depth of 20 cm were significant ($R^2$ = 0.31-0.75, P < 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nual variation of soil $CO_2$ efflux was attributed to the variations of soil temperature rather than soil water content in the GLTER site.

      • KCI등재

        토양 개량제 처리에 따른 밤나무의 개화 및 종실 형질 특성

        김춘식 ( Choonsig Kim ),조현서 ( Hyun Seo Cho ),임종택 ( Jong Taek Lim ) 한국산림과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soil amendment treatments [(organic fertilizer; 20 kg tree^-1; compound fertilizer+ wood-char fertilizer: compound fertilizer 4kg tree^-1+wood-char 2kg tree^-1; lime fertilizer: 3kg tree^-1; mixed fertilizer: compound fertilizer 1kg tree^-1+organic fertilizer 10kg tree^-1+wood-char 1kg tree^-1; control (no fertilizer)] on flowering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orchards in Jinju and Sancheong Gyeongsangnam-do. Diameter of fruting shoot increased generally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number of leaf female and male flowers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Nut weight increased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jinju but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in Sancheong.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il pH (r=0.91) or exchangeable Ca²+(r=0.99) and nut weight in Jinju and a positive correlation (r=0.97) between organic carbon content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r=-0.92) between exchangeable Mg²+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of nuts in Jinju. However the nut weight and soluble solid concentration in Sancheong were not correlated with soil proper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nuts in chestnut orchards depend on soil properties after soil amendment treatments between regions which show better responses on poor sites than on good sites.

      • KCI등재

        경상남도 산청군 밤나무 재배지의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 및 잎 양분 특성

        김춘식(Choonsig Kim),안현철(Hyun-Chul An),조현서(Hyun-Seo Cho),임종택(Jong-Taek Lim),변재경(Jae-Kyeong Byu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과 신안면의 20년 이상 밤나무재배지 17개소, 19년 이하 재배지 13개소 등 총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잎의 형태적 특성과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 중 토양용적밀도는 20년 이상 재배지가 1.16 g cm<SUP>-3</SUP>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1.03 g cm<SUP>-3</S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토양 화학적 특성 중 토양 pH는 20년 이상 재배지의 토양pH가 4.56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토양 pH 4.73에 비해 토양 산성화가 심하였으나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칼륨 함량은 조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또한, 잎 면적, 잎 건중량, 잎 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함량도 조성 기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밤나무재배지의 토양특성 중 조성 기간은 토양용적밀도 같은 물리적 특성에 변화를 초래하지만 토양 화학적 특성과 잎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Optimum soil management of chestnut orchards is important to ensure high quality and yields of chestn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and green leaf characteristics by establishment period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orchards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otal 30 plots with the criteria of similar cultivation practices were chosen and classified into two establishment periods by over 20-year-old orchards (17 plots) and below 19-year-old orchards (13 plots). Soil bulk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over 20-year-old (1.16 g cm<SUP>-3</SUP>) than in below 19-year-old (1.03 g cm<SUP>-3</SUP>) plots. Soils in over 20-year-old plots were severely acidified with pH 4.56 compared to pH 4.73 in below 19-year-old plots. However,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potassi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both establishment periods. Leaf area, leaf mass, and nutrient (N, P, K, Ca, Mg) concentration of green leaves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both establishment peri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bulk density in chestnut orchards is dependent on the establishment periods, while soil chemical property and leaf nutrient concentration may be little influenced by the establishment periods.

      • KCI등재

        울산광역시 산불피해지의 조림지와 미피해지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김춘식 ( Choonsig Kim ),조창규 ( Chang Gyu Jo ),백경원 ( Gyeongwon Baek ),박성완 ( Seong Wan Park ),조현서 ( Hyun Seo Cho ),마호섭 ( Ho Seop Ma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2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봉대산을 대상으로 산불피해 4년 후 인공조림 활엽수임분(튤립나무, 왕벚나무, 상수리나무조림지), 미복구지, 인접 미피해 소나무임분의 유기물층 및 토양층의 이화학적 특성과 조림목의 잎 내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유기물층의 탄소 축적량은 미피해 소나무임분이 9388 kg·C·ha(-1)로, 활엽수임분 2394~3551 kg· C·ha(-1) 나, 미복구지 3689 kg·C·ha(-1) 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았다. 그러나 인, 칼슘, 마그네슘 축적량은 활엽수임분과 미피해 소나무임분 사이에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P > 0.05). 토양 이화학적 특성 중 왕벚나무조림지의 액상과 토양 pH는 18.4%와 pH 4.80로, 미피해 소나무임분 7.0%와 토양 pH 4.1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양 유기탄소함량은 인공조림 활엽수임분이 1.89~3.60%로 미복구지 1.41%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 토양 칼슘과 마그네슘 축적량의 경우 튤립나무와 왕벚나무조림지가 미피해 소나무임분과 미복구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잎 내 양분함량 중 칼슘이나 마그네슘함량은 튤립나무(칼슘: 1.10%; 마그네슘: 0.37%)가 상수리 나무(칼슘: 0.50%; 마그네슘: 0.14%)나 인접 미피해 소나무 잎(칼슘: 0.33%; 마그네슘: 0.1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불발생 4년 이내 초기단계 결과이지만, 유기물층의 인, 칼슘, 마그네슘축 적량은 미피해 산림지역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토양층의 칼슘과 마그네슘 축적량은 식재수종의 영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tree leaf between planted forests following forest fire and an undisturbed forest in the Bongdaesan mountain, where is loca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We established three deciduous tree planting (Liriodendron tulipifera L., Prunus yedoensis Matsum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plots, one unplanted plot following four-year forest fire and one undisturbed plot (Pinus densiflora S et. Z). Carbon (C) stocks in the organic horiz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e planted plots (2394-3551 kg·C·ha(-1)) or the unplanted plots (3689 kg· C·ha(-1)) than in the undisturbed plot (9388 kg·C·ha(-1)). However, phosphorus (P), potassium (K) and magnesium (Mg) stocks in the organic horiz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Soil water phase and soil p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 yedoensis plot (water phase: 13.7-18.4%; soil pH: 4.62- 4.80) than in the undisturbed plots (water phase: 7.0%; soil pH: 4.10). Soil organic C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er in the tree planted plots (1.89-3.60%) than in the unplanted (1.41%) plots. Soil Ca and Mg stocks at 10 cm of soil dep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 yedoensis and L. tulipifera plots than in the unplanted or undisturbed plots. Nutrient concentrations (Ca and Mg) of lea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 tulipifera than in the Q. acutissima and the undisturbed pine plots. The results indicate that P, Ca, and Mg stocks in the organic horizon was not affected by tree planting, but Ca and Mg stocks at 10 cm of the soil depth were enhanced by the tree species established following four-year forest fire.

      • KCI등재

        산성화(酸性化)된 산림토양(山林土壤)에 석회(石灰), 황산고토(黃酸苦土) 및 복합비료(複合肥料) 시비(施肥)가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유정환,변재경,김춘식,이충화,김영걸,이원규,Yoo, Jeong-Hwan,Byun, Jae-Kyoung,Kim, Choonsig,Lee, Choong Hwa,Kim, Young-Kul,Lee, Won-Kyu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3

        산성화원 산림토양에 Ca, Ca+Mg, Ca+Mg+C.F. 등의 시비가 토양의 화학적 성질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도시지역인 남산과 수락산, 산림지역인 광릉의 참나무류 임분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991년 11월부터 1995년 4월까지 매년 시비한 후 시비 5년차인 1995년 11월에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시비는 산림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토양 pH는 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승하였으나 지역이나 임분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유기물, 전질소함량 등은 비료 종류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칼슘, 마그네슘, 염기총량은 시비 후 증가하였다.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리기다소나무 임분이 참나무류 임분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도시지역이 산림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나 도시지역 산림에서 이들 양분의 용탈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CaO, $CaO+MgSO_4$, and $CaO+MgSO_4$+compound fertilizers(NPK) 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acidified forest soils were studied in Quercus spp. and Pinus rigida stands in Mt. Namsan and Mt. Surak in urban areas, and Kwangnung in a mountain area.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November 1995 after every year fertilization from November 1991 through April 1995. The fertilizations aff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Soil pH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the effect was different between the stand types and the areas.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not changed, while exchangable cations such as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However, these ration concentrations after fertilizer treatments were lower in P. rigida than in Quercus spp. stands. These rations also showed increased leaching characteristics more in the urban area than in the mountain area.

      • KCI등재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시비에 따른 토양 CO<sub>2</sub> 방출 동태

        백경원 ( Gyeongwon Baek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3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에 따른 토양 CO<sub>2</sub> 방출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숙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시비처리 전 캘리브레이션 기간(2015년 3월~2016년 2월)을 가진 후, 2016년 3월에 복합비료를 표면 시비하였다. 토양 CO<sub>2</sub> 방출량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2년 동안 매월측정하였다. 토양 CO<sub>2</sub> 방출량의 월별 변동은 굴참나무와 소나무 임분 모두 시비 전(2015~2016년)과 시비 후(2016~2017년) 유사하였다. 연평균 토양 CO<sub>2</sub> 방출량의 경우 소나무 임분의 시비구는 2015~2016년 1.620 μmol m<sup>-2</sup> s<sup>-1</sup>였으나2016~2017년 2.180 μmol m<sup>-2</sup> s<sup>-1</sup>로 유의적으로 증가(P < 0.05)하였으며, 굴참나무 임분의 시비구도 2015~2016년 1.557 μmol m<sup>-2</sup> s<sup>-1</sup>에서 2016~2017년 1.977 μmol m<sup>-2</sup> s<sup>-1</sup>로 약 0.420 μmol m<sup>-2</sup> s<sup>-1</sup> 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시비구는 두 임분 모두 2015~2016년과 2016~2017년 사이 토양 CO<sub>2</sub> 방출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Q<sub>10</sub> 값은 굴참나무 임분의 시비구가 2015~2016년 3.14에서, 2016~2017년 3.41로 증가하였으나 소나무 임분의 시비구는 Q<sub>10</sub> 값에 변화가 없었다. 비시비구의 Q<sub>10</sub> 값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은 2015~2016년에 3.85였으나, 2016~2017년은 3.69로 감소하였으며, 소나무 임분은 2015~2016년은 3.15였으나, 2016~2017년은 3.65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한 입지환경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CO<sub>2</sub> 방출량은 시비 후 증가하였으며, 시비에 따른 토양 CO<sub>2</sub> 방출은 소나무 임분이 굴참나무 임분에 비해 반응이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soil CO<sub>2</sub> efflux rates after fertilization, i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tands. Compound fertilizers were applied to the forest floor in March 2016, following a one-year calibration period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In situ soil CO<sub>2</sub> efflux rates were measured every month during the two-year study periods, using an infrared gas analyzer with a closed chamber system. Mean annual soil CO<sub>2</sub> efflux rates were higher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in the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stands (P. densiflora: 2.180 μmol m<sup>-2</sup> s<sup>-1</sup>; Q. variabilis: 1.977 μmol m<sup>-2</sup> s<sup>-1</sup>) as compared with the rates measured during the calibration period (P. densiflora: 1.620 μmol m<sup>-2</sup> s<sup>-1</sup>; Q. variabilis: 1.557 μmol m<sup>-2</sup> s<sup>-1</sup>). The mean annual soil CO<sub>2</sub> efflux rates in the unfertilized treatments of both stan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year study periods. The Q<sub>10</sub> values of fertilized treatments in Q. variabilis stands were higher in the fertilization period (3.41) than in the calibration period (3.14), whereas the Q<sub>10</sub> values in P. densiflora stands did not change between the fertilization and calibration periods. The Q<sub>10</sub> values of unfertilized treatments in the Q. variabilis stands were lower during the 2016-2017 period (3.69), than in the 2015-2016 period (3.85), whereas the Q<sub>10</sub> values in P. densiflora stands were higher during the 2016-2017 period (3.65), than in the 2015-2016 period (3.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soil CO<sub>2</sub> efflux rates in P. densiflora stands could be more sensitive to fertilization compared with the rates in Q. variabilis stands.

      • KCI등재

        산청군 고령토(백토) 노천 광산 채굴지와 인접 소나무 임분의 토양 물리 · 화학적 성질

        김경태 ( Kyung Tae Kim ),백경원 ( Gyeongwon Baek ),최병길 ( Byeonggil Choi ),하지석 ( Jiseok Ha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4

        노천 광산 채굴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광산지 식생 복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고령토 광산의 고령토 폐석지와 식생 복원지 및 인접한 소나무 임분의 토양 성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령토 채굴이 진행되고 있는 6개 지역을 선정하고 고령토 폐석지, 식생 복원지, 소나무 임분의 토양 10 cm 깊이에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토양 용적밀도는 고령토 폐석지가 1.51 g·cm<sup>-3</sup>로 식생 복원지 1.19 g·cm<sup>-3</sup>나 소나무 임분 0.93 g·cm<sup>-3</sup>에 비해 유의적으로(P< 0.05) 높게 나타났으며, 기상은 고령토 폐석지가 14.2%로 소나무 임분 32.6%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점토함량은 소나무 임분이 33.6%로서 고령토 폐석지 14.8%나 식생 복원지 18.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양구조 안정지수는 고령토 폐석지가 0.87%, 식생 복원지가 1.61%로 소나무 임분 7.75%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토양 pH는 고령토 폐석지 pH 6.68, 식생 복원지 pH 6.27로 소나무 임분 pH 5.3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토양 유기탄소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2.12 mg·g<sup>-1</sup>, 식생복원지 5.00 mg·g<sup>-1</sup>, 소나무 임분 36.03 mg·g<sup>-1</sup>, 전질소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0.07 mg·g<sup>-1</sup>, 식생 복원지 0.31 mg·g<sup>-1</sup>, 소나무 임분 2.08 mg·g<sup>-1</sup>로 고령토 폐석지와 식생 복원지는 소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토양 내 유효 인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식생 복원지, 소나무 임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포타슘 농도는 고령토 폐석지 0.08 cmolc·kg<sup>-1</sup>과 식생 복원지 0.21 cmolc·kg<sup>-1</sup>로 소나무 임분 0.30 cmolc·kg<sup>-1</s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토 노천 채굴지의 고령토 폐석지나 식생 복원지는 토양 용적밀도가 높고, 토양 유기탄소, 전질소, 유효 인, 교환성 포타슘 농도가 낮았으며 식생 복원지의 경우 토양 비옥도로 향상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oil properties in opencast mines are a key factor in reclamation (revegetation) of mining area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aolinite tailings, reclaimed areas, and adjacent natural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aolinite opencast mines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Six sites were chosen for collection of soil samples to determin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t a soil depth of 10 cm. Soil bulk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kaolinite tailings (1.51 g·cm<sup>-3</sup>) than in the reclaimed areas (1.19 g·cm<sup>-3</sup>) and red pine forests (0.93 g·cm<sup>-3</sup>), whereas air phase in the kaolinite tailings (14.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red pine forests (32.6%). Clay content in the red pine fores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claimed areas (18.7%) or kaolinite tailings (14.8%), whereas soil structural stability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claimed areas (1.61%) and kaolinite tailings (0.87%) than in the red pine forests (7.75%). Soil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aolinite tailings (pH 6.68) and reclaimed areas (pH 6.27) than in the red pine forests (pH 5.31). Soil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d pine forests (C: 36.03 mg·g<sup>-1</sup>; N: 2.08 mg·g<sup>-1</sup>) than in the reclaimed areas (C: 5.00 mg·g<sup>-1</sup>; N: 0.31 mg·g<sup>-1</sup>) than in the kaolinite tailings (C: 2.12 mg·g<sup>-1</sup>; N: 0.07 mg g<sup>-1</sup>). The amount of available phosphor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potassi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kaolinite tailings (0.08 cmolc·kg<sup>-1</sup>) than in the reclaimed areas (0.21 cmolc·kg<sup>-1</sup>) and red pine forests (0.30 cmolc·kg<sup>-1</s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cause of high soil bulk density and low soil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in kaolinite tailings and reclaimed mining areas, soil nutrient management is needed in order to reclaim the vegetation in these type of areas.

      • KCI등재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권민영 ( Minyoung Kwon ),김가은 ( Gaeun Kim ),정진현 ( Jinhyun Jeong ),최창은 ( Changeun Choi ),박관수 ( Gwansoo Park ),김춘식 ( Choonsig Kim ),손요환 ( Yowhan Son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입지환경에 대한 종합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산림입지토양도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그동안 1:25,000 산림입지도가 제작되어 사용되어왔으나 높은 정밀도와 개별 목적에 특화된 산림입지 정보를 갖춘 대축척 산림입지토양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21년까지 1:5,000 축척의 산림입지 토양도 제작사업이 진행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1:5,000 산림입지토양도 제작 과정과 주요 결과, 활용 방안과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입지토양도 제작은 표준매뉴얼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양형, 토심, 토성별 전국 단위 지도가 작성되었다. 산림입지토양도 자료는 다양한 주제도 제작의 기초가 되며, 산림재해의 방지 및 예측과 환경용량 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산림경영 선진화와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맞추어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 방법을 발전시키고 그 활용방안도 다각화시킬 필요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 산림기본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 산림 빅데이터 확보 및 국가 발전 계획에 상응하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o improve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orest soil map, which represents a comprehensive database of forest lands. Although a 1:25,000 scale forest site map has been used in Korea, the need for a large-scale forest soil map with high precision and information on forest lands that is specialized for individual purposes has been identified. Moreover, to keep pace with the advancement in forest management and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method for constructing new forest soil maps that can diversify its us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a developmental process and used a 1:5,000 scale forest soil map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National maps showing the soil type, depth, and texture were produced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forest soils, followed by the Forest Land Soil Map (1:5,000) Production Standard Manual. Alternatively, forest soil map data were the basis on which various other map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and predict forest disasters and evaluate environmental capacities were developed. Accordingly, ways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achieve the national forest plan, secure forestry big data, and accomplis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re proposed based on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환경요인과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의 계절적 변화

        백경원 ( Gyeongwon Baek ),조창규 ( Chang Gyu Jo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이산화탄소(CO₂)와 이들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토양 온도, 토양 수분, 토양 pH, 전기전도도, 토양 유기탄소 농도 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년 동안 조사하였다. 토양 CO₂ 방출량의 월별 변화는 두 임분 사이에 차이가 있어 하절기인 6월과 7월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이 소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타 계절은 차이가 없었다. 연 평균 토양CO₂ 방출량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이 2.27±0.22 μmol m<sup>-2</sup> s<sup>-1</sup>로 소나무 임분의 1.63±0.12 μmol m<sup>-2</sup> s<sup>-1</sup> 에 비해높게 나타났으며, 연 평균 토양 온도와 토양 수분함량도굴참나무 임분이 소나무 임분에 비해 높았다. 토양 환경요인 중 토양 온도와 토양 CO₂ 방출량은 지수함수 관계(P<0.05)가 있었으며, Q<sub>10</sub> 값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이3.35로 소나무 임분 2.72에 비해 높아 토양 온도 상승 시,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CO₂ 방출량이 소나무 임분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sonal variations of soil CO₂ efflux rates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in matured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stands in the Wola national experimental forests, southern Korea. Soil CO₂ efflux rates were measured monthly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Mean soil CO₂ efflux rate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 variabilis (mean±standard error; 2.27±0.22 μmol m<sup>-2</sup> s<sup>-1</sup>) than in the P. densiflora (1.63±0.12 μmol m<sup>-2</sup> s<sup>-1</sup>) stands. Mean soil water content and pH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 variabilis (26.96±0.93%, pH 5.19) than in the P. densiflora (21.32±0.89%, pH 4.87) stands, while soil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 densiflora (13.92±0.67°C) and in the Q. variabilis (13.52±0.70°C) stands. Q<sub>10<sub> values were higher in the Q. variabilis (3.35) than in the P. densiflora (2.72) sta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CO₂ efflux rates in Q. variabilis stand could be more sensitive by the change of soil temperature compared with P. densiflora stand under a similar site environmental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