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mporal - Fidelity Scaling 기법의 MPEG - 4 Visual Component로의 확장

        김현정(Hyunjeong Kim),이흥기(Heungki Lee),김상형(Sanghyoung Kim),이성인(Sungin Lee),유관종(Kwanjong Yoo),김두현(Doohy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대역폭이 보장되지 않는 인터넷 상에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로서 layered coding을 통한 스케일러블 전송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의 스케일러블 전송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Temporal-Fidelity Scaling 기법을 제안하며, MPEG-4 Visual Component에서의 적용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령자 대상 휴대폰 UI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접근에 관한 고찰

        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라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점점 고성능화되고 복합기능화되고 있는 휴대폰에 있어 고령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적용방안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원칙에 대해 살펴보고 고령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되고 시장에 출시된 다양한 휴대폰의 사례를 수집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고령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휴대폰들은 사용자 포함 범위와 하드웨어의 사양에 따라서 실버폰(고령자 전용 특화폰) 심플 UI폰 유니버설디자인폰으로 분류되었고 이들 폰에서 추출한 고령사용자를 위한 세부기능들은 고령자의 요구에 따라 시각적 요구 청각적 요구 촉각 및 손조작적 요구 기타 신체적 요구 인지적 요구 및 심리적 요구로 분석되어 정리하였다. 이상의 정리 내용을 기반으로 고령사용자를 위한 휴대폰 UI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토의하였다. 본 논문은 휴대폰 디자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휴대폰 UI의 개발 현황을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유니버설디자인 속성 적용에 대한 필요성과 개괄적인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향후 휴대폰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있는 유니버설디자인 휴대폰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사용행태 및 요구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s the aged society and digital convergence have progressed most elderly us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using mobile phones with complex functions. Therefore universal design became more important in UI of mobile phone.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o approach universal design in UI of mobile phone for the elderly. First secondary research on concept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as reviewed and case study of mobile phones for elderly users was done. mobile phones developed for the elderly in many companies around the worl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y range of users and features of the phone; silver phone(mobile phone targeted only elderly users) simple UI phone Universal design phone. The detailed features of mobile phones developed for the elderly were drawn out and organized by elderly users' needs; needs for vision needs for hearing needs for dexterity other physical needs cognitive needs and psychological needs. Finally based on the organized content how to approach universal design in UI of mobile phone for the elderly was discussed. In order to develop universal design mobile phone for universal users' flexible usage user research to understand users' usage patterns and needs will be necessary in further study.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차세대 색채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 중고등학교 7종 교과서의 색채교육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색은 우리에게 모든 사물을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로서 생활 속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회적 기능이 강조되면서 색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므로 색채는 사회 속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라는 응용적 성격이 강조되고 있다. 색채는 생활의 예술이며 색채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며 색채교육은 언어를 배우는 것과 같다. 차세대 채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우리나라 색채교과서의 내용과 일본 중국의 색채 교과서를 중심으로 내용적인 면에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점과 해결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색채교육을 통해서 색의 배색과 조절에 의한 자유로운 색채의 사용 능력을 키워 나가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각각의 색에서 나타나는 색의 상징 및 표현되는 언어에 대한 부분도 같이 연구되어 국민 개개인의 색채교육을 통해 국민의 정서와 국가의 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색채연구는 계속되어야 하며 이론적이 접근과 함께 감성적인 접근을 통해 차세대 색채교육의 해결책을 찾아 나아가야 할 것이다. Colors are used in our daily lives as an important tool to feel every thing and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as its social functions got stressed. Therefore application of colors got stressed as a communication tool needed in the society. Colors are art of life while color education is a social procedure like learning language. Regarding the direction of color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olor education in textbooks of Japan and China as well as how to solve them. It surely would be important for color education to raise the ability to freely use colors by controlling their proportions but study about symbol and expressed language for colors must go on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eople's sentiment and both of theoric and sensitive approach would be needed for better color educ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해온 공무원의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 정책소통 측면의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jeong),최선아(Choi Sunah),박영희(Park Younghee),김병희(Kim Byoung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을 부르는 직급명칭인 이사관, 서기관이 을사늑약 이후 일본의 강요에 의해 설치된 관직명이며, 법령상 직급 명칭인 사무관과 주사, 서기 등의 명칭도 일제강점기의 관직명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공무원의 직급명칭에 대한 문제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직급명칭은 단순히 역사성의 문제만이 아니라 공무원의 조직체계 안에서의 변화와 직무자질, 그리고 하나의 국가나 지자체 브랜드의 요소로서도 다양한 측면을 지닌 상징성을 갖는다. 하지만 현재의 공무원 직급명칭은 이러한 다양한 측면의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현재 공무원 직급명칭( 특히 일반직 행정 공무원) 에 대한 정서 및 지각을 살피고, 향후 직급명칭의 개선의 필요요인을 조사하고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비교와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직급명칭에 대한 지각 분석 결과, 직급명칭에 대한 감정 반응에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급명칭을 통해 공무원의 직무나 역할, 직무체계를 이해한다거나 공무원의 이미지를 크게 지각하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의 공무원 직급명칭에 대한 개선 방향에서는 공무원의 자질 측면, 브랜드 가치 측면, 행정명칭 특성측면의 개선 방향 가운데, 공무원의 직무자질 측면의 윤리적 가치 개선 요소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가치 측면의 개선요소로서는 책무를 적용하는 방향으로의 개선요인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명칭 특성측면 개선요인으로는 대중적 가치 측면에 대한 개선요인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가적으로 현재의 직급명칭의 인지도에 따른 지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 이해도, 이미지 지각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향후 개선 방향에서도 브랜드 가치적 측면의 요인, 행정명칭 특성 요인, 윤리 자질 측면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current name of civil servants’ position, “Esa-kwoan”, “Seogi-kwoan”, so on, had been installed by Japan s insistence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and it has been used so far. This fact clearly reveals the problem with the name of the general administrative officer. It has not only historical issues, but also various aspects. In other word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administrator s name, including meaning and value, symbolic elements of the national or local brand, and other elements of the organization system of civil servants. However, these aspects demonstrate the need to revise the name. So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 for and how to improve the name of the position. And the average comparison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s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bout the name of civil servants were found to be low. And also it was found that it is not easy to recall the image of public officials or understand their duties or roles through the name of public officials. The results show that respondents are not particularly perceived for civil servants through the names of civil serva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mes was the ethical value element in terms of public officials job quality. Third,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factors in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liability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brand value aspects, and public value aspects are highly regarded as administrative name attribute improvements.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urrent civil servants names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ask understanding through name and image recognition.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shown in terms of brand value, administrative name characteristic factors, and ethical quality factors in improvement of the name.

      • HMD 좌우 영상간 거리와 사용자 안간 거리(IPD)의 불일치로 인해 유발되는 가상 멀미에 대한 연구

        김현정(Hyunjeong Kim),이중호(Joong Ho Lee),오주영(Ju Young Oh),이호준(Ho Jun Lee),박지형(Ji Hyung Park)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넓은 화각(Field of View; FOV)을 제공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는 높은 임장감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상 멀미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멀미를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로서 안간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와 HMD 좌우영상간 거리의 불일치가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HMD 의 좌우 영상간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된 조건에서 사용자 별 IPD 의 차이에 따른 가상 멀미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팀은 HMD 좌우 영상간 거리를 각 사용자의 IPD 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HMD 좌우 영상과 IPD 간의 불일치 정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불일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상 멀미가 얼마나 증가하는 지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MD 의 inter-ocular and inter-screen distance (IOISD)의 개념과 이의 조정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IPD 에 따른 HMD 조건을 적용한 후 가상 멀미 정도 차이를 측정한 예비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기조절 능력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현정 ( Hyunjeong Kim ),조성현 ( Sunghyoun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조절능력 관련 연구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전체 효과 및 조절변인들의 관계와 효과크기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 2월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학술지개재논문 총 12편을 대상으로 동질성을 검증하고 랜덤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유형, 대상연령, 출판유형, 실험기간, 실험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review studies on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ability by using meta-analysi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effect and the moderator variables and the effect size. To this end, homogeneity was verified for a total of 12 articles, including degree theses and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1 to February 2021,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ability was found to be high.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stitution type, target age, publication type, duration of experiment, and number of experi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a practical plan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