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 식민주의와 스웨덴-노르웨이 연합(1814~1905): 연합 해체 후 탈민족주의의 노르딕 공동체와 평화

        김인춘 ( Inchoon Kim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16 서양사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process, and consequences of the Swedish colonialism. Especially focusing on the Union between Sweden and Norway, 1814-1905,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and analyze how post-nationalist Nordic community and peace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dissolution of the Union. Sweden was one of Europe’s oldest monarchies and had been a great power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But Norway was a province of the Kingdom of Denmark and lacked its own government and central institutions. In 1814, as a spin-off of the Napoleonic Wars, Sweden militarily invaded Norway and Norway involuntarily became a minor partner of the Union between Sweden and Norway though Norway had its own government under a constitution independently framed in 1814. Over the 90 years, the Union gave rise to various disputes. But the Union’s internal developments have been prominent, particularly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o-cultural interactions. Sweden’s pragmatic foreign policy and neutral strategy had secured Sweden’s national interests and the Union’ stability and developments. Norway also exercised a greater influence in Sweden, especially democratic norms and institutions. The Norwegian constitution of 1814 was the most democratic of its time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870s different economic interests, different political system, and increasing socio-cultural conflicts between the two nations became apparent and eventually led to the dissolution of the Union. Economically Norway had greater interests outside Europe than Sweden. Also, Norwegian politics was increasingly dominated by liberal tendencies characterized by the extens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whereas Swedish politics tended to be more conservative and authoritative. These conflicts came to a head over the so-called ‘consul affair,’ in which successive Norwegian governments insisted that Norway should establish its own consular offices abroad and, therefore, should have full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The Swedish colonialism, especially the Union between Sweden and Norway (1814- 1905) was a virtually unique case in which the two separated peacefully and integrated partially after the dissolution even though military tensions and confrontations existed at the time of the ‘annexation’ in 1814 and the dissolution in 1905. (Yonsei University/ickim95@yonsei.ac.kr)

      • KCI등재

        식민주의적 병합과 민주주의적 분리독립: 민주적 헌정주의와 1905년 노르웨이 독립

        김인춘 ( Inchoon Kim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20 서양사연구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the Norwegian path to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and full sovereignty in 1905. In 1814, Norway was forced to join in the Union between Sweden and Norway (Den svensk-norske union, 1814-1905) after the Napoleonic Wars. Fortunately, Norway quickly and legitimately adopted the Norwegian Constitution on 17 May 1814 and defended the constitution with difficulty. The constitution was founded on the principles of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During the union period, Norwegian people developed and nurtured national identity based on democratic political nationalism and liberating cultural nationalism. This liberal nationalism with the democratic and liberal constitution of 1814 led to the parliamentarism in Norway in 1884 and the peaceful and democratic dissolution of the union between Sweden and Norway in 1905. This was very exceptional case in the period of colonialism and turbulent democratic transition. Norway’s gradual and intrinsic progress toward democratic constitutionalism insured democratic dissolution of the union and affected the Nordic region’s peace and prosperity afterward. (Yonsei University / ickim95@yonsei.ac.kr)

      • KCI등재

        자본주의 다양성과 한국의 새로운 발전모델

        김인춘(Kim Inchoo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이 논문은 한국의 개발국가 성격이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발전모델이 어떤 방향과 내용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본주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유럽 강소국의 경험적 분석을 통한 비교제도론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필자는 민주적 발전국가 또는 민주적 코포라티즘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한국의 새로운 발전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표명하고, 한국 발전모델의 쇄신 또는 전환을 위해서는 먼저 개발국가의 모든 제도적 유산을 청산하기보다 선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MF 개혁 이후 한국의 발전모델은 시장규칙을 위한 국가개입의 지속, 자본ㆍ금융시장의 개방과 자유화 심화, 노사정위원회의 설립 등 그 성격이 매우 복합적이고 모순적이다. 현재의 한국 발전모델은 미국식으로도, 유럽식으로도 제도전환이 가능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저복지, 노동배제, 금융시장 등에서 미국식의 요소들이, 국가의 시장개입, 내부지배주주형 기업지배구조, 정치화된 노조 등에서 유럽식의 요소들을 찾을 수 있다. 한국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역사적 조건에 의해 구축된 발전모델을 새롭게 발전시키고 개혁하려는 ‘의도’(intentionality)를 가지고 민주적 코포라티즘을 위한 제도적 기초와 변화능력을 바꾸는 일이 요구된다. 국가의 역할과 개입을 재조정 또는 재배치하여 시장자유화 개혁과 함께 사회적 조정, 사회투자, 사회안전망 등 새로운 개입영역에서 제도적 변화와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의 창조적 파괴’가 필요한 것이다. 한국의 국가는 비록 노사가 원하지 않더라도 그들을 타협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최근의 한미 FTA 협상을 볼 때, 한국의 국가는 이러한 힘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요 이해관계자들간의 조정과 타협, 특히 노사협력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인바, 대기업부문의 참여는 민주적, 협력적 노사관계를 제도화하고 산업간 양극화와 이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의 한 방안으로 특수인의 경영권 보장과 노조인정 또는 노사대타협 참여를 매개로 재벌에 대한 규율, 즉 경영 민주화의 확보를 제시하였다. 제도의 비교우위성에 입각하여 재벌의 민주화, 노동세력의 전략적 행위, 국가의 조정역할에 기반한 한국의 민주적 코포라티즘을 강조한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of the varieties of capitalism and to explore possible institutional prerequisites for democratic corporatism in S. Korea. The author argues for the possibility of democratic corporatism in S. Korea and some legaci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such as big conglomerates, state intervention, and militant labor movement, can be transformed and developed into institutions of democratic corporatist countries, such as Sweden and the Netherland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developmental model. The current Korean model shows mixed and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state for market rules, liberalization of capital and financial markets, and tripartite practices. Therefore, S. Korea can change and reform existing institutions with 'intentionality' to develop new developmental model. For this, coordination and compromise among major stakeholders and labor cooperation are needed. Emphasizing institutional comparative advantage, this paper proposes that democratic governance of Korean big conglomerates, strategic behavior of Korean labor movement, and new role of the state will be major prerequisites for the new democratic corporatist model of S. Korea.

      • KCI등재

        세계화, 유연성,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 스웨덴 사례

        김인춘(Inchoon Kim)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5

        이 논문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 스웨덴 노동시장체제가 규제체제를 지속시켜온 과정과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많은 선진 산업국가들이 노동시장 규제체제를 개혁할 때 스웨덴은 탈규제를 선택하지 않고 임금조정, 교육훈련에의 투자, ‘합의적 재규제’ 등에 기반한 제도 조정을 추진해왔다. 그런 맥락 속에서 진행된 스웨덴 노동시장체제의 구체적 변화와 발전의 내용을 검토하고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가 지속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기왕에 많이 논의되어온 요인들인 법 및 제도적 제약, 선거정치의 한계, 노조의 힘, 사용자의 전략만으로 스웨덴의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의 지속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스웨덴 노동시장의 제도들이 기능적 및 수량적 유연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 같이 중시되어야 한다. 스웨덴은 규제체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노사관계의 조정과 인적자본 향상을 통해 노동시장체제의 유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고임금, 고기술, 노사협력에 의한 ‘높은 길’과도 관련되며, 고실업, 금융 및 재정위기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높은 고용수준, 보다 큰 평등, 사회통합의 유지, 기업경쟁력이 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노사간 협력과 조정, 단체협상제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노사관계 시스템의 개혁은 성공적인 노동시장 관리의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규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를 높이고, 저숙련으로의 평준화가 나타나지 않도록 기술 및 숙련의 생산에 정부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가 스웨덴 노동시장체제의 경쟁력과 유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사민주의적 노동시장체제의 지속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Social Democratic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Sweden since the 1980s. As well known, Sweden was frequently praised for it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its centralized wage bargaining system with ‘responsible’ unions. The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1990s, however, has forced many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weden to deregulate their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Sweden, unemployment virtually soared from less than 2 percent in 1990 to over 8 percent in 1993 and the pressure for labor market reform increased. The Swedish crisis in the 1990s generated intense discussion on structural labor market reform and the political struggle on such reforms has taken place within the Social Democratic Party. The union representatives in this party have successfully fought against all proposals for such reforms.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Social Democratic labor market model still has gained its vitality with a stronger emphasis on industrial cooperation and active measures for the unemployed. As a substitute for structural reforms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the Swedish government has undertaken the massive expansion of education among both young and adult workers, new rule for wage formation, consensual reregul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cial partners. Social partners have supported these policies. These policies have proved more successful for competitiveness and flexibility for labor market institutions than deregulation reform.

      • KCI등재

        북유럽 국가들의 민주주의와 ‘권력조사 (maktutredningen)’: 배경과 의의

        김인춘 ( Kim Inchoon )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20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에서 이루어진 ‘민주주의와 권력 조사’가 권력의 민주화, 투명화, 개방화, 분산화, 그리고 시민권력의 확대에 어떻게 기여하고 어떤 의의가 있는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1972년 노르웨이에서 시작되고 1980년대, 90년대에 스웨덴, 덴마크에 이어 2010년 핀란드에서 마무리된 ‘권력조사’는 노르딕 사회민주주의의 쇠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유럽통합 등 새로운 환경에서 공적인 자기성찰과 자기비판을 통해 권력이 투명하고 정당하게 행사되는지, 민주주의가 모든 시민의 권리와 자유, 정치참여를 보장하는지, 권력과 민주주의가 사회공동체와 정치공동체의 지속과 진보를 위해 작동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의회와 정부, 학자집단이 함께 이러한 문제들과 도전들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검토했으며, ‘노르딕 민주주의 모델’을 지속ㆍ발전시키고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시민권력 및 시민사회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Power investigation’ in the Nordic countries from 1972 through 2010 aimed to scrutinize and legitimize power through officially commissioned programmes. The investigation has been understood as the political culture of Nordic self-understanding and the hallmark of Nordic democracy. These investigations have been motivated as responses to major changes and challenges in society, politics, and the economy in the 1970s-80s and in 1990s, such as weakening of the Nordic social democracy, neoliberal globalization, post-coldwar, the EU. The power investigations have contributed to transparency, openness,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 to renewed national narratives, and to enhance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rdic democracy model’ based on citizens’ power in the Nordic countries.

      • KCI등재

        생태적 근대화 모델과 생태복지국가의 구성

        김인춘(Inchoon Kim),최정원(Jeong Won Choi)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3 OUGHTOPIA Vol.28 No.2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생태적 근대화 이론은 탈근대화 관점과 급진적 환경개혁의 핵심 주장에 도전해 오면서 복지국가와 같은 근대사회의 제도들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생태적 근대화론의 주장에 따르면 산업생산 및 경제성장과 생태보존은 양립 가능할 뿐 아니라 적극적인 환경정책은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모든 형태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에 반대했던 급진적 생태주의와 달리 생태적 근대화론은 자본주의 정치경제의 틀 내에서 현재의 사회체계를 환경친화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생태적 근대화 이론을 스웨덴과 네덜란드에 적용하여 생태복지국가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스웨덴과 네덜란드는 가장 잘 발전한 복지국가이며 가장 성공적인 생태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진보적인 환경정책과 제도로 이 두 나라는 개혁적 환경 정책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고도의 생태적 근대화와 생태복지국가를 달성하였다.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경험은 고도의 생태적 근대화 모델로서 복지국가와 생태국가의 지속가능한 균형과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Since the early 1980s,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challenged the core ideas of the de-modernization perspective and radical environmental reforms, and claims that institutions of modern society such as the welfare state are necessary. The theory argues that industrial prod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reconcile with ecological preservation and active environmental policy can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The theory attempted to reconceptualize and reorganize the current societal system along ecological lines within the framework of capitalist political economy. In this paper we apply the theory to Sweden and the Netherlands and explore the potential of the ecological welfare state in both countries. Sweden and the Netherlands are among the most advanced welfare states and the most successful ecological state. With progressive enviro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s, they pursued reformist environmental reforms and accomplished advanced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the green welfar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