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 및 후기 산후출혈의 혈관조영술 소견 및 초선택적 동맥색전술의 치료 효과

        김재령 ( Jae Ryoung Kim ),조영권 ( Young Kwon Cho ),김혜민 ( Hye Min Kim ),최은주 ( Eun Joo Choi ),김대운 ( Dae Woon Kim ),서용수 ( Yong Soo Seo ),이진용 ( Jin Yong Lee ),박원일 ( Won I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자궁동맥색전술은 산후출혈의 치료에 이미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조기 및 후기 산후출혈에서 동맥조영술상의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 및 후기 산후출혈에서 동맥조영술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자궁동맥색전술의 산후출혈의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산후출혈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12명의 환자의 의무기록과 동맥조영술 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출혈시간, 분만방법, 치료효과, 동맥조영술 소견을 일차적 분석항목으로 정하였다. 결과: 12명 중 11명에서 초선택적 색전술로 효과적 지혈이 가능했다. 1명은 양수색전증과 범발성 혈관내응고로 사망하였다. 혈관조영술상 조기 산후출혈에서 자궁적출술을 받지 않은 5명 모두에서 자궁 크기가 커져있는 자궁이완증의 소견이 관찰되었고 후기 산후출혈에서는 5예 모두에서 거짓동맥류가 확인되었다. 결론: 초선택적 색전술은 효과적인 산후출혈의 치료법이다. 후기 산후출혈의 경우는 거짓동맥류가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reatment of postpartum bleeding with uterine artery embolization has been well-described so far. However, angiographic differences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bleeding has not been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giographic differences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bleeding and therapeutic effect of superselective emboliz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and angiographic images of 12 patients (7 early and 5 late) with postpartum bleeding were evaluated. Timing of bleeding, mode of delivery, angiographic findings and treatment outcome were primary variables evaluated. Results: Among 12 patients, 11 patients had been successfully treated with superselective embolization. One patient with amniotic fluid embolism an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had expired. Among the early postpartum bleeding, uterine atony was found in every patients except post-cesarean hysterectomy cases. Pseudoaneurysm of uterine artery was found in all patients with late postpartum bleeding. Conclusion: Superselective emboliz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control postpartum bleeding. Pseudoaneurysm of uterine artery is a main cause of late postpartum bleeding.

      • Replacement of ITO for efficient organic polymer solar cells

        김재령(Kim, Jae Ryoung),박진욱(Park, Jin Uk),이보현(Lee, Bohyun),이표(Lee, Pyo),이종철(Lee, Jong-Cheol),문상진(Moon, Sang-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We have fabricated organic photovoltaic cells (OPVs) with highly conductive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 styrenesulfonate (PEDOT:PSS) layer as an anode without using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which has been modified by adding some organic solvents like sorbitol (So), dimethyl sulfoxide (DMSO), N-methyl-pyrrolidone (NMP), dimethylformamide (DMF), and ethylene glycol (EG). The conductivity of PEDOT:PSS film modified with each additive was enhanced by three orders of magnitude. According to atomic force microscopy (AFM) study, conductivity enhancement might be related to better connections between the conducting PEDOT chains. TCO-free solar cells with modified PEDOT:PSS layer and the active layer composed of poly(3-hexylthiophene) (P3HT) and phenyl [6,6] C61 butyric acid methyl ester (PCBM) exhibited a comparable device performance to indium tin oxide (ITO) based organic solar cells.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the organic solar cells incorporating DMSO, So + DMSO and EG modified PEDOT:PSS layer reached 3.51, 3.64 and 3.77%, respectively, under illumination of AM 1.5 (100mW/cm²).

      • KCI등재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배란양상

        김혜민,김재령,최은주,박은주,홍서유,이진용,박원일,Kim, Hye-Min,Kim, Jae-Ryoung,Choi, Eun-Joo,Park, Eun-Joo,Hong, Seo-Yu,Lee, Jin-Yong,Park, Won-Il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3

        Objective: Significant portion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ovulate intermittently and even can achieve pregnancy. The clinical features and reproductive potentials of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have never been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ovarian follicular growth and ovulatory potential. Methods: Complete medical records of fifteen women with idiopathic premature ovarian failur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ubjects with more than 6 ultrasonographic scans and 36 months of follow-up period were included. Once the ovarian follicle was found by ultrasonography, the follicular growth was serially monitored. The result of ovulation induction of 6 cycles in 4 patients were also evaluated. Rate of positive ovarian follicle by ultrasound, rate of natural follicular growth and response of ovulation induction were assessed. Results: Among the 15 patients, 6 women (40%) had ovarian follicle in random ultrasonography. But the chance of positive follicle per ultrasonography scan was 7% (8 out of 115 scans). One out of 6 women eventually ovulated during the follow-up scan. In remaining 5 subjects, size of follicles remained unchanged. None of 6 ovulation induction cycles resulted successful ovulation. Conclusion: Incidence of positive ovarian follicle in Korean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is lower than that of Western counterpart. This result, however, could not be directly compared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study design. The ovulation rate by medical ovulation induction in this group is 0%, which is worse than the reported success rate of Western studies. 목 적: 조기난소부전 환자의 10$\sim$20%에서 난소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하며 간헐적으로 배란이 되고 심지어는 임신이 가능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배란가능성은 논의된 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자연 난포의 발생 빈도와 배란유도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발성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된 15명 여성의 전체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별로 6번 이상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3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또한 4명의 환자에서 6주기의 배란유도시도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의 발견율, 자연 난포 성장률과 배란유도를 시행한 경우에 그 반응을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15명 중 6명은 초음파상 난포가 발견되었나 (40%) 초음파 검사 당 난포 발견 빈도는 7%였다 (115회 중 8회). 6명 중 한 명은 초음파 추적관찰 상 배란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5명은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배란유도를 시도한 6명 중 성공적인 난포 성장이 관찰된 예는 없었다. 결 론: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포의 발견율은 이전 서양 연구에 비하여 낮다고 생각되지만 관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직접비교는 불가능하다. 배란유도의 성공율은 0%로서 이전 연구에서 발표된 수준보다 낮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