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초등학교의 미술교육과정 분석

        김혜선(Haeseon Kim),김정효(Junghyo Kim),지다슬(Daseul Ji)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의 초등미술교육의 절기교육을 살펴보고 기독교학교의 미술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개 학교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학교의 미술 절기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고,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 수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사례 내 분석’과 함께 ‘사례 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A학교는 성경 말씀 교육 중심의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의 형태였다. B학교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중심으로 기독교적 세계관이 통합되는 미술 교육을 지향하며 교과서에 있는 활동을 활용한 절기교육을 하고 있었다. C학교는 자체적으로 환경윤리에 대한 ESD 교육과정에 통합 개발하여 성경의 문화명령에 기초한 환경윤리 ESD 교육과정을 절기교육에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절기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t curriculum in Christia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Christian seas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Christia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hree schools and conducted qualitative case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collected each school’s art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hristian seasonal education. And it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rt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thin-case analysis’ method and ‘cross-case analysis’ method. School A is a form of core curriculum centered on Bible education. School B was focusing on art education which integrates the Christian world view centering on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was doing Christian season education using activities in textbooks. School C has integrated ESD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thics in its own way and has been carrying out environmental ethics ESD curriculum based on Bible culture command in conjunction with Christian season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t education through seasonal educ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중국 초등 『도덕과 법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Jin Chunlan ),김정효 ( Kim Junghyo ),남미주 ( Nam Mijoo ),황은경 ( Hwang Eunkyou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9

        본 연구는 중국이 2016년에 개정한 도덕교육의 변화와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의 도덕과 각론에 해당하는 교육과정 문서와 법치교육을 위해 제정한 청소년 법치교육 대강, 그리고 새롭게 집필한 초등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자아성장’과 ‘가정영역’의 단원과 차시는 증가하였으나 그 내용에 있어서 초등학생 수준에서도 개인윤리보다는 국가의 사회주의 핵심가치가 반영된 사회윤리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둘째, 정체성 형성의 결정적 시기에 ‘법치’교육 전문교과를 지정한 것은 국가중심의 공민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개정된 중국의 도덕교육은 법치 교육을 강조하면서, 교수 전략의 측면에서 학습자 친화적인 내용과 방법의 향상됨을 보였다. In 2016 Chinese MOE has chang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title into 'Morality and Constitutional Government' from 'Virtue a study aims to review how the chines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life' emphasizing nationalism. In this context, and textbook have been changed at the elementary education level. For this purpose related national documents such as 'National Framework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Education for Youth' and 'Guidebook of National Textbook Publication' are reviewed. And 12 books of 1st-6th graders moral education textbook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s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such as 'nation and citizen', 'safety and rules' and 'world'. Also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3rd grader's textbooks are closed examined. It results that recently revised chinese moral education constantly emphasizes nation and socialism rather than individual ethics even at elementary level although its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improved increasing student-friendly contents and method.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을 위한 트래픽 인지 토폴로지 제어 기법

        정연수 ( Yeonsu Jung ),김정효 ( Junghyo Kim ),백윤주 ( Yunju B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기본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는 에너지의 제약을 받으며, 이로 인해 네트워크의 수명에도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토폴로지 제어기법을 제시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흐르는 트래픽의 양은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이용하여 각 센서 노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인지하고 이 값에 따라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조절해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 KCI등재

        중국 초등학교 인공지능(AI)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남미주 ( Nam¸ Mijoo ),김정효 ( Kim¸ Junghyo ),황은경 ( Hwang¸ Eunkyoung ),( Jin¸ Chunl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탐색으로 해외 주요 국가의 AI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고, 기초교육에서부터 AI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중국의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해외 주요 국가들의 AI 정책 및 교육과정과 대비하여 중국 교육과정의 특징을 알아보고 둘째, 중국 초등 AI 교과서인 화동사범대학출판사의 초등과정 교과서 3권과 허난인민출판사의 초등과정 교과서 12권을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주요 국가 AI 교육과정의 특징은 영국은 AI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바탕으로 AI의 기본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었으며, 유럽연합과 미국은 AI에 대한 기초지식 및 프로그래밍, 그리고 AI 기술에 대해 다루고 있었으며 또한, AI가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 초등 AI 교육과정의 특징은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루며 피지컬 컴퓨팅을 통해 기계와 프로그래밍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하고 있으나 AI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은 담고 있지 않았으며, AI 기술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인 사회적 영향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중국 초등 AI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1) 2종 교과서 모두 프로그래밍 중심적이고 학년별 계열성이 명확하게 보였으나. 정서적이고 윤리적인 내용은 미흡하였다. 2) 각 출판사별로 보면, 화동사범대학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학습 주제에 있어서 AI 편리성과 유용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으며, 허난인민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학습 도구로 게임을 활용하는 점에서 학습자 친화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초등교육의 목적과 아동 발달단계에 부합하는 AI 교육과 과학기술에 대한 문해력 배양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고, 초등 AI 교육에 있어서 윤리교육의 실행과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I curricula in major countries and analyze China’s AI curricula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which implements AI education from basic education, in a way to develop elementary AI curricula for the academic year 2022 in Korea.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urricula compared to AI policies and curricula of the developed countries. Second, we analyzed China’s elementary school textbooks―three published by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and 12 by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This study achieved a meaningful result in two aspects. First, AI curricula of the leading countries in education are categorized into UK and others. UK does not directly cover AI technology itself bu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 of AI based on algorithms and programming languages. On the other hand, other countries deal with the basic knowledge and programming of AI and AI technology and emphasiz the technology’s social impact and ethical aspects. In contrast, China’s AI curricula focuses on programming and algorithms, helping students learn physical computing to understand machinery and programming principles. However, they cover neither the technology itself nor its potential adverse effects on society. Second, the Chinese AI textbooks published by the two publishers focus on programming and clearly show level differences by grade. However, all of them have insufficient content for the emotional and ethical aspects of the technology. When comparing textbook content by publisher,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emphasizes the convenience and usefulness of AI as a learning topic, whereas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is more student-friendly, using games as one of the learning tools.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teracy on AI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It also suggests a constant need for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ethical education and ensuing issues concerning AI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초등교육 시기 문화변용을 경험한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 TCK)의 한국인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문미경(Mikyung Mun),김정효(Junghyo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4

        본 연구는 부모를 따라 외국에 간 아이들(TCK)이 해외의 12년 교육을 받으면서 한국인으로서 겪게 되는 정체성 관련 경험을 다룬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으로 대학을 온 20대 10명으로 한국보다 경제 상황이 열악한 지역에서 학령기를 보낸 자비량 전문인 선교사 자녀들이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2번, 이 메일 면담 1번, 참여자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이 메일 설문, Phinney(1992)의 민족 정체성 검사, 연구 참여자의 정체성 인식 그래프 그리기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한국인 정체성 경험을 나타내는 영역-언어, 인종 및 집단, 문화, 장소-을 설정하고 관련 경험을 제시했다. 연구 참여 TCK는 초등교육 시기부터 한국교육과정 이외의 교육을 받으면서 국제적 이동성(mobility)으로 인한 이탈성(separation) 및 학교에서 다수 집단과의 불일치(discrepancy)를 경험하게 되었다. 어린 TCK가 초등교육 시기부터 다수자가 되는 경험 보다는 소수자로 남아 있기 때문에 이후의 정체성 형성이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대학으로 재입학하는 TCK들이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정체성 형성 전단계인 초등교육 시기부터 언어, 인종 및 집단, 문화, 장소 관련 가정, 학교, 파송 단체, 국가 차원의 선제적이고 협력적인 지원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look into the experiences of children (TCKs) migrating with their parents and having elementary education abroad as Korea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people in their 20s who entered college in Korea, and were children of missionaries, spending their school years in countries economically less developed than Korea.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wo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one e-mail interview, one e-mail survey with parents of participants, Phinney (1992)’s national identity test, and a graph of identity recogni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results, the language, race and group, culture and place-representing the experience of Korean identity were set and related experiences were presented. TCK participating in the study experienced separation and discrepancy from international mobility while having education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 years in outside of Korea. TCK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forming identity as a Korean, because they remained as minority group rather than having an experience of being a majority. This suggested that preemptive and cooperative support are required for TCKs re-entering Korean universities to adapt well in Korea at the level of language, race and group, culture, and place-related families, schools, sending organizations, and national level.

      • 능동형 RFID 시스템을 위한 학습 기반 충돌방지 기법

        이웅현 ( Woonghyun Lee ),김정효 ( Junghyo Kim ),조현태 ( Hyuntae Cho ),백윤주 ( Yunju B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최근 항만 컨테이너 환경에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 물품정보갱신 등의 데이터 처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RFID의 활용이 고려되고 있다. RFID는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져 있고, 그로 인해 동시에 많은 수의 태그를 읽을 경우 전파의 충돌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표준의 내용을 준수하면서 태그간의 전파충돌 현상을 현저하게 줄이고, 더욱 빠른 속도로 태그 인식이 가능한 방법으로 학습 기반의 충돌방지 기법을 제시한다. 본 기법을 항만 컨테이너 환경에 적용할 시 태그의 수명은 약 20%, 증가하며, 리더에서 태그를 읽는 시간은 약 15%의 속도향상을 보인다.

      • KCI등재

        학교 성교육 표준안에 근거한 2015 개정 초등 실과 ‘인간 발달과 가족’영역의 교과서별 성교육 내용 분석

        황은경(Hwang Eunkyoung),김정효(Kim Junghyo),남미주(Nam Mijoo),JIN CHUNLAN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 성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 성교육 표준안(교육부, 2015)에 근거하여 2015 개정 초등 실과 6종 교과서에서 성교육 관련 단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과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 단원의 외형체제와 구성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2015 개정 초등 실과 6종 교과서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 단원에서 2015 성교육 표준안의 5대 영역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과서 6종의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 단원을 대상으로 총 99차시, 49개의 주요 관련 학습활동이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 관련 단원은 5학년과 6학년의 1단원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할애 쪽수의 비중에 있어서 학년별 차이는 크지 않으나, 교과서별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교육 관련 단원에서 성교육 표준안이 제시한 5대 영역 중 4개(인간발달, 인간관계, 성건강, 사회와 문화)의 영역이 직간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1개(대처기술) 영역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성교육에 있어서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의 현실적인 필요와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이성교제’, ‘대중 매체와 성’ 등 일련의 내용들이 향후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과서 집필에 반영되어야 하며, 이 내용들이 이미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가족관계 안에서 학교와 가정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보다 실천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ex education-related units from the six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fo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sex education standards (Ministry of Education, 2015b)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x education-related units are arranged in the first unit of the 5th and 6th grad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is not large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the number of pages devoted to the uni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books is large. Second, in the unit related to sex education, four of the five areas suggested by the sex education standards (human development, human relations, sexual health, society and culture) were explicitly or implicitly dealt with, and one area (coping skills) was not cover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series of topics such as ‘dating’ and ‘public media and sex’, which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realistic needs and social changes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revision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he writing of textbooks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related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indirectly dealt with in relation to family need to be dealt with more practically b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family within the family relationship that has already formed an intimate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변천

        남미주(Nam Mijoo),김정효(Kim Junghyo),황은경(Hwang Eunkyoung),JIN CHUNL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변화에 따른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과정과 교과서 변천 및 그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초등 도덕과 정보윤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내용요소(성취기준), 그리고 교과서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체계면에서는 세 교육과정 모두 정보윤리가 타인과의 관계인 II 영역에서만 다뤄지고 있었으며, 시수는 줄었고, 해당 학년은 4학년에서 시작하였던 것이 5학년으로 올라갔다. 2) 내용요소에서는 정보사회의 역기능적 문제에서 출발하여 정보사회의 전반적인 이해로 확대되었으나 2015 교육과정에서는 시수의 감소로 다시 대응행동이 강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3) 학습활동에서의 인지적 학습활동은 지식이해가 중심이 되어 있으며 사고력 배양에는 미흡하였고, 정의적 학습활동은 배려와 공감 관련 활동은 있었지만 자아정체감과 디지털 시민으로서 책임감과 관련된 활동은 부족하였으며, 행동적 학습활동은 역기능을 억제하고 인터넷 생활을 점검하는 수준을 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자신 및 타인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대처능력과 참여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보완되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information ethics curricula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information society and draw implication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frameworks, content factors(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curricula revised in 2007, 2009 and 201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the content framework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has been placed only in the content division II, which deals the ethical relationship with others, in all the three revised curricula. Also, in 2015 revision the time assigned to it was reduced, and the starting grade went up from the 4 th grade to the 5 th grade. 2) Regarding content factors, they started from dysfunctional issues of information society, and were expanded into overall understanding of it, Meanwhile basic coping behaviors were emphasized again in 2015 revised curriculum due to the reduction of instruction time. 3)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cognitive activities were insufficient in cultivating thinking skill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Also affective activities dealt with thoughtfulness and sympathy but lacked self-identity and responsibility as a digital citizen. And in the case of behavioral activity a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practice and application activities to foster students‘competence for protecting their individual righ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beyond just being active participants in the internet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