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걷기·달리기운동과 댄스스포츠가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자은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중년여성 2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걷기·달리기운동과 댄스스포츠를 통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강관련체력 중 신체구성과 관련된 weight, %body fat, LBM, WHR가 집단 간의 사전검사 결과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간에 weight만 차이가 있었고 %body fat, LBM, WHR은 차이가 없었으며,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weight, %body fat, LBM, WHR에 차이가 없었다. 사전·사후 간에서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모두 증가 또는 감소되어 걷기·달리기운동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은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건강관련체력 중 건강관련체력요인과 관련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의 집단 간 사전검사 결과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사전·사후 간 검사에서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모두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증가하여 걷기·달리기운동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은 비만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2) 혈중지질에서는 TC, HDL-C, LDL-C, TG, Glucose가 집단 간 사전검사 결과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감소되었지만 차이가 없었다. 사전·사후 간 검사에서는 걷기·달리기운동군과 댄스스포츠군 간에 TC, HDL-C, LDL-C, TG, Glucose 모두 증가 또는 감소되어 걷기·달리기운동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은 비만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변화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week exercise programs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12-week exercise programs of walking․running and dance sport with 22 middle-aged obese women of ◎30% BMI. Fin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For weight, %body fat, LBM, and WHR related to body composition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hile the pre-test result between groups showed a difference only in weight between walking․running group and sport dance group, the post-test result showed no difference in weight, %body fat, LBM, and WHR. Since pre- and post-tests showed some increase or decrease in weight, %body fat, LBM, and WHR in both walking․running group and sport dance group, these programs were found effective in changing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obese women. For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related to physical fitness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e pre-test result between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walking․running group and dance sport group. Since pre- and post-tests showed the increase i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in both walking․running group and sport dance group between, these programs were found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obese women. 2)For TC, HDL-C, LDL-C, TG, and glucose in blood lipid, while the pre-test result between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walking․running group and sport dance group, the post-test result showed some decreas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ince pre- and post-tests showed some increase or decrease in TC, HDL-C, LDL-C, TG, and glucose in both walking․running group and sport dance group, these programs were found effective in changing blood lipid in middle-aged obese women.

      • 미술표현 정체현상 극복을 위한 우뇌 드로잉 필요성 연구

        김자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dolescence, children hesitate to paint. They define art as the field of those born with it and start to stay away from it by saying that they are not talented. It is getting harder to see a child who freely expressed anything he wanted to express in that way. What educational efforts are needed to help children who enjoy art grow as they are? In order to continue art activities, many successful experiences in art express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gain successfu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ildren's desire for expression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to satisfy that desire.

      • “공간·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우체국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자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신 및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사회에서는 사람들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던 기존의 업무형태가 통신매체를 이용한 가상에서의 업무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업무 성격 및 환경의 변화로 인해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이 생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이들은 총체적인 행정동 단위나 구 단위에서의 계획이 아닌 각 시설의 개별적 용도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의 현재 활용 사례와 선행연구들이 상당 부분 동일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의 활용 방안들은 그 안에서 관계를 맺지 않고 있다. 특히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의 활용방안으로 연구되어 온 공공시설들은 이미 형성된 네트워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적 특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속도와 다양성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적 특성이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우체국 시설에서도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우편이 컴퓨터 인터넷 및 휴대전화가 보급화 되어 전자우편과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우편물량이 감소하여 기존의 우편업무가 이루어지던 공간의 기능이 사라져 방치되고 있다. 또한 우편 물량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우정사업의 경영수지가 매우 악화되고 있어서 현재 정부에서는 우체국 통폐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체국의 통폐합 정책에 의해 우체국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이 생성될 것이고 이에 따른 우체국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 방안이 계획되어야 한다. 기존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의 활용사례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개별적 용도의 활용방안이 아닌 총체적인 행정동 단위나 구 단위에서 우체국의 특성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우체국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우체국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에 관한 선행연구 및 현재 활용 사례를 고찰하였다. 유휴 동 주민센터, 유휴 교실 및 유휴 학교시설, 아파트 단지 내 유휴상가, 지하철역 유휴공간 등 현재 이들의 활용사례는 상당 부분 문화 ․ 복지시설이란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기존의 물리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활용방안이 아닌 개별적 건축물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총체적인 행정동 단위나 구 단위에서 네트워크를 적용한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및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공간 ․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정의 및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공간 ․ 커뮤니티 네트워크란 네트워크적 구조체계를 가지는 도시공간에서 유형 및 성격에 맞게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것이다. 물리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공간 네트워크라고 하고 그로 인해 생성될 수 있는 관계를 커뮤니티 네트워크라고 정의하였다. 공간 ․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시대에 효과적인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로 첫째, 각각의 객체들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이루어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둘째, 네트워크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결합되어 이들의 구성관계는 상호상승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공간 ․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우체국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우체국 통폐합 정책으로 인해 생성되는 우체국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에 공간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설계하였다. 활용방안으로 세 가지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오피스, 장난감도서관, 공공자전거 스테이션을 계획하였는데, 우체국의 기능이 유지되는 우체국에는 스마트 오피스와 장난감도서관을, 우체국의 기능이 폐지되는 유휴 우체국에는 공공자전거 스테이션과 장난감도서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소형화우체국표준화설계도」가 적용된 6급 투자국이기 때문에 그 중 도시형으로 250유형, 300유형, 400유형에 앞서 설명한 각 활용방안을 도면을 통해 제안하였다. 이에 더해 우체국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으로 제안된 여러 프로그램들의 법적 허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체국의 유휴공간 및 유휴시설 활용방안으로 제안 된 프로그램들은 건축물의 용도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각 용도지역에 건축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또한 활용방안으로 수직 증축을 제안했기 때문에 변경 후 건축물의 용적률을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몇 개의 지역을 제외한 모든 용도지역에 건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고 활용방안이 실현되기 위해 건축물의 용도 및 용적률 제한에 대한 법적 개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현대사회의 빠른 변화 속도와 다양성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우체국뿐만 아니라 기존에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공공시설에 공간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우체국 통폐합이 대도시 지역의 우체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시의 우체국만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지역적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활용방안으로 제안된 프로그램은 스마트 오피스, 장난감도서관, 공공자전거 스테이션으로 각 지역마다 그 지역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제안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추후 지역 주민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더 다양한 활용방안이 제안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우체국 통폐합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활용방안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추후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Q방법론을 사용한 유아교사의 과학 불안 탐색

        김자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불안이 어떻게 유형화되며 과학 불안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사교육뿐만 아니라 과학교육환경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불안이란 인간의 주관성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Q방법론의 적용이 적합한 주제라고 보았다. Q방법론이란 인간의 태도와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철학적, 심리학적, 통계적 그리고 심리측정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통합한 방법론으로 인간의 주관성을 분석할 수 있는 특수한 통계기법이다. 따라서 인간심리, 인간행동분야와 같이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새로운 개념의 개발 단계에서 사람을 요인화하는 데 가장 이상적인 연구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주관성 연구 접근방법으로 활용되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차적으로 과학교육 및 과학 불안과 관련된 전문 서적, 연구 논문 등의 참고 문헌을 통해 Q표본을 수집하였다. 유아교육관련 현장 전문가와 유아교육학계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1차 268개의 진술문을 선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마지막 5차에서 진술문을 추가, 제외,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통해 33개의 최종 Q진술문을 선정하였다. 이후 P표본으로 선정된 서울, 경기지역의 유아교사 40명에게 33문항에 대한 Q분류를 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유아교사의 과학 불안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유형은 전체변량의 45.13%를 설명하고 있었다. 제 1유형은 ‘과학 환경구성 및 자료에 따른 불안형’, 제 2유형은 ‘발달에 적합한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불안형’, 제 3유형은 ‘과학교과영역 지식부족에 따른 불안형’, 제 4유형은 ‘단순 과학교육 기피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4개의 유형과 그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유형은 ‘과학 환경구성 및 자료에 따른 불안형’으로 과학적 용어나 지식을 이해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는 않았다. 그러나 유아들에게 과학교육 강조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고 여기며, 유아교육기관 현장의 과학기기 및 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과학 활동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제 2유형은 ‘발달에 적합한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불안형’으로 유아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반면에, 토의와 의견교환을 부담스러워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태도는 학급당 많은 원아 수로 인하여 야기되는 유아 참여와 발달에 적합한 상호작용의 어려움에 대한 불안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 3유형은 ‘과학교과영역 지식부족에 따른 불안형’으로 유아들이 읽기, 쓰기, 능력을 갖추기 전에 과학을 가르치는 것은 어렵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과학교과영역과 관련된 지식의 부족을 느끼고 누리과정 중 자연탐구 영역 주제들의 연관성 및 일반과학과 유아과학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계획·평가를 포함한 탐구기술 관련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과학 불안을 나타내었다. 넷째, 제 4유형은 ‘단순 과학 기피형’으로 유아에게 과학 활동을 지도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유아에게 과학 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단계 설정, 유아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이론적 지식, 과학적 용어 사용의 어려움, 과학교육과정의 불안을 느꼈다. 제 4유형의 교사들은 유아에게 과학 활동 보다는 인성교육과 기본생활습관지도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물체와 물질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이나 탐구기술 및 호기심을 기르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과학 불안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알 수 있었다. 과학 불안을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국가 및 지역사회의 재정적 지원, 시도교육청의 ‘교수 학습 자료실’ 활성화, 교사 재교육, 자기반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xiety regarding science education using Q-methodology. As the first step, 268 Q-sampl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resources such as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five stages of excluding and modifying, A set of 33 Q statements was finalized. The P sample consisted of 40 early childhood educators based on their educational level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school types. The teachers conducted the Q classification as guid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QUAN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ience anxiet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which explains 45.13% of the total variance. The first type is ‘Science Anxiety regard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terial’, the second type is ‘Science Anxiety regar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struction’, the third type is ‘Science Anxiety regarding Lack of Knowledge’, and the last type is ‘Simple Science Avoidance’. Key words Science anxiety, Science education, Q-methodology

      •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기여요인

        김자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use dementia care centers. For this study,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level of depression, distress in families, attitudes toward dementia, resilience, and knowledge of dementia were investigated. The severity of dementia in the older adults and psycho-behavioral symptoms were also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or approximately six months, from March 15 to September 30, 2022. A total of 234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use dementia care centers in five districts of Seoul were includ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 was used to measure family caregiver burde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was used for depression,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Questionnaire (NPI-Q) measured the severity of psycho-behavioral symptoms and distress in families, the Dementia Attitude Scale (DAS) was used to investigate attitudes toward dementia, the Brief Resilience Scale (BRS) was used for resilience, and the dementia knowledge tool was also utili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using IBM SPSS Statistics Base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together, 82.9% of the family caregivers for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were women, and participants’ average age was 65.8 years (±7.80), with 26.9% of caregivers being older than 75.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52.6% were spouses and 35.0% were sons or daughters. Perceived health was poor at 30.8%. of the participants, 82% were living with an older adult with dementia, indicating that most of the caregivers were living with the patient. The average time for care was 13.62 hours (±7.80), and 54.3% spent more than 12 hours on care. The average length of care was 4.26 years (±3.36), and for 49.1% of caregivers, it was more than 3 years. 2. The average age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was 81.74 years (±7.71). Regarding the severity of dementia, 7.3% exhibited very mild symptoms, 40.6% had mild symptoms, 37.6% had moderate symptoms, and 14.5% had severe symptoms. At least one psycho-behavioral symptom was present in 91.5%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with an average of 5.42 (±3.03) symptoms. The severity of the psycho-behavioral symptoms was measured at 10.57 points (±7.20) on average out of 36 points. 3.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as 22.97 points (±9.95) on average. Furthermore, distress in families (NPI-Q) due to the psycho-behavioral symptoms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was, on average, 12.62 points (±9.83) out of 60 points. Among the participants, 30.7% were found to have moderate or higher levels of depression. Dementia attitude was scored at an average of 83.03 points (±16.20) out of 140 points, resilience was scored at an average of 19.55 points (±4.72) out of 30 points, and dementia knowledge was scored at an average of 19.69 points (±2.93) out of 30 points. 4. In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the care burd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erceived health (F=10.65, p <.001), the status of living together (t=2.64, p =.009), and time for care (F=6.42, p <.001). In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e care burd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mentia (F=11.32, p <.001). 5. Among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givers, time for care (r=.28, p <.001), the severity of psycho-behavioral symptoms (r=.56, p <.001), family distress (r=.61, p <.001), level of depression (r=.51, p <.001), and knowledge about dementia (r=.27, p <.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Additionally, resilience (r=-.34, p <.001) and dementia attitude (r=-.25, p <.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6. The factors contributing most to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were family distress (β=.46, p <.001) followed by the level of depression (β=.43, p <.001), knowledge of dementia (β=.55, p <.001). 001), and time for care (β=.00, p= .00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nal model was 50.21% (F =57.72,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use dementia care centers, are family distress due to psycho-behavioral symptoms, level of depression, dementia knowledge, and time for care. Therefore, counseling programs should aim to alleviate the pain of family caregivers and other programs should provide treatments and knowledge on coping with psycho-behavioral symptoms so that family caregivers can continue to provide care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within communities. In addition, support to prevent the progression to depression is needed through regular evaluation and counseling for depress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knowledge required for dementia care, provide tailored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patient’s dementia, and provide support for caregiving time in the form of practical help.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우울 정도, 가족 고통, 치매 태도, 회복탄력성, 치매 지식을 조사하였고, 치매노인의 치매 중증도 및 정신행동 증상의 심한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2년 3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6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서울시 5개 구의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돌봄자 총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은 S-ZBI(Short Zarit Burden Inventory), 우울 정도는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9), 정신행동 증상의 심한 정도와 가족 고통 정도는 NPI-Q(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치매 태도는 DAS(Dementia Attitude Scale), 회복탄력성은 BRS(Brief Resilience Scale), 치매 지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Base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매노인 가족돌봄자는 여성이 82.9%, 연령은 평균 65.8세(±7.80)였으며, 75세 이상은 26.9%를 차지하였다. 치매노인과의 관계는 배우자 52.6%, 아들과 딸 자녀가 35.0%로 순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나쁜 편이 30.8%였으며, 치매노인과 동거가 82%로 대부분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 시간은 평균 13.62시간(±7.80)이었으며, 12시간 이상은 54.3%로 나타났다. 돌봄 기간은 평균 4.26년(±3.36)이었으며 3년 이상인 경우가 49.1%로 나타났다. 2. 치매노인의 연령은 평균 81.74세(±7.71)였으며, 치매 중증도는 최경도 7.3%, 경도 40.6%, 중등도 37.6%, 중증 14.5%이었다. 정신행동 증상은 치매노인의 91.5%에서 적어도 1개 이상 있었으며, 평균 5.42개(±3.03)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행동 증상의 심한 정도는 36점 만점 중, 평균 10.57점(±7.20)으로 나타났다. 3.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은 평균 22.97점(±9.95)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으로 인한 가족 고통(NPI-Q)은 60점 만점에서 평균 12.62점(±9.83)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등도 이상 우울은 가족돌봄자의 30.7%에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태도는 140점 만점에서 평균 83.03점(±16.20)이었으며, 회복탄력성은 30점 만점에서 평균 19.55점(± 4.72), 치매 지식은 30점 만점에서 평균 19.69점(±2.93)으로 나타났다. 4. 가족돌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 차이 분석에서는 주관적 건강 상태(F=10.65, p<.001), 동거 여부(t=2.64, p=.009), 돌봄 시간(F=6.42, p<.001),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 차이 분석에서는 치매노인의 중증도(F=11.32, p<.001)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가족돌봄자 관련 주요 변수의 상관 관계는 돌봄 시간(r=.28, p<.001), 정신행동 증상의 심한 정도(r=.56, p<.001), 가족 고통(r=.61, p<.001), 우울 정도(r=.51, p<.001), 치매 지식(r=.27,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회복탄력성(r=-.34, p<.001), 치매 태도(r=-.25, p<.001)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부담에 기여요인은 가족 고통(β=.46, p<.001), 우울 정도(β=.43, p<.001), 치매 지식(β=.55, p<.001) 돌봄 시간(β=.00, p=.002)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50.21%(F=57.72, p<.001)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 기여요인은 치매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으로 인한 가족 고통, 우울 정도, 치매 지식, 돌봄 시간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 치매노인 가족돌봄자가 치매노인의 돌봄을 지속할 수 있도록 가족돌봄자의 고통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 및 정신행동 증상에 대한 치료와 대처에 대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울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와 상담을 통해 우울증으로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치매노인 돌봄에 필요한 지식을 평가하여 치매 진행에 따른 맞춤형 교육의 프로그램 제공 및 실제 도움이 되도록 돌봄을 위한 시간을 지원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김자은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및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영향을 비롯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3세 자녀가 있는 아버지 317명을 대상으로 마크로밀 엠브레인을 통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은 Epstein(1983)의 부-모-또래 척도(Mother-Father-Peer Scale: MFPS)를 수정한 전현진과 박성연(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성은 Greshman과 Elliott(1990)의 Social Skills Rating System(K-SSRS)을 국내 유아들을 대상으로 서미옥(2004)이 타당화 시킨 한국판 취학 전 아동용 사회 기술 척도 중 부모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Fagan과 Palm(2004)이 제작한 Father Involvement Activities를 문병환(2008)이 번안하고 한국 사회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어렸을 때, 자신의 원가족 부모와 긍정적인 양육을 경험할수록 유아기 자녀의 자기통제, 책임성, 주장성이 높았다. 둘째, 아버지가 자녀의 교육, 자녀 돌보기,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의 참여가 높을수록 유아기 자녀의 협력성, 자기통제, 책임성, 주장성이 높았다. 셋째, 아버지가 어렸을 때, 자신의 원가족 아버지, 어머니와 긍정적인 양육경험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자신의 자녀 양육에 있어서 자녀 교육, 자녀 돌보기,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의 참여가 높았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생활지원은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중 아버지와의 관계와 유아 자녀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 책임성, 주장성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발달지원, 양육지원, 생활지원은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중 어머니와의 관계와 유아 자녀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 책임성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발달지원, 양육지원은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중 어머니와의 관계와 유아 자녀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주장성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생활지원은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중 어머니와의 관계와 유아 자녀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주장성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유아의 사회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아버지의 원가족 양육경험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버지 양육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아 자녀의 건강한 사회성 발달을 위해 부모-자녀 간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국가 정책 및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위험인자 분석연구 : -서울시 1개 치매안심센터이용자를 중심으로-

        김자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이다. 고령화로 인한 문제 중 하나가 치매인데 치매는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인 부담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치매에 대한 예방과 조기발견은 매우 중요하며, 치매 예방을 위하여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1개 구에 치매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 대하여 분석하여 치매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0년부터 2018년 말 현재까지 서울시치매관리사업DB에 등록되어 있는 서울시 1개구 대상자 27,905명에 대한 직접 검진과정을 통한 자료이며, 전체 등록대상 27,905명 중에서 퇴록자(7,233명, 25.9%)를 제외하고 남은 대상자(20,671명, 74.1%)에 대하여 모든 변수를 목록별 결측치 제거방식을 사용 후 최종적으로 남은 18,063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 위험예측 요인 분석에서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t=4.922, p=<.01), 연령(t=25.922, p<.001), 교육수준(t=-4.630 p<.001), 한글해독 여부(t=-5.803, p<.001), 결혼상태(t=-9.626, p<.001), 독거(t=-9.98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시 정리하자면, 남성일수록, 연령이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특히 한글 해독이 불가능 하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독거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치매에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특성에 따른 치매 요인으로는 BMI(t=-9.649, p<.001)가 유의하였으며, 시각보조기(t=-2.832, p<.01)으로, 청각보조기(t=3.103, p<.01)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치매 요인은 음주력(t=-4.122, p<.001), 운동력(t=16.427, p<.001)에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유의미하였다. 표준화 계수 베타를 통해서 종속변수에 대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살펴보면, 연령(β=.198)이 가장 높은 영향력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운동력, 그리고 배우자가 없고, 독거인 경우 순으로 나타났다. BMI 또한 낮을수록 치매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Korea is the fastest aging country in the world. One of the problems caused by aging is dementia, which brings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not only to themselves but also to their families. Therefore,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dementia are very important, and the management of risk factors affecting dementia is necessary to prevent it.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ementia through an analysis of dementia business management users in one district of Seoul.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direct examination of 27,905 people who are registered in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DB from 2010 to the end of 2018. The analysis of 18,063 people was finally conducted after the missing values were removed by list for the remaining (20,671, 74.1%) excluding the degenerates (7,233 and 25.9%) out of the 27,905 registered persons. In the analysis of the risk predictive factors of dementia, the demographic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gender (t = 4.922, p = <. 01), age (t = 25.922, p <.001), and education level (t = -4.630 p <.001). Hangul decoding ability (t = -5.803, p <.001), marital status (t = -9.626, p <.001), and living alone (t = -9.982, p <.001). In summary, the older the male,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especially the deciphering of Hangul, the absence of a spouse, and living alo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MI (t = -9.649, p <.001) was significant as dementia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status, visual aid (t = -2.832, p <.01) and hearing aid (t = 3.103, p <. 01) significantly. The dementia factors according to the health behaviors were not exercised at drinking power (t = -4.122, p <.001) and exercise power (t = 16.427, p <.001). In term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beta, age (β = .198) was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motor power, and no spouse and living alone. Lower BMI also represented risk factors for dementia

      • 안전도시 프로그램의 범죄예방능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자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insists to develop and operate Safe Community program for confronting to safety problems with participation of all community society members and organizations as new strategy for solving these issues. Looking at Korea's Safe Community program practicing regions, this program is being an official condition, opening up prevention program prepared for every safety accidents occurred in community society. Despite it stands network construction through cooperation of each organization in community society, crime prevention regions are excepted, or crime prevention activity of the police could not attract atten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crime prevention territory is carelessly treated and examines plans for the police, subject of crime prevention, to be more active in their Safe Community program. For that, each kind of literature study is conducted to the present condi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ours. Positive study is also completed with interview intended for participants working for local autonomy corps and the police in program executed regions, drawing accurate analysis results towards Safe Community program in Korea. According to analyzed research result, in Safe Community program performed area, it is fulfilled with choosing each specialty field in proportion of safe accident occurring rate. Two main base of operation, Cheon-ahn and Won-ju, give an effort to prevent crime with selecting crime prevention sphere as priority point. However, program practicing regions are entirely not specializing police activities; Programs executed are limited, not able to counter with variable and severe crimes of the day. Problems that can be found in crime prevention part are mainly divided into systematic,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and education part. In detail, systematic part of problems are absence of management which is exclusive and fully responsible, difficulty from information exchange by mere cooperation support system, and problem occurring with other organization. Problems in program constitution such as nonexistence of crime originate factor analyzing system, monotonous crime prevention program, lack of post-confrontation program, and none of program assessment system problem are appeared in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part. In information and education part, there is no specialized professional education on police, and also information activities towards public is coming out passively. Do in solving of these point at issues, possibly supposed counterparts are like below in this study : Establishment of major department only charging for Safe Community in life safety division of police station, sharing duties in community society organizations through BRM for network activation, and new regulation enactment in systematic part. In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part, constructing integration safe information network in police formation, analyzing crime occurrence conditions, benchmarking foreign program, developing programs for citizen participation and after confrontation of an accomplished act, building CARE system, increasing of professional workers for psychological victim are proposed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urthermore, here for assessing this program, it is presented that feedback evaluation and citizen safety supervision is necessary. This will provide environment for this crime prevention program is changed to tailored one which is practiced through constant program valuation.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aspects, doing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e-learning, publicity activity made for each ages are suggested. By constructing unique Korean Safe Community authorizing system, problems that come from introducing foreign program could be reduced, and this will help to make program more fitted for our own culture. This strategy for Safe Community improvement could make more guaranteed safe guard possible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which has limitation in Safe Community practicing regions of present. In addition, to the district where this program has not been introduced, our own program could be settled and make all over the country free from the crime. WHO(세계보건기구)는 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지역사회 구성원과 각 기관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안전문제에 대응하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경기 수원시, 서울 송파구, 충남 천안시, 강원 원주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총 5곳에서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실시 중에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안전도시 프로그램 실시 지역들을 살펴보면 안전도시 프로그램이 공인조건으로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모든 안전사고를 대비한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각 기관의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을 내세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영역을 제외시키거나,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의 참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에서 범죄예방영역이 소홀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우리나라 범죄예방활동의 주재자라 할 수 있는 경찰이 안전도시 프로그램 내에서 활발한 범죄예방활동을 펼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 외국과 우리나라 안전도시 프로그램 현황에 대하여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실증연구로 우리나라 안전도시 프로그램 실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와 각 지역의 경찰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안전도시 프로그램에 대해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안전도시 프로그램 실시 지역에서는 안전사고 발생 현황에 따라 각각의 중점 분야를 선정하여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있으며, 천안과 원주 2개의 지역에서 범죄예방영역을 중점분야로 선정하여 범죄예방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안전도시 프로그램 시행 지역은 전체적으로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의 활동이 부각되지 않고 있었으며, 실시 프로그램도 한정되어 있어 다양화·흉포화 되어가는 범죄발생에 효과적인 대응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안전도시 프로그램의 범죄예방영역에서 발견되는 경찰 역할의 문제점은 크게 조직적 측면, 프로그램 운용·관리 측면, 홍보·교육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세부적인 문제점으로는 조직적 측면에서 전담부서의 부재, 미약한 협력지원체계로 인한 정보교환의 어려움, 다른 조직과의 협력문제를 살펴볼 수 있고, 운용·관리적 측면으로는 범죄발생원인 분석 시스템의 부재, 천편일률적인 범죄예방 프로그램, 사후대응 프로그램의 부족 등과 같은 프로그램 구성에서의 문제점과 프로그램 평가 시스템 부재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홍보·교육적 측면에서는 경찰을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의 미실시, 소극적인 시민상대 홍보활동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조직적 측면에서 경찰서 생활안전과에 안전도시 전담부서의 설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BRM을 통한 지역사회 기관들 사이의 업무분배, 새로운 조례 제정을 제시하였고, 프로그램 운용·관리 측면에서는 경찰조직 내 통합안전정보망 구축, 범죄발생양상에 대한 분석활동 실시, 외국 프로그램의 벤치마킹,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개발, 사후대응 프로그램의 개발, CARE시스템 구축 및 피해자심리전문요원의 증원을 제시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범죄예방 프로그램 평가를 위하여 피드백 평가활동의 실시, 시민안전감시단의 운용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프로그램 평가활동을 통해 실시되고 있는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맞춤형 범죄예방 프로그램으로 변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도록 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홍보·교육적 측면의 개선을 위하여 e-러닝을 통한 교육 활동의 실시, 세대별 맞춤형 홍보활동의 실시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형 안전도시 공인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여 외국의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나타나게 되는 문제를 줄이고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안전도시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현재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함으로써 보다 완전한 안전확보가 가능하도록 해 줄 것이며, 아직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는 한국형 안전도시 프로그램이 도입되도록 하여 우리나라 전체에 걸쳐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 물과 식이섬유 섭취 수준에 따른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9

        김자은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건강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바람직한 건강 행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확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과 식이섬유 섭취 수준에 따른 대상자들의 일반특성, 신체 특성, 건강 행태, 식생활 특성, 영양표시 및 영양소 섭취, 식사 평가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19~49세의 성인 남녀 8,419명을 선정하였으며, 물과 식이섬유 섭취유형에 따라 Type 1은 물과 식이섬유를 모두 충분 섭취한 ‘정상 섭취군’, Type 2는 식이섬유만 충분 섭취 한 ‘물 섭취 부족군’, Type 3은 물만 충분 섭취를 한 ‘식이섬유 섭취 부족군’, Type 4는 물과 식이섬유 모두 충분 섭취하지 않은 ‘물‧식이섬유 섭취 부족군’으로 분류하여 일반적인 특성, 신체적 특성, 건강 행태, 혈액검사, 식생활 특성과 영양교육, 영양표시 이용현황, 영양소 섭취, 식사 평가 등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본연구결과 여성, 30~49세, 고소득자, 고학력자, 비흡연자, 건강검진을 한 경우의 비율이 Type 4가 Type 1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체질량지수, 체중, 신장은 Type 1이 Type 4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액검사 수치 중 Type 1은 혈중 요소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Type 3에서는 혈청 크레아틴,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침 식사를 주 5~7회 섭취하는 경우는 Type 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Type 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외식 빈도는 Type 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표시 인지 여부는 Type 1에서 가장 높은 반면, Type 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영양소 섭취에서 Type 1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Type 4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에너지 적정비율에서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이 Type 3에서 가장 높았고, Type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섭취 식품 가짓수 평가에서도 Type 4보다 Type 1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밀도와 영양 질적 지수 모두 Type 1이 Type 4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물과 식이섬유 섭취 수준 유형별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를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물과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한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바람직한 식행동으로 건강관리를 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성인들을 대상으로 물과 식이섬유 섭취 수준에 따른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간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health, efforts to maintain desirable health behaviors are spreading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features, health behaviors, dietary characteristics, nutrition labeling and nutrient intake, and meal evalu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using the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mong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6-201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8,419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from 19 to 49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Type 1 included the 'normal intake group' with sufficient intake of both water and dietary fiber, while Type 2 included the 'water deficiency group' with sufficient dietary fiber intake, Type 3 the 'diet with sufficient water intake' with Insufficient fiber intake group and Type 4 the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deficient group' in which both water and dietary fiber were not sufficiently consumed. The status of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blood test, dietary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al label usage, nutrient intake, and meal evalu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p. Type 4 was found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30-49 years old, high-income earners, highly educated, non-smokers, and those undergone with medical examination than Type 1, while body mass index, body weight, and height were shown to be higher in Type 1 than in Type 4. In the blood test, type 1 showed higher blood urea levels when compared with other types, whereas type 3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serum creatin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eat breakfast 5 to 7 times a week was highest in Type 1, while the lowest in Type 3.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highest in Type 3. Awareness of nutritional labeling was highest in Type 1, while lowest in Type 4. In all nutrient intakes, Type 1 showed the highest level, whereas Type 4 showed the lowest. In the energy titration ratio, the carbohydrate:protein:fat ratio was the highest in Type 3 and the lowest in Type 2. In the dietary variety score (DVS) evaluation, Type 1 was shown to have a higher score than Type 4, and Type 1 also had higher nutrient density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when compared to Type 4.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fficient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group was shown to achieve a balanced nutrient intake, while the insufficient intake group showed a lower overall nutrient intake level.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dequate water and fiber intake an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for correct eating habits are presented for men and low-income groups who lack water and fiber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