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플로리시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22 코칭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by grasp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grit and flourishing that affect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study, 20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esults of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grit, flourishing, and teacher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grit on teacher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hild care teacher's grit, the more positively it had on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s, the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Through these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meaningful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fundamental approach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which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affects child care activitie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행복플로리시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플로리시,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그릿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면서 보육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교직헌신과 창의적 역할수행,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김응자 한국부모교육학회 2023 부모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eaching commitment, creative role performance, and peer teachers' emotional support on the happiness fluorida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flourishing of childcare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nam-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58 people.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creative role performance, peer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flourish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day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creative role performance, co-teachers' emotional support on flourishing,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and creative role performance, the higher the flourishing, and the higher the co-teacher's emotional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more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care teacher's flourishing. Through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approaches should be conduct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affect childcare activities, so that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can live happily in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부모의 人性교육에 관한 근본적 연구(1) – 유아기의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

        김응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The importance of human character become highlighted in our society, then it is expanding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many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ly. But still character education is mixed period. The earlier the timing of education and the more younger ag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ould maximize and continue. The early childhood, time to form the basis of human development, can be seen as right time for character education. But because the child learn from imitating the behavior of adults, the factor which enhanc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parent. The parent is connected to all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gives continuous impact on the child, so parent's character education is essential to enhanc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examine the necessary factors for parent's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and facilitate the child's development. Further, in a way that can help to allow the parent for restructuring already educated contents, the parent could trained by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filial piety in order to build the child's right character. 인성의 중요성이 사회 전역에 부각되면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그에 따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인성교육은 혼재기에 있다.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효과를 지속시키는 요인은 교육의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연령이 어리면 어릴수록 그 효과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이다. 그러므로 인간발달의 기초형성 시기인 유아기가 인성교육의 적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아기는 성인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습득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유아기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핵심 요인은 부모이다. 부모는 유아의 모든 발달과 연결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므로 유아기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인성교육이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기 발달의 지원자이며 촉진자인 부모의 인성함양을 위한 부모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탐색하였다. 또한 부모가 그동안 교육받은 내용을 다시 재구조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효 사상을 기반으로 한 부모 인성교육을 통해 부모를 세운다면 가정이 바로 서고, 자녀 또한 그를 통해 바른 인성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보육교사의 행복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의 자기인식 및 자기관리능력은 전반적 행복플로리시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식 및 관계관리능력도 성취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의 구인 중 청지기정신 및 공동체 형성은 긍정적 정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지원 및 리더십 공유는 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전체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육교사의 잠재력 개발을 통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of child care director on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7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South korea. The study provides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flourishing of the child care teacher by grasping the factors affecting flouris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d an effect on the flourish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director's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except for the overall flourishing.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except for the achievement factors. Second, among the job searches of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stewardship and community format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positive emotions only, and growth support and leadership sha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factors of the flourishing of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potential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educate the contents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 future programs, job education, and conservative education for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응자,김갑순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0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중 몰입과 성취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미요인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 관계, 전반적 행복플로리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1세기 핵심역량인 영유아의 창의성 계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다양한 접근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on creative role performance. For this study, data of 27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were collec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flow and achievement of happiness fluency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creativ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more negative the effect on the meaningful factors. Emotion, relationship, and overall happiness fluency did not have an affect. Second,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creativ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data for education and various approaches to enhance the creative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who have an effect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ich are cor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부모코칭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연구

        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13 코칭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부모코칭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어머니의 성격육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지역 유아기, 아동기 부모코칭교육 신청자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검사와 워크숍을 통한 정성적․체험적 과정을 병행하여 성격유형의 대표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최종적으로 45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질문지를 기반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5유형은 자녀와 놀이하거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해야 할 때였으며,6유형은 예의없는 행동과 약속을 어길 때와 자신의 의사표현을 정확히 안할 때였으며, 7유형은 생각하는 것과 하고 있는 행동이 다를 때,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였으며, 2유형은 사랑이 부족하다고 느낄때와 자녀가 자기것을 챙기지 못할 때였다. 3유형은 학습과 관련해서 도움을 못줄 때와 계획한 일을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울 때였으며, 4유형은 자녀가 이기적으로 보일 때와 위로의 말을 해주지 못했을 때였다. 8유형은 자녀의 행동이 느릴 때와 원하는 답이나 행동을 하지 않을 때였으며, 9유형은 자녀에게 엄마의 권위가 없어 보일 때와 양육의 기준이 일관성이 없을 때였으며, 1유형은 자녀가 예의없는 행동을 할 때와 자녀를 기다려주지 못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부모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bout parenting stressnaccording to mother's personality type in order to develop a parent coaching program. Thenresearch participants were gathered from applicants of parent coaching education for toddlernand child,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n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 5 mothers had stress when they played and interactednwith the child continuously, and the Type 6 mothers had stress when their child actednuncourteous, broken the promise, and not correctly expressed own thoughts, and the Type 7nmothers had stress when their child showed inconsistency in thought and action, and whennthings did not go as planned, and the Type 2 mothers had stress when they felt that their lovenwas not enough, and when their child did not take own things. The Type 3 mothers had stressnwhen they did not help their child about learning, and when their child slacked off or not doingnplanned task, and the Type 4 mothers had stress when their child showed selfishness, and whennthey did not give a word of consolation. The Type 8 mothers had stress when their child didnnot act quickly and did not response and act for what mother wants, and the Type 9 mothersnhad stress when they looked as not having the authority, and when mother's parentingncriterions were inconsistent, and the Type 1 mothers had stress when their child actednuncourteous, and when they cannot keep waiting for their chil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nprovide a basic material for considering direction to develop the parent coaching program.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코칭프로그램 적용 효과

        김응자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3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not only supports the healthy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but also affects child abuse and safety, which can reduce the quality of care. Therefore, several multifaceted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to increase the interaction ability of child care teachers, but it has not easily increased and a new approach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aching program as a new communication alternative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to increase the interaction ability using coaching techniques so as to develop high quality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children as a childcare teacher after finding a job in a childcare center.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90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ho will acquire the qualification of childcare teacher at graduatio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and a half hours a week during 12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coaching skills and self-efficacy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pre-and-post tes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examining whether the coach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skills,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s for examining whether the coach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coaching program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skills and self-efficacy.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아동학대와 안전에도영향을 미쳐 보육의 질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이에 보육교사의 상호작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다각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호작용 역량은 쉽게 높여지고 있지 않아 새로운 접근이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에게 의사소통의 새로운 대안으로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코칭기법을 활용한 상호작용 역량을 높여 어린이집에 취업 후 교사로서 영유아와 코칭을 적용한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졸업과 동시 보육교사 자격을 취득하게 될 아동복지학과 재학생 9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12주간 2시간30분씩 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코칭스킬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코칭스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칭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코칭스킬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 제3부 한국인의 가치관과 인성교육 : 아동기 올바른 훈육(訓育)을 위한 부모교육

        김응자 ( Eung-ja Kim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7 No.-

        아동기의 건전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위한 부모의 훈육이 정도를 넘어 학대가 되고 있다. 아동기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모는 자녀 양육에 대해 과거의 가치관과 현대의 가치관 사이에서 격심한 혼돈을 겪고 있다. 이는 자녀 훈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자녀의 최적의 성장발달을 돕고 부모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대상 부모교육을 탐색하고 아동기의 올바른 훈육이 가능하도록 아동발달의 특성과 아동의 권리, 부모역할, 그리고 아동기의 올바른 훈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방향을 탐색한다. 또한 아동기의 부모교육은 부모 자신에 대한 이해와 아동 발달의 특성, 아동기 발달에서 보일 수 있는 부적응 행동과 문제 행동의 이해, 부모자녀 의사소통기술, 올바른 훈육 등을 탐색하여 아동기의 발달에서 올 수 있는 부적응행동과 내용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Growing up by healthy and desirable from parents in childhood, often parent’s discipline exceeds the limits and causes the child abuse. Parents those who raise childhood children are in severe confusion between values in past and values in present, and it influences to parents’ discipline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s to help to have optimum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hood children and as parents, to develop, investigates parental education, which only for parents. Practicable to have proper discipline by parents those who have childhood children it also investigates development of children’s characteristic, rights of children, parents’ role and direction of parental education. Moreover, childhood parental education wish to investigate and suggest correctly from maladjustment behavior with direction of contents in childhood such as understanding of parents themselves with children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of maladjustment behavior and problematic behavior that could seen in childhood development, communication techniqu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roper discipline by parents.

      • 아동기 올바른 訓育을 위한 부모교육(2) - 『사소절』을 중심으로 -

        김응자 ( Kim Eung-ja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8 No.-

        전통사회에서는 수신(修身)을 목적으로 도덕성 함양과 건전한 윤리 실천을 위한 인성교육을 중요시했다. 이것은 도덕 내지 도덕적 덕목에 대한 조기교육을 통해 이루어진 인성교육은 자녀의 도덕성 함양에 기초가 된다고 보았기 때 문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는 『사소절』에서 “길들이지 않은 망아지를 조련하지 않으면 좋은 말이 될 수 없고, 어린 소나무는 가꾸지 않으면 아름다운 재목을 이룰 수 없다. 그러므로 자식이 있으나 가르치지 않는 것은 버리는 것 과 같은 것이다.”라고 하여 부모의 훈육을 중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녀의 인성교육을 강조한 이덕무의 교육사상이 현대 부모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살펴보고 현재를 살아가는 부모의 올바른 훈육방법을 모색 하는데 의의가 있다. In traditional societies, it was important to have personality education to foster morality and practice sound ethics for moral culture. This was because character education about moral virtues in childhood was seen as based on fostering child`s moral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Duk-Mu, a Silhak scholar, wrote a book titled by 『Sasojeol』, and he said "It does not become a good horse if you do not train an unfamiliar foal, and if you do not cultivate a young pine tree, you cannot get a beautiful timber. Therefore, it is the same as abandoning a child if you do not teach a child." He was emphasizing on parental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Lee, Duk-Mu`s educational thought which emphasizes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on modern parent education, and to find the proper discipline method of parents who live in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