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신러닝을 이용한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융복합 연구

        김촉환,강성홍,Kim, Cheok-Hwan,Kang, Sung-H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모형을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개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모형 개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한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의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퇴원한 미숙아 6,149건을 이용하였다. 입원 초기 신경망 모형은 설명력(R<sup>2</sup>)이 0.75로 다른 모형에 비해 우수 하였다. 입원 초기 변수에 임상진단을 CCS(Clinical class ification software)로 변환하여 추가 투입한 모형은 큐비스트(Cubist) 모형의 설명력(R<sup>2</sup>)이 0.81로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s), 그라디언트 부스트(Gradient boost), 신경망(neural network), 벌점화 회귀(Penalty regression) 모형에 비해 성능이 우수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 데이터를 이용한 미숙아의 재원일수 예측 모형을 머신러닝을 통해 제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임상정보, 부모정보 등 데이터의 한계로 향후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odel for predicting the length of stay for premature infants through machine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this model, 6,149 cases of premature infa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from 2011 to 2016 of the discharge injury in-depth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The neural network model of the initial hospitalization was superior to other models with an explanatory power (R<sup>2</sup>) of 0.75. In the model added by converting the clinical diagnosis to CCS(Clinical class ification software), the explanatory power (R<sup>2</sup>) of the cubist model was 0.81, which was superior to th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 neural network, and penalty regression models. In this study, using national data, a model for predicting the length of stay for premature infants was presented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its applicability was confirm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clinical information and parental informa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future performance.

      • KCI등재

        인공지능을 이용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재원일수 예측모형 개발

        최병관,함승우,김촉환,서정숙,박명화,강성홍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ength of Stay(LOS) is important in hospital. It is import to reduce medical cost for patients and increase profitability for hospitals.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LO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model that supports hospitals in benchmarking and reduction ways of LOS. In order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of LOS for acute stroke patients, acute stroke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2013 and 2014 discharge injury patient data. The data for analysis was classified as 60% for training and 40% for evaluation. In the model development, we used traditional regression technique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such as interactive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technique, and ensemble technique which integrate all. Model evaluation used Root ASE (Absolute error) index. They were 23.7 by multiple regression, 23.7 by interactive decision tree, 22.7 by neural network and 22.7 by esemble technique. As a result of model evaluation, neural network technique which i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was found to be superior. Through this, the ut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pro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ediction LOS model.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how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more effectively in the development of LOS prediction model. 병원 재원일수의 효율적 관리는 병원의 수익과 환자의 진료비 절감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재원일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병원들이 재원일수에 대해서 벤치마킹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고 재원일수 절감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재원일수 예측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4년도 퇴원손상환자 자료 중 급성뇌졸중 환자를 추출하여 분석용 자료를 만들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급성뇌졸중 환자의 재원일수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용 자료는 훈련용 60%, 평가용 40%로 분류하였다. 모형개발은 전통적 통계기법인 다중회귀분석기법과 인공지능기법인 대화식 의사결정나무기법, 신경망 기법, 그리고 이들을 모두 통합한 앙상블기법을 이용하였다. 모형평가는 Root ASE(Absolute error) 지표를 이용하였는데, 다중회귀분석은 23.7, 대화식결정나무 23.7, 신경망 분석은 22.7, 앙상블은 22.7로 나타났고 이를 통하여 재원일수 예측모형 개발에 인공지능기법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앞으로 재원일수 예측모형개발에 인공지능 기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