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스트레스와 비만과의 관계에서 음식갈망의 매개효과

        김주연(Ju Ye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8 스트레스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스트레스와 비만과의 관계에서 음식갈망의 역할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적정 체중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23.95±3.79 kg/m²이었으며, 25.8%가 비만이었다. 노인 비만의 관련 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보유하고 있는 질환 수, 스트레스와 음식갈망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음식갈망, 비만은 모두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노인의 스트레스와 비만과의 관계에서 음식갈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음식갈망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비만 노인의 체중 관리 위해서 음식갈망에 초점을 둔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고, 노인의 음식갈망을 조절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food craving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obes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included 256 elderly who had been attending three geriatric welfare facilities in J cit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9<SUP>th</SUP> and 20<SUP>th</SUP>, July 2018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body measurement. The measurements included G-FCQ-T, SRI-MF, and BMI.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and mediation analysis with bootstrapping as recommended by Hayes’ PROCESS macro (2016). Results: Mean BMI score was 23.95±3.79 kg/m²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5.8%.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age (χ²=19.54, p<.001), gender (χ²=13.80, p< .001), education (χ²=7.43, p=.024), number of diseases (χ²=12.69, p=.002), medication (χ²=18.82, p<.001), stress (t=−2.57 p=.011), and food craving (t=−2.63 p=.003). Stress and food craving (r=.50, p<.001), food craving and obesity (r=.23, p<.001), and obesity and stress (r=.28 p<.001)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od craving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obes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B=0.38 (SE=0.19), 95% CI, [0.05, 0.79]). Conclusions: We need therapeutic intervention with a focus on food craving for weight management in obese elderly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to control elderly food craving.

      • 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의 음식갈망 영향요인

        김주연 ( Kim Ju Yeun ),주현실 ( Joo Hyun Sil )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ood carv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food carving.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between March 15 and April 15, 2017. Measurement instruments included the general food craving questionnaire trait,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modified 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food craving score was 53.00±12.36. Food craving was higher in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F=4.36 p=.006) and having occupation (t=2.18 p=.031).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21.37±9.62) and stress (39.68±15.95). Factors influencing food craving were depression (β=.52, p<.001), stress (β=.65, p<.001), and age 50~59 years old (β=-.28, p=.001) and 60~69 years old (β=-.19, p=.026), which accounted for 25.6% of total variance. Conclusion: Food craving among hemodialysis patients was influenced by patients’ depression, stress and ag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and stress needs to be incorporated as a nursing strategy for dietary management for hemodialysis pati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과 돌봄

        김주연(Kim Ju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caring, and critical thinking for nursing students to provide various insights on car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core of nursing education, and to improve car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Data were collected onli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1 to October 30, 2019, targeting 200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at two universiti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χ2 test,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of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according to the type of gender identity showed androgyny,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n nurs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es on the gender role rather than the gender of the student, develops the characteristic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for nurtures them as androgynous nurs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성역할정체감과 돌봄, 비판적 사고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여 간호교육의 핵심가치인 돌봄과 비판적 사고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돌봄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C와 K도의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의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 test와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정체감 유형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과 돌봄 효능감의 평균점수는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형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교육에서 학생의 성별 자체보다는 성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남성성과 여성성의 특성을 양성하여 양성성의 간호사로 육성하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김주연(Ju-Yeun Kim),김민경(Min-Kyeong Kim),조진영(Cho, Jin 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 지역의 3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137명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총 5점중 각각 평균 3.09±0.43점, 3.54±0.45점이었고, 극복력은 총 7점 중 평균 4.93±0.66점이었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극복력 간(r=-.24, p=.005),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 간(r=-.21, p=.012)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극복력과 임상수행능력 간(r=.5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극복력은 두 변수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을 통해 확인한 결과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02, p=.003). 즉,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극복력이 투입된 후 더 이상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교육은 간호학과 교과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반드시 수료해야 하는 교과과정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직면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 내 · 외 과정에 극복력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es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37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C city were included. The study period was between October 15 and November 15, 2016,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stress in clinical practice, clinical competence, and resilience were 3.09±0.43, 3.54±0.45 of 5 and 4.93±0.66 of 7.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resilience (r=-.24, p=.005), as well as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ies (r=-.21, p=.012), while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ies (r=.59, p<.001). Resilience had a full mediated effect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s and clinical competencies, which showed the significance upon Sobel test (Z=-3.02, p=.003).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training courses and programs for strengthening resilienc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nursing curriculu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

        김주연(Ju-Y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에 위치한 2개소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1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CES-D, RULS, BP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χ²-test, Fisher’ exact test, Pearson’s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59±3.48이었으며, 31.9%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비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연령(χ²=8.16, p=.003), 성별(χ²=9.27, p=.002), 흡연 유무(χ²=7.78, p=.004), 우울(t=2.54, p=.012)과 사회적 고립감(t=2.98, p=.003)이었고, 우울 (OR,1.04; 95% CI,1.00-1.09)과 사회적 고립감(OR,1.06; 95%CI,1.02-1.11)은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인구에서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우울과 사회적 관계를 적절히 파악하고 측정해야 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체중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obesity and provide adequate information to enabl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elderly. Participants were 216 elderly who had been attending two geriatric welfare facilities in Chungbuk.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14 and 30 August, 2017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body measurement. The questionnaires were CES-D, RULS, BP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χ²-tests, Fisher" exact tests,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22.0. The mean BMI of participants was 23.59±3.48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31.9%.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ge (χ²=8.16, p=.003), gender (χ²= 9.27, p=.002), smoking (χ²=7.78, p=.004), depression (t=2.54, p=.012) and social isolation (t=2.98, p=.003) between the normal and obesity groups. Depression (OR,1.04; 95% CI, 1.00-1.09) and social isolation (OR, 1.06; 95% CI, 1.02-1.11)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besit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measure and quantify the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for weight management among the elderl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nursing intervention, including the need for physical, mental, and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김주연(Ju-Y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연하장애 환자의 우울, 사회적 고립감, 생의 의미와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과 재활병원 등 8개 기관에서 뇌졸중,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하여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 총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CES-D, RULS, PIL, SWAL-QOL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이 있는 군은 대상자의 20.7%였고, 보통 이상의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군 92.0%,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군이 64.4% 였다. 즉,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하고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었으며, 삶의 질의 평균 점수는 158.89(35.97)점이었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경관급식의 경우가 정상식이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β=-0.57, p<.001), 생의 의미가 낮아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경우(β=-0.19, p=.014)가 삶의 질이 낮았다. 30-49세의 연령은 80세 이상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β=0.26, p=.001), 대학교 수준 이상의 교육수준이 무학에 비해 삶의 질이 높았다(β=0.17, p=.032). 이 중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경관급식이었고(β=-0.57, p<.001), 이러한 4개의 변수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50.7%(F=28.84 p=.03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의 의미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경관급식 환자의 삶의 질이나 정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ocial isolation, and meaning in life on the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ysphagia. In this study, 87 the dysphagia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degenerative disease, and neurological disorder in a general or rehabilitation hospital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assessed.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and April, 2015 using CES-D, RULS, PIL, SWAL-Q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Of the participants, 20.7% reported having had depression, 92.0% middle-high social isolation and 64.4% existential vacuum. The mean scores were SWAL- QOL 158.89(35.97).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ube feeding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WAL-QOL(β=-0.57, p<.001), followed in order by age (β=0.26, p=.001), lower MIL (β=-0.19, p=.014), and education (β=0.17, p=.032).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SWAL-QOL was tube feeding.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0.7% of SWAL-QOL in dysphagia patients (F=28.84 p=.031).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the meaning in life in patients with dysphagia.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quality of life of tube feeding.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