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어 ‘자연(自然, nature)’의 성립사정- 근대 초기, 일본과 조선의 문화번역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이 글은 1910년대 말에서 20년대 초까지 이루어졌던 조선 문단의 ‘자연주의’ 담론을 문화 번역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과의 차이가 생기게 된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일본의 ‘자연주의’의 수용과정이 그러했듯이, 조선에서의 ‘자연주의’ 역시 서구 특히, 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과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띠고 있었다. 즉, 프랑스의 자연주의가 과학적 관찰과 해부학적 분석을 창작 방법으로 선택하여 작가의 주관을 배제하고, 세계에 대해 철저하게 객관적 거리를 유지한 것에 반하여 일본과 조선의 ‘자연주의’는 개인의 추악한 내면을 폭로하거나(일본 사소설), 세계에 대한 일관된 인식을 가진 주체의 형성(염상섭의 자연주의 예술관)을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서구의 ‘낭만주의’의 성격이 더 강하였다. 따라서 일본과 조선의 ‘자연주의’는 사실상 ‘낭만주의’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은 서구의 문예사조가 오랜 시간에 걸쳐 기존의 문예사조에 저항하고 반성하는 과정 속에서 형성된 것과 달리, 조선의 경우는 대부분의 문예사조가 단기간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역(誤譯)이라고 분석된다. 그러나 일본과 조선의 자연주의와 낭만주의가 서구문예사조로서 비슷한 시기에 함께 소개되는 바람에 오해와 혼동을 초래했다는 기존의 설명방식은 ‘자연주의’나 ‘낭만주의’라는 문예사조를 서구의 기준에서만 판단한 것이다. 이처럼 서구적 관점에서 판단하게 된다면 조선의 ‘자연주의’는 ‘진정한 의미’의 자연주의가 아닌, 오역되고 뒤섞인 미완성의 ‘자연주의’라는 결론을 초래하여 조선 문학의 미숙성을 확인하는 것에서 논의가 그치고 만다. 따라서 보다 발전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1910~20년대 조선 문단에 서구의 ‘자연주의’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형과 확장이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discourse of naturalism in Korean literature from the late 1910s to the early 20th century was different from French naturalism literature in terms of cultural translation. Just as the acceptance process of Japanese naturalism was so, naturalism in Joseon was also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naturalism in Western countries, especially in France. In other words, French naturalism selected scientific observation and anatomical analysis as a method of creation, thereby excluding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 and maintaining a thorough objective distance to th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ism of Japan and Joseon was more similar to the romanticism of the West, by exposing the inner ugliness of the individual or by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new modern subject. Therefore, naturalism of Japan and Korea was in fact the character of romanticism .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differs from that of the West, and in the case of Joseon, it is interpreted as a mistake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most literary text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 existing explanation that Japanese and Korean naturalism and romanticism are introduced together in the same time as western literary artifacts led to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and the existing method of explaining naturalism or romanticism will be. Thus, if we judge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the naturalism of Chosun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the unfinished naturalism ,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Chosun literature is immature.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examine what kind of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was mad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naturalism in the Joseon period of 1910s ~ 20s.

      • KCI등재

        2017년 재난적 의료비 경험률 현황 및 추이

        김윤경 ( Yunkyung Kim ),최동우 ( Dong-woo Choi ),박은철 ( Eun-cheol Park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9 보건행정학회지 Vol.29 No.1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refers to spend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household’s income on healthcare expendi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that experienc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between 2006 and 2017 with the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NaSTaB) and between 2011 to 2016 using Households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IES) data. The results of the NaSTaB showed 2.16% of households experienced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2017. In trend analysis, the NaSTaB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annual percentage change [APC]=-2.01, p<0.001) in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HIES showed 2.92% of households experienced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2016. Also, there was a slightly increasing trend (APC=1.43, p<0.001). In subgroup analysis, groups with lower income levels were likely to experien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conclusion, further public support system is needed to lower experience these healthcare expenditures and monitor the low income group.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Balance>에 나타난 도상 기호에 관한 연구 -어윈 파노프스키의 Iconology를 중심으로

        김윤경 ( Yunky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1

        애니메이션에서 이미지와 스타일은 단순히 시각 이 미지의 표현이 아닌, 도상 기호를 통해 의미 작용을 확장시켜 가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이다. 이러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애니메이션에 표출된 시각적, 문화적 요소의 분석은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이미지와 스타일이 단순히 미학적 메커니즘이 아닌 새로운 스타일을 이끌어가는 문화코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어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의 개념을 들어 애니메이션 <Balance>의 분석을 시도 하면서 애니메이션이 나타내고 있는 도상 기호들을 연구하였다. The image and style in animation not just an expression of a visual image but visual communication that expands the action of meaning through the icon sign. The analysis of a visual and cultural factor suggests that the image and style in animation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ultural mode leading to new styles not merely as an aesthetic mechanism. The study there with analyzed animation <Balance> systematically to discern where the icon sign shows up in animation under the concept of Erwin Panofsky`s Iconology.

      • KCI등재

        식민지 근대 지식인의 거듭나기 : 이광수의 「재생」을 중심으로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이광수의 「재생」은 1924년 11월부터 《동아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로 「무정」이래 이광수를 문단에 재등장하게 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재생」은 3·1운동에 가담했던 청년세대가 만세시위 이후에 겪게 되는 내적·외적 변화를 다소 통속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순영, 봉구는 민족의식의 자각보다는 젊은 혈기와 낭만적 감성에서 비롯되어 3·1운동에 가담하게 되었고, 출옥 후 이들의 관심사는 생계나 연애와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에 머물러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돈’은 단순한 교환가치를 넘어서 ‘사회의 우월적 표지’로 작용하게 된다. ‘돈’과 ‘권력’은 명확한 등가개념으로 적용되고, 돈의 권력은 사랑, 가족, 민족애, 윤리·도덕 등의 가치보다 우선하는 것이 된다. ‘돈’은 욕망의 표상으로 그려지고, 인간의 속물성은 ‘돈’ 자체의 속물성으로 은폐된다. 작가는 서투른 욕망에서 비롯된 얼치기 민족운동가 봉구와 순영이 3·1운동이후 보여주는 변화를 대조하면서 부정적 근대와 민족주의적 숭고함을 선명하게 제시한다. 순영을 향한 복수심으로 굴절된 욕망을 따르던 봉구가 조선을 위한 삶을 살기로 결심하고 경주, 모친과 함께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여 거듭난 것, 순영이 병든 신체와 눈 먼 딸을 데리고 자살하게 되는 것, 그러한 순영 모녀를 끝까지 찾아 애도하는 봉구의 모습은 두 인물의 운명을 선명하게 대비할 뿐만 아니라, 조선의 운명을 짊어질 청년 지도자의 숭고함과 당위를 봉구를 통해서 서사적으로 완성하고 있다. Lee Kwang-soo’s serial novel “Regeneration” has been featured in The Dong-A Ilbo since November 1924, and it is a work that once again confirms the influence of Kwang-soo Lee as a writer after the release of “Mujeong.” “Regeneration” describes the coming of age of the young gener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a somewhat conventional way; its characters, Soon-young and Bong-gu, are depicted as participating in a national movement led by naivety, foolishness, and passion. Therefore, after they leave, they focus on extremely personal desires such as livelihood and dating. By then, “money” goes beyond simple exchange value and acts as “social superiority.” “Money” and “power” are applied with a clear equivalent concept, and the power of money is considered more influential than love, family, nationality, ethics, and morals. Money is depicted as a symbol of desire, and human snobbishness is concealed by suffocation itself. The writer contrasts the changes that the foolish national activists Bong-gu and Soon-young showe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representing the opposition between negative modernity and sublime nationalism. In contrast to Bong-gu, who followed his private desire to live a life for Choseon and form a new community with Gyeongju and his mother, Soon-young commits suicide with her blind daughter. This reflects the artist’s view that the nation-state will be completed by removing negative modern symbols-such as Soon-young-for the regeneration of Joseon.

      • KCI등재

        학습실재감 제고를 위한 비대면 강의 운영사례 연구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nline lecturing model by analyzing the operating cases of the writing subjects at a University in 2020. Specifically, the conditions of lecture textbooks suitable for online lectures were searched, and a discussion model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was presented. Compared to face-to-face lectures, online lectures are more focused on the textbook screen than the instructor, so the instructor s remarks require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text or ima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that consider freshmen learners. Small-scale discussions and prediscussions were conducted so that learners could actively participate, and writing practice was conducted using Google Docs. Through this, online lectures confirmed the learning effect of diversified communication, various visual materials, and real-time feedback using a Google Docs program.

      • KCI등재

        2세대 신여성의 이상과 좌절의 서사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이 글은 최정희 소설에 드러난 모성회귀, 여성인물의 욕망의 추구와 갈등, 좌절의 서사가 동시대를 살아가던 신여성들의 현실적 삶의 조건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정희의 해방 전 작품 중 모성회귀 서사가 두드러진 대표작 「인맥」과 「환영」을 통해 현모양처 담론이 강화되었던 1930-40년대 식민지 현실에서 욕망과 현실 사이에서 내적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던 지식인 여성의 내면을 분석하고, 「천맥」, 「지맥」, 「흉가」의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1930~40년대 근대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경제적 곤란의 양상을 살펴본다. 최정희의 초기 소설에는 1930-40년대에 활동한 2세대 신여성의 경험과 자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이 시기의 대표작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신여성의 낭만적 사랑, 섹슈얼리티의 추구와 좌절의 서사는 여성의 자기구성 욕망이 가부장적 사회에서 거부되어 현실에 순응함으로써 현모양처의 미덕을 내면화하는 좌절의 과정을 보여준다. 산업화된 도시는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는 한편, 낭만적 사랑의 실현을 통한 자유연애를 성적 문란함과 도덕적 타락으로 이미지화함으로써 여성의 욕망은 통제담론의 대상이 되었다. 최정희 소설 「인맥(人脈)」, 「지맥(地脈)」,「천맥(天脈)」, 「환영(幻影)」 등은 근대적 여성주체로서의 의식을 부정할 수밖에 없는 여성의 현실을 그려냄으로써, 자신의 주체적 삶을 추구하고자 한 당대 지식인 여성들이 겪어야 했던 현실문제와 내적 혼란을 보여준다. 그녀의 소설에 나타나는 이른바 “자궁의 슬픈 운명”이라는 운명론적 체념은 여성주체로서의 욕망을 끊임없이 부정당하는 현실적 고뇌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ssue of identity in women’s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period , focusing on the novels by Choi Jung-Hee. As the Japanese militarist colonial rule strengthened in the 1930s and 40s, women’s education focused on producing “mothers who could nurture new leaders of the empire.” Accordingly, female sexuality and uniqueness was frowned upon and even repressed. However, many female writers embraced the freethinking, individualist female consciousness popularized by the “new females” a generation earlier during the time when Choi Jung-Hee was actively writing. However, female scholars in the 1930s and 40s were forced to live in a reality that was alienated from this ideal. The increas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is period required the increased participation of females in society. For economic reasons, females became more active in the public sphere and, as a result, were forced to adjust to patriarchic order and patriarchic way of thinking. Choi Jung-Hee’s novels present the concerns and conflicts facing female scholars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the conflict between female sexuality and motherhood. Although most characters in Choi’s novels seem to give in to the expectations of motherhood, what we are actually witnessing is the image of “patriarchic femininity” being destroyed. This paper identifies how Choi’s unique “femininity” appears in her novel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female scholars’ view on real world issues and female consciousness.

      • KCI등재

        퍼핏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인 "몸"에 관한 연구

        김윤경 ( Yunkyung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7 예술과 미디어 Vol.6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퍼핏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체의 형상을 메를로-퐁티의 몸 이론과 결부시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메를로-퐁티의 현상적인 몸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것을 토대로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퍼핏의 몸을 관련지어 볼것 이다. 메를로-퐁티의 몸에 관한 철학은 몸의 주체와 의식사이에서 위치한 살아있는 몸을 말하며, 이것은 체험을 통해 육화된의 식이라고 주장한다. 애니메이션에서 퍼핏은 주체이자 객체로 존재하며, 주체와 의식 속의 몸에 관한 문 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에서 퍼핏이 어떻게 존재하는 지에 관한 의미를 묻는 것은, 동 시에 주체와 의식의 문제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figure of the body appeared in Puppet Animation with Merleau-Ponty`s theory of the body. On the basis of clarify the concepts of body in I would like to relate to a body of Puppet in Animation. Merleau-Ponty mentions a new philosophy of the body that locates the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in the lived body, becoming ``embodied consciousness`` through experience. Puppet in Animation exists both subject and object, raises a question about a body in the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So that, by inquiring into the meaning of Puppet in Animation which is how the body exists,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opens a new horizon for the problems of the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