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의 기념비: 해방기 ‘조소(朝蘇)친선’의 서사와 수사

        김진영 ( Kim Jean-young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1 러시아연구 Vol.31 No.1

        해방 후 이념적으로 양분된 한반도에서 북한과 소련 양국 관계는 ‘친선’이라는 상호성의 맥락에서 서술되었는데, ‘친선’은 정치적 힘의 메커니즘을 수평적·양방향적 관계 속에서 재해석하고, 이념의 제도를 ‘문화’의 이름으로 전파하게 될 ‘영향력의 기술(technique of influence)’이었다. 이 글은 해방기 조소친선 사상이 어떻게 서사화되었는지, 어떤 수사법을 통해 북한 인민들을 친선의 맥락에 정착시켰는지 주목한다. 감사의 느낌, 감사의 행동, 혁명적 이상향의 인식, 혁명적 이상향의 추구라는 총 네 단계로 구성된 조소친선 서사에서 은인을 향한 감사의 감정이 보은의 행동으로 열매 맺고, 소비에트 주권에 대한 친밀감이 조선의 주권 확립으로 실천되는 인과 과정은 ‘무의식’에서 ‘의식’으로의 변증법적 전환에 해당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마스터 플롯에 따른다. 조소 수교 10주년을 기해 발간된 친선문집 『해방의 은인』(1959)은 북한이 소련군대의 힘으로 해방되고, 복구되고, 발전해온 10년 세월의 증명서이다. 이기영, 이춘진, 한설야의 작품을 위시해 총 16편으로 구성된 이 ‘언어의 기념비’에서 조선의 건강한 ‘아들들’은 소련 ‘어머니-영웅’의 혈통을 이어받아 초인적 영웅으로 성장해나간다. 그것은 앞으로도 영원히 반복될 기적 창조의 역사를 향한 믿음과 갈망의 대서사시(epic)였다. In the ideologically divided Korean peninsular of the transitional period the Choson-USSR relationship was described in terms of friendship, i.e., the relationship of reciprocation. It was a strategic devise for USSR to control North Korea more effectively. Friendship was “a technique of influence,” under the name of which the Soviet power was to be leveled out in a non-hierarchical way; in the disguise of friendship and culture the system of the Stalinist ideology spread out among the people. This article outlines how the idea of Choson-USSR Friendship became a narrative system, and through what kind of rhetorical clichés it reached the mind of the people. It was the everlasting union of the two devoted nations and the voluntariness of the people involved that the spirit of Choson-USSR Friendship strongly emphasized. The sense of ideological oneness (“Our skin colors are different/ Yet our idea is one”) formed the nucleus of the idea, which the narratives were to materialize, providing various examples to reconfirm the totalitarian socialist philosophy, ultimately to push people to join the project of nation building. The Patron of Liberation (1959), a collection of 16 stories on the friendship witnesses to the 10 year-old relationship. It is a monument of language built by North Korean writers, in order to commemorate their own history of liberation, restoration, and progress.

      • KCI등재

        실낙원인가 복낙원인가 -주을온천의 백계 러시아인 마을 “노비나”

        김진영 ( Jean Young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이 논문은 함경북도 경성의 주을온천 지역에 존재했던 백계 러시아인 마을 ‘노비나’에 관한 것이다. 볼셰비키 혁명으로 인한 내전 후 온 가족을 이끌고 한반도로 이주해온 얀콥스키 일가는 사냥과 농경 이외에 망명 러시아인들을 위한 여름 별장촌을 운영하면서 “호랑이와 인삼의 나라”에 “가장 문화적이고 진정 러시아적인 보금자리”를 일구었다. 교회당, 극장, 묘지까지 갖추고 있었던 이 전설적인 영지의 백계 러시아인들은 하르빈과 같은 국제도시의 ‘룸펜로인’들과 달리, 자급자족하는 자치적 공동체의 일원이었고, 노비나 촌 안에서만큼 그들은 주인이었다. 노비나의 특수성은 상해나 하르빈, 신경과 같은 문명의 혼혈도시가 아니라 조선과 주을이라는 원시적 자연을 배경으로 하기에 더욱 부각될 수 있었고, 당시는 물론 먼 훗날까지도 백계 러시아인들은 노비나를 ‘낙원’과 ‘동화의 세계’로 기록하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노비나 촌의 백계 러시아인을 향한 조선인 관찰자의 대조적 시각이다. 이 논문에서 비교분석하는 김기림의 주을 인상기는 노비나에 대한 호기심 어린 관심을 보여주는 가운데, 그곳을 울적하고 센티멘털한 곳으로 규정 짓는다. 노비나를 통해 느끼는 애수의 감정은 곧 식민지 조선인 김기림 자신이 경험하는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애수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김기림의 여행기는 낙원상실의 체험기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The Novina village, an estate owned by the White Russian Yankovsky family, existed near the Jueul(Shuots) hot spring in Northern Ham-Kyung province from 1926 till 1945. Fled from the Bolsheviks after the Civil War, the Yankovskys, besides farming and hunting, ran a summer resort place for White Russians, turning it into a “most cultural and truly Russian nest” for the emigres in the Far East. Unlike the White Russian roamers in other cosmopolitan cities like Harbin, Shanghai, Shin-jing, the White Russians in this legendary estate formed an independent commune of their own, and within its boundary they sojourned as masters of themselves. The primitive nature of Joseon and Jueul, as opposed to the modernized hybrid cities of Shanghai and Harbin, underscored the privileged and self-protective character of Novina, which its visitors and residents would long remember as a paradisial ‘fairy-tale’ place. Interestingly enough, Novina`s idealistic image given by its insiders is clearly contrasted to the way how Koreans observed and recorded it from outside. Kim Gi-Rim, for example, depicted Novina with great curiosity in his travelogue on Jueul, but it was to be overshadowed by his sentimental preconception on White Russians as people who had lost their kingdom and national self-identity. It is most likely that this sense of deprivation is kept in tune with what Kim Gi-Rim himself might have gone through as a colonial Korean. It is in this sense that his travelogue can be symbolically read as a record of a modern man`s ‘Paradise Lost’. Another modernist writer Lee Hyo-Seok frequented Novina and left a number of writings. He travelled Harbin as well as Novina, and in the course of 8 years he wrote both novels and essays, both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on his impressions of the village. His is a case that requires a much deeper discussion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의 장소성 프로세스를 적용한 문학지리학 연구: 소설 「토지」 속 평사리를 중심으로

        김진영 ( Jean Young Kim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본 연구는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의 장소성 프로세스"라는 소설 속 장소성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장소성 프로세스는 인간과 경험의 양식, 물리적 환경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의미가 도출된다. 이 의미는 상호주관성, 충돌, 변화의 과정을 거쳐 축적되어 장소성을 대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박경리의 소설 「토지」 속 평사리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장소성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평사리 주민들의 자연 종교"라는 장소성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 sense of place analysis model in a novel, which name is "sense of place process in the Humanistic approach." The proposed sense of place model is composed of three main factors: humans, modes of experience, and a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s of these three factors draw various meanings of place. A representative sense of place comes from intersubjectivities of meanings, conflicts and accumulation of them. As a case study of the model, this research emprically investigated Pyeongsa-ri, the fictional space, in Kyungri Park`s novel, Toji. The analysis result suggested that a sense of place of Pyeongsa-ri is "the natural religion of Pyeongsa-ri residents."

      • KCI등재

        2D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감성 표현을 위한 연출 -<벨빌의 세쌍둥이>에 나타난 색채 연출을 중심으로

        김진영 ( Jean Yo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6 예술과 미디어 Vol.5 No.1

        <벨빌의 세쌍둥이>는 네러티브 양식의 2D에니메이션 연출 가능성ㅇ르 수단으로 하여 시대적 공간속의 존쟁에 대해 자신의 상상과 가치관을 관객의 수용적 측면과 접목시켜 왔던 실벵 쇼메 감독의 장편 필름이다. 이 작품에서 쇼메 감독은 자신만의 독특한 상상력과 그래픽 스티일으로써 첨단 디지털 에니메이션과 아날로그 에니메이션의 경계를 조심스레 넘나들며 관객에의 색다른 접근을 시도했다. 에니메이션은 그 비쥬얼상의 허구적 존재와 공간이 허상성으로 인해 관객과의 관계에 있어 공감대와 몰입층의 형성을 휘해 매우 치밀한 접근과 이해의 도구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쇼메 감독의 <벨빌의 세쌍둥이>를 중심으로, 네러티브를 위한 대사 한마디 없이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 내는, 캐릭터의 독립적 액팅을 비롯하여 기호적 측면으로서의 그래픽적 도구, 그리고 아트워크와 네러티브상의 상관계를 둘러 싼 제작과정상의 프로세스와 기획의도 그리고 연축을 비쥬얼 관점에서 접근하여 본다. Animated film <the Triplette of Belleville> is a feature film pf Sylavain Chomet who integrate his own imagination, sense of values with acceptation of spectator about beings on time and space by means of expression in 2D animation which uses narrative style. In this filim, Sylvain Chomet showed his own unique imagination and grahhic style, also he tried to crossover boundary of digital animation and analog animation. Animation requires tool of careful approach and understanding to evoke the spectaror`s sympathy and absorption due to its fiction in visual and space. In this paper, I approached Animated film <the Triplette of Belleville> about following topics, invoking absorption from sectators without speaking for narrative, independent actiong of character, the graphical tools of sign, the proces of produce, planning and direction, with view point of visuality.

      • KCI등재
      •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 논의에 대한 재고찰

        김진영 ( Jean Young Kim ),신정엽 ( Jung 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0 地理敎育論集 Vol.54 No.-

        문학 지리학은 지리학 연구에서 오랜 기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특히, 지역지리, 인간주의 지리학, 급진주의 지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학 지리학은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관점에서만 제한적으로 문학 작품을 접근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총제적 의미와 다양한 잠재적인 장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문학이론에서의 공간 논의와 지리학에서의 공간 논의의 차이점이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학 지리학에 대한 정체성과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문학 지리학의 발전을 위해 다차원적 공간 요소의 확인, 문학 작품속 공간 구성에 대한 내외 측면 고찰, 역동성을 가진 문학 작품 속의 장소감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iterary geography for a long time, and much research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the regional geography, the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radical geography. However, as the literary geography only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in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with the geographic thought and knowledge, it failed to catch the total meanings and various positive potentials of the literatur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ssues of the space in the literature theories and in the geography have been identified, and based on it, the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literary geography were suggested. Name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geography, the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patial factors,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sense of place in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