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인종ㆍ다민족 사회의 형성과 사회 조직

        김은미(Kim Eon Mee),김지현(Kim Ji Hyun)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2

        이제 한국도 외국인 장기 거주자가 백만 명을 넘어서서 빠르게 다인종ㆍ다민족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비록 외국인 장기 거주 인구가 총 인구의 2% 정도밖에 안 되지만, 단일 민족 신화가 강하며, 이민 국가가 아닌 한국에서 장기 거주 외국인 백만 명 시대를 열었다는 뉴스는 국내 매스컴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만한 큰 사회 현상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인구의 약 28%가 거주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에서 외국인들이 자생적으로 만들고 있는 외국인 마을에 대하여 질적인 연구를 진행한 김은미ㆍ김지현(2006)의 연구를 중심으로, 빠르게 번화하고 있는 한국의 다인종ㆍ다민족 사회의 형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분석틀은 (1) 세계화 시대의 인구 이동과 거대 도시의 발전에 대한 연구와, (2) 외국인 집중거주 지역에 대한 연구 및 (3) 한국의 다문화 사회 연구를 바탕으로 그 분석의 틀을 발전시켰다. 서울에 나타나고 있는 외국인 마을들은 (1) 1970년대 초반부터 일본인과 중국 화교들이 각각 학교를 중심으로 만든 비교적 오래된 외국인 주거형 마을과; (2)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세계화와 한국의 시장개방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한국 진입과 아시아 내 외국인 노동자의 급격한 인구이동과 맞물려서 생성된 외국인 문화형 마을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문화형 마을은 국외나 국내 문헌에서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현상으로서 한국의 외국인 마을 연구가 외국인 집중거주 지역에 대한 국외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 외국인 문화형 마을들은 상권을 구심점으로 형성되어 종교와 문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외국인들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고 있었다. 주거형과 문화형 외국인 마을 모두가 주변의 서울 시민들에게 사회의 변화상을 체험하는 공간이 되어가고 있었다. 또한 한국이 다문화주의가 성숙한 사회라고 볼 수는 없으나, 외국인 마을에서 나타난 여러 사회 조직들과, 특히 외국의의 초기적인 성향을 보이기 시작한다는 것도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 결과다. 본 연구가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선진 이민 국가를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의 제 이론에 한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South Korea is rapidly becoming a multi-ethnic society with over one million foreign residents as of September 2007. Although this represents only 2% of South Korea's population, the one-million threshold represented a significant social phenomenon given South Korea's long history of "mono-ethnic" ideology and its non-immigrant political system.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of South Korea's changing ethnic landscape with an examination of Seoul's growing foreign communities that have sprung up in Seoul, which has nearly 28% of South Korea's foreign residents. Since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about these foreign communities, this study utiliz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ts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from the following three groups of studies: (1) development of large metropolis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involving massive flows of labor and capital; (2) ethnic residential enclaves in immigrant societies; and (3) South Korea's foreign residents and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This study utilized the official immigration and foreign resident statistics of the Korea Immigration Servic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 empirical study of the foreign communities was based on an earlier study conducted by the authors(Kim & Kim, 2006). The study revealed that Seoul has two different types of foreign communities: (1) foreign resident communities formed around schools since the 1970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Japanese and Chinese communities, respectively. These ethnic enclaves persisted over time even when the foreign residents appeared to be fairly established, which was different from studies from immigrant societies including the US and Canada and (2) there are non-permanent, yet regularly forming foreign communities, which are named "foreign cultural communities." These communities appear during particular times of the week(weekends/Sundays, etc.), and form the nucleus of community-life for foreigners. These communities are found to be developing into a systematic cultural space whereby the foreigners shared religious, commercial, and/or cultural activities. Both of these communities are found as important space for long-term foreign residents living in a nation with a 98% majority popul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develop a new sociological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foreign communities in non-immigrant societies such as South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후보

        간호사가 인식한 이차 피해 경험이 삼차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이차 피해 지지의 다중 매개효과

        김은미,김순애,김지인,이주리,나선경,Kim, Eun-Mi,Kim, Sun-Aee,Kim, Ji-In,Lee, Ju-Ry,Na, Sun-Gyoung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7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3 No.2

        Purpose: Nurse's second victim experiences c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negative work-related out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second victim experience and third victim experience and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econd victim supports. Methods: A cross-sectional, self-report survey (the Second Victim Experience and Support Tool) was conducted with 305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 to November 25, 2016 and analyzed using SPSS Win version 23.0. Results: The nurses' perceived second victim experience was $3.24{\pm}0.61$ and the third victim experience was $3.12{\pm}0.92$. Nurses' second victim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increasing third victim experience and indirect effect of colleague support as mediator (p<.05). However, institutional support and supervisor support had not a partial and indirect effect on third victim experience. Conclusion: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to connect second victim experience to third victim experience in South Korea.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negative effects of a second victim experience influence third victim experience. When involvement in patient safety events, the important role of colleague support in limiting nurse's third victim experience have been acknowledged. This study reinforces the efforts health care leaders are making to develop interventional programs to colleague support their staff as they recover from adverse event involvement.

      • 간전이 위암환자의 치료 결과 및 예후

        김은미,김세원,김상운,이경희,현명수,박원규,장재천,송선교,Kim, Eun-Mi,Kim, Se-Won,Kim, Sang-Woon,Lee, Kyung-Hee,Hyun, Myung-Soo,Park, Won-Kyu,Chang, Jae-Chun,Song, Sun-Kyo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간전이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생존 분석을 통해 예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내과 및 외과에 내원한 위암환자 중 간전이가 발견된 85예(동시성 62예, 이시성 2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상병리학적 인자와 위절제술, 간전이병소 절제술 및 항암화학요법 등 치료 관련 인자들에 대해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간전이 위암환자들의 중앙생존기간은 11개월(동시성 11개월, 이시성 17개월)이었다. 동시성 간전이군의 경우 위절제율은 24.1%, 간전이병소 절제율은 16.1%였다. 간외 전이 동반율은 23.5%였고 생존기간에 차이가 있었다(P<0.05). 간전이 병소 절제 및 위절제군, 위절제군, 비절제군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60개월 이상, 10개월 및 9개월이었다(Fig. 1, P<0.05). 이시성 간전이군의 경우 위암절제 후 무병생존기간의 중앙치는 8개월이었으며 초기병기와 간전이 빈도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시성 간전이군에서는 단변량 분석 결과 간외 전이, 위절제술, 간전이 병소 절제술, 외과적 절제 형태 및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이 유의하였고 다변량 분석 결과 간전이병소 절제술,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및 간외 전이가 독립적 예후인자였고, 이시성 간전이군에서는 간외 전이,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및 원발암 세포의 분화도가 유의하였고 간외 전이가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결론: 간전이 위암환자에서 예후는 간전이 병소의 절제, 원발 병소의 절제, 간외 전이 유무 및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여부에 의해 결정되므로 치료에 있어 간외 전이가 없는 경우 보다 적극적인 절제 노력과 항암화학요법이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and the prognosi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85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is (62 synchronous and, 23 metachronous) who received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resectional therapy from March 1990 to March 2006.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therapeutic factors, such as whether or not a gastrectomy, a hepatic resection, and/or chemotherapy had been performed. Results: The media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is was 11 months (synchronous: 11 months and metachronous: 17 months). The rates of gastrectomies and hepatic resections in the synchronous group were 24.1% and 16.1%, respectively A 23.5% prevalence of extra-hepatic metastasis was observed. The median survivals of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with a hepatic resection, a gastrectomy alone, and non-surgical treatment were 60, 18, and 9 months, respectively (P<0.05). The disease-free median survival of the metachronous group was 8 ($3{\sim}39$) month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itial pathologic stage and frequency of hepatic metastasis after the gastrectomy in the metachronous group. In the synchronous group, extra-hepatic metastasis, a gastrectomy as the operative procedure, a hepatic resection as the operative procedure and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and a hepatic resection as the operative procedure,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extra-hepatic metastasis were independant prognostic factors identified by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the metachronous group, extra-hepatic metastasis,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differenti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and extra-hepatic metastasis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dentified by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An aggressive surgical therapy and effective chemotherapy are necessary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i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237-2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