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가상현실에서의 컨템포러리아트 전시 구축 방법론 연구 : 세컨드라이프 내 가상미술 전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박주희(Juhee Park),김정화(Jungwha Kim)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세컨드라이프는 온라인 멀티유저 가상공간으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는 목소리와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간의 대화를 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고, 새로운 형식의 가상물건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회화, 퍼포먼스, 설치 예술,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가상미술전시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세컨드라이프에서 컨템포러리아트 전시를 만들 때의 기술적인 한계와 가상화된 작품과 인간과의 인식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Second Life is a massive multi-user on-line environment; "a 3D virtual world where users can socialize, connect and create using voice and text chat" (http://www.secondlife.com). The paper explores the process and methods to establish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hat incudes various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paintings, 3D sculptures, time-based video arts, technical based arts, and so on. We have also discuss about the technical limitations to make virtual museums in the Second Life and recognitions between human and art works.

      • KCI등재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분석 및 방향 제언

        이지혜(Ji-Hye Lee),김정화(Jungwh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향후 변화될 교육의 방향에 대응하여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도 변화해야 함을 논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논하고, 해외의 대표 사례들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프로그램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는 아직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문화유산에 대한 소개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문헌과 대표 사례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며 디지털 리터러시와 같은 교육적 능력도 함양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은 단순히 기존의 문화유산 교육에 디지털 기기가 추가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문화유산 교육의 본질을 디지털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목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 교육뿐만 아니라 미래 교육이 지향하는 인포멀 러닝의 다양한 형태로 도출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디지털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미래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통해 앞으로 미래형 디지털 문화 유산 교육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necessity for change in the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following, this research analyzes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longside with several case studies of global institu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 analysis, this research suggests a direction of domestic digital cultural heritage which has limitations. Currently domestic use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currently limited to applying digital technology. Analysing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found that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an make learners be mature in perspective of historical thinking and digital literacy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digi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not aim at pursuing education via digital platform simply, but rather fundament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future trend of education such as informal learning. Throughout the analysis of current cases and suggestion for future direction, the research aims at being a fundamental study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 시공간 연결형 문화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모델 연구

        안재연(Jaeyeon Ahn),서주희(Juhee Suh),김하연(Hayun Kim),김선혁(Sunhyuck Kim),김정화(Jungwha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폐쇄적이고 관리중심 체계인 데이터베이스는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문화유산 영역의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관리 중심, 공급자 중심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다양한 서비스로 활용가능한 서비스 중심, 문화유산 영역의 다양한 생산자를 위한 수요자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케이컬쳐 타임머신 연구는 여러 기관들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을 시간과 공간이 연결된 새로운 융·복합 문화콘텐츠로 구조화하고, 구조화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정보중심으로 축적된 현 문화유산 콘텐츠를 시맨틱한 맥락화를 통해 활용자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서비스 단계에 앞서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문화유산 데이터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유럽 전역의 문화유산기관으로부터 디지털화 된 문화유산자원을 제공받아 통합서비스를 제공 하는 문화유산 통합 서비스 포털인 유로피아나(Europeana)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문화유산정보 통합서비스 구축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In recent years, databases of domestic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have not implemented new needs in digital age because of its closeness. It needs to change from individual management centered database to open and integrated database for diverse contents producer in cultural heritage domain. Therefore we propose ‘K-Culture Time Machine’ research as a platform. This platform will function as aggregator of variou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provider of the resource connecting it semantically with othe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 this research we consider structure of data model to incorporate resources from many databases that have distinct metadata formats. Refer to the case of Europeana Data Model (EDM), we come up with the semantically connected database model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future of the ‘K-Culture Time Machine’ research.

      • 읽기장애아의 기초학습능력 분석

        이한규,김정화 인제대학교 2002 仁濟論叢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have lower intellectual capacity and basic teaming abilities than normal children. Twenty seve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and twenty nine normal children of 4th and 5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were selected by the reading part of the Test for Evaluation of Underachievement which was administered twice, once a year. After the two tests 29 children (3.7% of 775 students) were evaluated as reading disability. Two of them, however, were exclud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because of their unwillingness to keep participating in the study, All the other participants were evaluated their intelligence and three basic learning abilities (information processing, mathematics, and writing). The comparison of IQ showed that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were lower in total IQ score and all the 6 subscores than the normal children. The IQ scores of the reading disability group ranged from 51 to 105, while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spreaded between 83 and 137. Among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only twelve children had IQ over 80. In the comparison of basic loaming abilities, the effects of IQ had to be controlled to examine the pure influence of reading disability on loaming abilities. Therefore we tested with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the IQ score as the covariance. The reading disability group showed lower learning abilities in all of the three measures. However, when the IQ effect was ruled 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implies that the difference was due to the difference of IQ not to reading disability. In the comparison of mathematics and writing abilities, there remain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IQ was controlled, which implies that reading should be taught together when we teach mathematics or writing to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