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 필름 유형에 따른 스토리텔링 특징 연구

        김지예,서승희,Kim, Jiye,Suh, Seunhee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7 패션 비즈니스 Vol.21 No.4

        Fashion film has become a significant communication medium in the $21^{st}$ century. Fashion film, that tells unique quality stories, is a means of communicating brand value emotionally.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according to types of fashion film, this study categorizes fashion film and investigates storytelling elements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communication. For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storytelling and types of fashion film storytelling.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32 fashion films from 2007 to recent years of 2017.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atrical fashion film, based on linear narrative structure and closed-ending, is characterized content-based storytelling. Second, avant-garde fashion film, based on unconventional and experimental cinematic techniques, is characterized form-based storytelling. Finally, documentary fashion film that minimizes distortion and reproduces reality of designers' originality, refers to interactive communication-based storytelling which using digital technologies.

      • 북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육과정 연구 - 유학생 A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김지예 ( Kim Jiyea ),조염정 ( Zhao Yanting ),최유진 ( Choi Yu-ji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1 No.-

        본고는 북한 조선어교육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북한의 조선어교육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한 분야로서 연구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을 경험한 유학생 A를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조선어교육 관련 실물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완전성을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북한의 조선어교육 중에서도 중국인 장학생의 실습생 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중국인 장학생들은 1년 단위로 60명가량이 7개월간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 혹은 김형직사범대학으로 파견되었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언어 교육의 목표와 체제 선전의 목표를 동시에 갖고 있었으며, 조선어과목 외에 다양한 내용 교과를 운영하고 있었다. 조선어교육은 하루에 180~270분 정도로 이루어지며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개발한 7종의 조선어 교재를 활용하였다.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주된 연습활동은 낭독이었다. 교육과정 내에서 평가는 성취도 평가가 기말에 1회 이루어졌다. 유학생 A는 북한의 유학 경험이 자신의 인생을 풍부하게 하는 경험이었다고 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aspects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because it has the value to research as one sector of Korean education conducted for foreigners. To achieve it,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A foreign student who experience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Kim Ilseong Univ. of North Korea. Also, completion of this research was additionally promoted by analyzing Joseon language education related real materials and precedent researches. Therefore, this thesis could reorganize the program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especially, trainee educational program of Chinese scholarship student. About 60 Chinese scholarship students of each year are dispatched to Kim Ilseong Univ. or Kim Hyungjik College of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7 months. North Korean curriculum had goals of linguistic education and system propaganda at the same time and managed diverse subjects other than Joseon language. Joseo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80~270 minutes per day and used 7 kinds of Joseon language materials developed by Kim Ilseong Univ. Lecture classes focusing on teachers were conducted and main practice was recite.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1 time at the end of the term. Foreign student A looked back that studying in North Korea enriched his or her life.

      • KCI등재
      • KCI등재

        총 설 : DSA 전극에서 염소 발생 메커니즘

        김지예 ( Jiye Kim ),김춘수 ( Choonsoo Kim ),김성환 ( Seonghwan Kim ),윤제용 ( Jeyong Yoon )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3 No.5

        클로로알카리 산업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전기분해로 연간 약 7천만 톤의 가성소다 및 염소를 생산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전기화학 공정 중 하나이다. 클로로알카리 공정에서는 DSA(Dimensionally Stable Anodes) 전극인 RuO2 및 IrO2를 주로 사용하여 염소를 생산하며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극에 비하여 염소 발생 효율이 높은 전극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염소 발생 효율이 좋은 전극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DSA 전극에서의 염소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기존 연구를 중심으로 DSA 전극에서 염소 발생 메커니즘 연구가 현재까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검토하고 염소 발생 메커니즘의 핵심적인 요인들을 분석 및 정리하여 DSA 전극에서 염소 발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Chlor-alkali industry is one of the largest electrochemical processes which annually producing 70 million tons of sodium hydroxide and chlorine from sodium chloride solution. DSA(R) (Dimensionally Stable Anodes) electrodes such as RuO2 and IrO2, which is popular in chlor-alkali process, have been investigated to improve the chlorine generation efficiency. Although DSA electrode has been developed with various researches, understanding of the chlorine evolution mechanism is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DSA electrode. In this review paper, chlorine generation mechanisms are summarized and that of key factors are identifi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chlorine generation mechanism. Rate determining step, effect of pH, reaction intermediate, and electrode crystal structure were intensively overviewed as key factors of the chlorine mechanism.

      • KCI등재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분석

        김지예 ( Kim Ji-ye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지 이용자를 대상으로 카카오톡의 대표 이모티콘 캐릭터인‘카카오 프렌즈'의 브랜드개성이 브랜드 호감도,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을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2017년 10월 10일부터 17일까지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오류가 없는 191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은 활동성, 적극성 그리고 세련미로 나타났다. 둘째,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 중 활동성과 적극성은 브랜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세련미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 요인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넷째,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 호감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충성도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카카오프렌즈 이모티콘 캐릭터의 브랜드개성 요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고 브랜드개성이 브랜드 호감도와 충성도 및 구매의도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이모티콘을 제작할 때, 이용자의 태도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본 연구 결과가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 what the customer’s attitude toward brand personalty of ‘Kakaofriends,’ which is representative character of Kakaotalk focused on brand preferenc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sion. For analysis, the question paper used in preceding study was revised & supplemented to be proper to this study. On-line experiment was carried on for 110 people from October 20 to 30, 2017 and 107 error-free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first, brand personality of Kakaofriends emoticon character showed activity, initiative and sophistication. Second, sub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of Kakaofriends emoticon character; activity and initia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 but it had no effect on sophistication. Third, all three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of Kakaofriends emoticon character had no effect on brand loyalty. Forth, brand preference of Kakaofriends emoticon character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sion. but it had no effect on brand loyalty. The result have shown that the factors of Kakaofriends emoticon character’s brand personality and correlation between brand preferenc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be basic materials for designers to create a new emoticon to understand user attitude later.

      • 기업 이미지 조성을 위한 브랜드 뮤지엄의 사례조사 연구

        김지예(Kim, Ji-Ye),서수경(Suh, Swoo-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today has made its transition from the subject and the object to a mutual partnership to share emotions, and a new concept of space known as brand museum is on the rise due to the creation of new consumer culture and marketing areas. There are currently brand history museums or promotional showrooms, corporate museums or galleries with exhibition spaces to promote corporate image, but often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function and role tend to be concentrated on certain criteria, which could limit the possibilities for the function and role of brand museums to increase in variety. In the competitive market of brands, having a brand museum as a mere space for exhibition no longer has a competitive edge. Now there is a need for a brand museum as a multiple culture space where its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role becomes vague and where various programs exist to adapt to the flow of time and to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In such brand museums, the importance of various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is emphasized, and these museums should be able to handle their roles in establishing the icon of culture and arts, as the symbol of the country and the city, and the center of culture as well as bran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museum operated by companies and find the point of the question that we must consi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data for basic research that will provide guidelines that include factors that must be satisfied when planning a differentiated brand museum as a combination of corporation and culture.

      • 딥러닝 기반 실시간 다중 물체 인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김지예(Jiye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0 No.10

        최근 장면 분할 알고리즘 분야는 물체 분할에 대한 정확도 달성을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실제로 정확도는 일정 수준 확보하였으나 일상 생활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엔 장비의 한계와 속도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에서 26개의 기계 부품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픽셀 단위로 기계부품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이 목적이며 ShuffleNet V2과 TensorFlow Lite 기반으로 다중 물체 분할 결과를 9fps (Frame Per Second)으로 실시간으로 인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field of semantic segmentation algorithm has been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ccuracy, and the accuracy is actually secured to a certain level.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limitations of equipment and spe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applying them to everyday lif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26 mechanical parts on a mobile and deliver mechanical parts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ShuffleNet V2 and TensorFlow Lite, the multi-object segmentation result is recognized in real time at 9fps (Frame Per Seco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