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피해자의 미충족 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dersen의 의료서비스 이용 모델을 활용하여

        김이레,권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4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disaster victims, using Andersen’s healthcare utilization model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By doing so, the study intends to propose strategies for alleviating and preven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disaster victi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2017) to the 4th wave (2019) of the disaster victim follow-up data from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nd employed a panel logit model with random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and household income of the disaster victims, the greater the support from the national healthcare service, and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in cases of injuries due to the disaster or physical and mental damages that hindered their social adaptation,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was hig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address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disaster victims.

      • KCI등재

        코로나19가 장애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이레,남재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mental health outcomes (e.g.,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disabled. For analysis we the difference-in- differences approach with multiple treatments using data from the 14th and 15th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observations consisted of 21,049 individuals of whom 18,987 were non-disabled, 648 were severely disabled, and 1,414 were mildly disabled. We further conducted subgroup analyses of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type of disability, gender, and ag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VID-19 had little effect on the degree of depress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it did affect non-disabled people, though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COVID-19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self-este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effects of COVID-19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It led to reduced self-esteem in persons with mild disability. Furthermore, we found that self-esteem declined in the physically disabled and those with impairments external bodily functions after COVID-19. In addition, the of effects COVID-19 were more pronounced in the male group and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age 65.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VID-19 has disproportionately affected people of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장애 유무, 장애 정도, 장애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4차 자료와 15차 자료이며, 연구 방법으로는 확장된 개인별 이중차이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장애인집단과 장애인집단 개인이며, 세부 분석을 위해 장애 정도, 장애 유형,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하위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집단의 우울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오히려 비장애인집단의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둘째, 코로나19는 장애인집단의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정도에 따른 차이도 보였는데,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집단이 코로나19로 인한 자아존중감 감소를 두드러지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 유형별 구분에서는 신체적 장애인집단과 외부신체 장애인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코로나19 이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히, 남성 장애인집단과 65세 미만 장애인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코로나19로 인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따른 재난 불평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김이레,오설미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3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isaster inequality’ that can occur from COVID-19 is that there are more vulnerable groups within the older adults group. The influence of COVID-19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may be different by the household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differ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s. For this purpose, the 7th and 8th data of the panel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used, and the individual fixed effect in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decreased more than older adults non-living alon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y COVID-19.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the older adults non-living alone by age and gender. Thir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especially in the non-econom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OVID-19.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identified vulnerable groups in cognitive function in COVID-19 and suggested social welfare practice plans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코로나19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 불평등’ 중에서 주목해야 할 문제는 재난에 취약하다고 알려진 노인집단 내에서도 더 취약한 계층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노인의 가구형태가 코로나19로 인한 노인의 인지기능의 변화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가구형태에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7차 및 8차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 이중차이분석에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한 개인별고정효과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비독거노인보다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코로나19 로 특히 비경제활동 비독거노인보다 비경제활동 독거노인의 인지기능이 두드러지게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인지기능 저하에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 적절한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가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생애주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김이레,권진아,영주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와 개인의 정신건강 간 영향관계를 생애주기 집단별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청년(19-34세)집단, 중·장년 (35-64세)집단, 노인(65세 이상)집단으로 구분하였고 「한국복지패널」 14차(2019년)자료와 15차(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확장된 개인별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 노인집단의 우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코로나19의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노인 남성의 우울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생애주기 집단별로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노인집단과 남성 노인집단의 재난 취약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규모 재난 시 재난 약자들의 사회안전망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이레,남재현,새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1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work and lives of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Using data from the 22nd and 23rd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employed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ith individual fixed effects to compar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pandemic on work and life between temporary and dependent self-employed and permanent employe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compared with those with permanent employees,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had lower job satisfaction in the COVID-19 pandemic, though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COVID-19 has 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for the dependent self-employed. Third, the effects of COVID-19 vari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 job satisfaction. It led to reduced especially wage or income satisfaction in the dependent self-employed. Fourth, health status affecte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ll groups alike.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COVID-19 pandemic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the vulnerable groups of labor market such as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Therefore, we conducted policy discussions in order to reduce job insecurity of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in catastrophic risk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과 삶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22차 자료와 23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고정효과 이중차이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상용직 임금근로자 집단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집단의 직무만족도,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상용직 임금근로자 집단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를 요인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코로나19 이후 상용직 임금근로자 집단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집단의 임금 또는 소득 만족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 상태는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 삶의 만족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코로나19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같은 근로취약계층에게 더욱 부정적으로 작용했음을 확인시켜준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고용불안정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1인가구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이레(Yi Re Kim),이원익(Wonik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1인가구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피해자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재난 피해경험이 있는 1,6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 재난피해자는 대부분 빈곤층, 노인, 여성 등 재난 취약계층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1인가구는 다양한 형태의취약 계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복합적인 재난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1인가구 재난피해자가 다인가구 재난피해자보다 사회적 지지, 삶의 질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형태만으로도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1인가구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지지체계가부족한 1인가구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 지지적 개입의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disaster victims in on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nd Disaster Victims Panel Survey colle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for 1,659 victims who experienced natural or social disaster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disaster victims in one-person households include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poor, the elderly and women. Second, the levels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disaster victims in one-person household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Thir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disaster victims in one-person households. This resul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the recovery from disaster and suggested that a community-based program would be needed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disaster victims in one-person households who lack family support.

      • KCI등재

        일반영유아, 발달지체,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른 공격행동의 차이

        김이레 ( Kim Lee Rae ),하은혜 ( Ha Eun Hy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유아, 발달지체아, 자폐스펙트럼장애아 집단, 집단과 연령, 집단과 성별에 따른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총 공격행동, 외현적 공격행동, 정서적 공격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3세의 일반영유아, 발달지체아, 자폐스펙트럼장애아 총 600명이었고, 연구도구는 공격행동척도, 한국형 Denver-Ⅱ, 한국형 Bayley 영유아발달검사Ⅱ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공격행동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아가 일반영유아와 발달지체아보다 더 높은 공격행동점수를 나타냈고, 정서적 공격행동에서는 발달지체아와 자폐스펙트럼장애아가 일반영유아보다 높았다. 외현적 공격행동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영유아, 발달지체아, 자폐스펙트럼장애아 집단과 연령에 따른 총 공격행동, 외현적 공격행동, 정서적 공격행동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집단 간 공격행동의 차이만 유의하여 총 공격행동과 정서적 공격행동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외현적 공격행동에서 일반 영유아, 발달지체아, 자폐스펙트럼장애아 집단과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남아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아, 발달지체 남아, 여아 및 정상남아, 정상여아 중 가장 높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여아는 가장 낮았다. 발달지체아 집단의 외현적 공격행동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총 공격행동과 정서적 공격행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aggressive behavior between normal toddlers,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ASD), focusing on how gender and age interacted with aggressive behavior by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ggressive behavior and emotional aggressive behavior, but no difference in overt aggressive behavior in toddler groups. Toddlers with ASD were rated higher in total aggressive behavior than normal and developmental delayed groups, and toddlers with ASD and developmental delayed groups showed higher scores in emotional aggressive behavior than normal toddlers, respectively. Second, age-group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otal aggressive behavior and emotional aggressive behavior. Third, gender-group interaction effects upon overt aggressive behavior was significant Boys with ASD showed the highest rates of overt aggressive behavior among toddlers, but girls with ASD showed the lowest rates. Developmentally delayed girls were rated higher in aggressive behavior than delayed boys.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gender-group interaction effect upon total aggressive behavior and emotional aggressive behavior.

      • KCI등재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 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

        김이레(Yi Re Kim),오설미(Seol Mi Oh)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4

        본 연구는 재난상황에서 물리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피해를 겪게 되는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즉, 재난관리에서 최근 대두되는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주요한 정서적 피해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의완화에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여 재난피해자의 정서적 피해 경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3차 추적조사(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2012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피해자 2,31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재난피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종속변수에 주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하여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체 탄력성이라는 지역사회차원의 재난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disaster victims who suffer physical as well as mental damage from disaster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reducing emotional damages to disaster victims by verifying whether community resilience, as an emerging topic in disaster management, could mitigate PTSD symptoms of disaster victim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3rd Disaster Victims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n Korea were analyzed for 2,311 victim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occurred in Korea from 2012 to 2017.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s as well as the major variable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PTSD symptoms of disaster victims, with controlling the variables that could have an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disaster management plan at the community level using community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