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NCB에 의해 유발된 아토피 동물 모델에서 저출력 레이저 중재가 피부염의 증상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유림 삼육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아토피 피부염은 비정상적으로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 IgE)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된 피부염으로 정의된다. 현대 사회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증가 추세에 있고, 특히 유·소년에서의 유병률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난다.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 광선치료가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대체 요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광선치료의 하나인 저출력 레이저 치료는 레이저 조사량에 따라 상처치유, 염증 치유 등 다양한 치료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저출력 레이저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유 기전과 적절한 에너지 조사량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아토피 유발 실험군은 BALB/c 마우스의 등을 제모한 후 2.5%의 DNCB용액 200 μl를 1회 도포하여 면역화 반응을 유발한 후 3일에 한번씩 1.0%의 DNCB용액 150 μl를 5회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정상군 (n=8)은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 3:1로 섞은 용매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 (n=8), 아토피군 (n=10), 저출력 레이저 2 J/㎠ 조사군 (n=10), 저출력 레이저 4 J/㎠ 조사군 (n=10), 저출력 레이저 6 J/㎠ 조사군 (n=9), 저출력 레이저 8 J/㎠ 조사군 (n=10)으로 나누었다. 아토피 유발 후, 아토피 피부염의 자연 치유를 막기 위하여 3일에 한번씩 1.0%의 DNCB용액 150 μl를 도포하였다. 저출력 레이저는 650 nm의 파장과 50 mW의 출력으로 2주간 총 14회 각각 2분, 4분, 6분, 8분씩 조사하였다.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음수량, 식이량, 체중, 관능 평가, scratch behavior test, 비장 무게, 혈청 내 IgE, 인터루킨(Interleukin, IL)-4의 함량, IL-4, IL-6, 종양괴사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γ, IFN-γ)의 messenger RNA(mRNA) 유전자 발현 양을 측정하였고, 조직의 두께 변화와 비만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음수량과 식이량, 체중, 관능 평가, scratch behavior test는 저출력 레이저 조사전, 1일째, 3일째, 7일째, 14일째 총 5번 측정하였고, 비장의 무게와 혈청 내 IgE, IL-4의 함량, IL-4, IL-6, TNF-α, IFN-γ mRNA 유전자 발현 양, 그리고 조직의 두께와 비만세포 수는 레이저 조사 종료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관능 평가에서 조사 7일째부터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평가점수의 감소가 일어나 조사 14일째에는 아토피 군에 비해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p<0.01). scratch behavior test에서도 마찬가지로 조사 7일째부터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긁는 횟수의 감소가 일어나 조사 14일째에는 아토피 군에 비해 정상군을 제외한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p<0.001). 비장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아토피 군에 비하여 모든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p<0.01). 혈청 내 IgE와 IL-4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IgE의 경우, 아토피 군에 비하여 모든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p<0.05), IL-4의 경우에는 저출력 레이저 8 J/㎠의 조사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비장의 사이토카인인 IL-4, IL-6, TNF-α, IFN-γ mRNA의 유전자 양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본 결과, IL-4의 경우 저출력 레이저 6 J/㎠의 조사군을 제외한 다른 조사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05), IL-6, TNF-α mRNA에서는 아토피 군에 비하여 모든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p<0.05). IFN-γ mRNA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조직검사 결과 표피 두께와 비만세포의 수는 아토피 군에 비하여 모든 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p<0.01). 관능 평가와 scratch behavior test, IFN-γ mRNA발현 양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다른 저출력 레이저 조사군 보다 4 J/㎠ 군에서 가장 많은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은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사이토카인과 조직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려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도움을 줄 것이며 그 중 4 J/㎠의 에너지양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의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

        김유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을 적용하여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의 8차시 지도안을 개발하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교수⋅학습 활동 방향에 대해 파악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편찬된 14종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곡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수록된 서양 악곡 2곡 비발디<사계>와 스메타나<몰다우>와 국악 곡 2곡 <현악영산회상>과 <수제천>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그다음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 8차시를 개발하여 현장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안을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의 교수ㆍ학습 활동 방향과 여러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 모형의 필요성을 발견하였고,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이 이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비주얼 씽킹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음악 감상 수업의 적용을 위해 여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비주얼 씽킹의 수업단계와 비주얼 씽킹의 레이아웃 기법을 음악 감상 수업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지도안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요소에 의거하여 제재곡의 학습목표와 주요 학습요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지도안에 비주얼 씽킹 음악 감상 수업 단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지도안의 학습 요소와 어울리는 비주얼 씽킹의 레이아웃 기법을 학습 활동에 활용하여 학생들이 비주얼 씽킹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성하였으며, 완성된 비주얼 씽킹 작품을 바탕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하는 등의 음악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지도안의 개발 및 수정을 마치고 비주얼 씽킹을 음악 수업에 활용하고 있는 현직 음악 교사 3인에게 지도안의 현장 적합성을 의뢰한 결과, 비주얼 씽킹의 수업단계와 기법이 지도안에 잘 적용되었으며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지도안의 활동들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참신한 활동으로 실제적인 음악 경험을 기대할 수 있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비주얼 씽킹 활동으로 인해 본래 감상곡을 감상하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도록 수업 시간을 분배할 때 유의해야 한다는 점과 비주얼 씽킹 활동에 치중하여 감상 수업의 방향이 지나치게 확대되지 않도록 적당한 레이아웃을 선정하여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지도안 개발과 현장 적합성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을 개발 및 적용할 때 비주얼 씽킹 활동과 음악 감상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해야 하며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을 위한 다양한 시각자료와 예시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음악 감상 수업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도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음악 수업 지도안이 개발되기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이 실제 음악 교육 현장에 활용되길 바라며 비주얼 씽킹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여 폭넓은 음악 경험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suitability of middle school music appreci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while proving its adequacy in middle school classes. The research methods I used to accomplish the main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 reviewed and analysed prior research of concepts related to visual thinking in order to present its theoretical background. It has been redefined as an activity where students listen to music, present their writings and images through video or other digital tool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what they have achieved during class. Also, the class stage and teaching techniques of general visual thinking have been modified to suit the music subject. Secondly, the direction of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 revised in 2015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is, I selected 4 songs as major supplementary music material, as well as learning goals and content. The four songs were; Vivaldi – Four Seasons, Smetana – Moldau (from Western music) and Yeongsanhoesan, Sujecheon (from Korean music). Each of the four songs were developed with two sessions of instruction plans into a total of 8 teaching guidelines that were applied to visual thinking. In these classes, students can do music activities based on visual thinking activities. Thirdly, the guidance plans were validated by three contemporary music teachers. As a result, the class stage and visual thinking teaching techniques were well applied,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was also received positively. In addition, the activities in the guidance program were said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bring about practical music experiences through these vivid novel activities which would in turn attract the students’interest. However, there were several opinions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the guidance plans: The proper distribution of class hours to ensure there is enough time to listen to original music after the visual thinking activities. The prevention of excessive focus of the listening class on visual thinking activities, for which an appropriate layout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So,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the guidance plan using visual thinking on the basis of practical suitability, the appropriate time distribution for visual thinking activities and listening to music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visual tools, materials and examples for the music appreci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are needed. I also suggested that music class guidance using visual thinking would be applied in other fields.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at music appreciation class using visual thinking be applied in practical music application fields. I conclude that, through visual thinking activities, students can creatively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in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and experience a variety of music.

      • 쑥좌훈요법의 유해중금속 농도 및 체지방 감소에 따른 신체미(美) 개선 효과

        김유림 영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쑥좌훈요법이 여성들의 영양미네랄 함량, 유해중금속 함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및 신체미(美)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연구 대상자를 부산·경남지역의 만 40세 이상 ~ 만 59세 이하의 폐경 전 여성 6명과 폐경 후 여성 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7월 5일 영산대 연구윤리위원회(IRB) 최종 승인을 받았다. G*Power 3.1.3을 활용해 최종 선출된 연구 대상자 수는 폐경 전 여성 18명, 폐경 후 여성 18명으로 총 36명이 최종 산출되었으며 부산의 Y피부관리실에서 홍보를 통하여 모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인 참여 의사 및 서면동의를 받은 뒤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동질성 검사를 위한 사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생변수를 통제하기 위하여 지난 1개월 간 모발관리, 두피관리, 염색, 탈색, 코팅, 매직, 퍼머를 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저녁 8시 이후 가급적 음식섭취를 제한하도록 하였고 일주일에 3일, 40분 이상의 중등도 운동을 가급적 자제하도록 권고하였으며 식단과 운동을 평상시처럼 유지할 수 있도록 식단·운동 신호등을 작성하게 하였다. 2017년 7월 1일 ~ 2017년 7월 16일까지 대상자 모집과 대상자 사전 교육, 동질성 검사를 완료하고 2017년 7월 17일 ~ 2017년 9월 10일까지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1주일에 2회 8주, 총 16회에 걸쳐서 쑥좌훈요법을 폐경 전 여성, 폐경 후 여성 각각 18명씩 실시하였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스스로 중도 포기의사를 표시한 폐경 전 여성 4명과 폐경 후 여성 4명 등 7명을 제외한 총 36명이 연구실험을 완료하였다. 쑥좌훈요법이 여성들의 영양미네랄 함량, 유해중금속 함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및 신체미(美)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기혼이 33명으로 91.7%였고 연령은 40대가 20명(55.6%), 50대가 16명(44.4%)으로 40대가 많았으며 출산경험은 2회가 22명(61.1%)으로 2명의 자녀를 출산한 경우가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55.6%인 20명이었으며 월수입은 200만원 미만이 4명(11.1%), 200 ~ 400만원 미만이 19명(52.8%), 400 ~ 600만원 미만이 7명(19.4%)으로 나타났다. 둘째, 쑥좌훈요법이 집단 별 실험 전·후의 영양미네랄 함유량의 차이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영양미네랄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Ca(F=22.027, p<0.001), Mg(F=7124, p<0.05), Cr(F=6.328, p<0.05), Se(F=8.783, p<0.01), Mo(F=19.259, p<0.001), B(F=12.51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B는 상호작용효과(시기×집단)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기 때문에 집단과 측정시기에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F=7.539, p<0.05). 셋째, 쑥좌훈요법이 집단 별 실험 전·후의 유해중금속 함유량의 차이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유해중금속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Hg(F=128.430, p<0.001), Al(F=58.672, p<0.001), As(F=17.413, p<0.001), U(F=9.354, p<0.01), Bi(F=8.32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넷째, 신체계측의 변화를 살펴보면 체지방량(F=25.241, p<0.01), 체지방률(F=17.193, p<0.001), 복부지방률(F=6.897, 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실험 후 1회 차 시기부터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실험 4회차 이후에는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의 신체미(美)에 대한 설문 척도의 모든 항목(폐경 및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자아 개념 관련사항, 정신건강 관련사항)에서 집단 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쑥좌훈요법이 집단별 관리 후 만족도를 살펴보면 쑥좌훈요법 후 20가지 항목의 만족도 평가에서 대부분 그렇다 이상을 응답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쑥좌훈요법은 두 집단 모두 영양미네랄 함량에서는 Ca, Mg, Cr, Se, Mo, B 가 관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해중금속 함량에서는 Hg, Al, As, U, Bi 가 관리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계측지표에서는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이 관리 전·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두 실험군의 지표를 비교했을 때 B를 제외한 모든 실험의 지표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허지인은 좌훈과 소주천 수련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에서 좌훈을 실시하여 육체적 반응을 살펴본 결과 체지방 감소로 몸의 순환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박영순은 쑥좌훈과 같은 수 요법으로 스파와 반신욕이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두 실험군에서 모두 복부지방률이 감소하였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인희는 쑥좌훈과 같은 수 요법으로 반신욕이 여성의 스트레스와 혈액성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향상되었다고 하였고 이선영도 반신욕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향상되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선의 피부관리실에서 시행되고 있는 여러 가지 관리 중 쑥좌훈요법을 활용하여 현대 여성들에게 건강한 몸과 아름다운 체형을 추구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의 특별한 질환이 없는 만 40세 이상 ~ 만 59세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확대해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쑥좌훈요법의 효과를 좀 더 검증하기 위해 폐경 전 여성군, 폐경 후 여성군과 더불어 무처치군의 대상자 비교를 통한 객관적인 가설검증의 절차가 이루어지고 쑥좌훈요법으로 감소한 체지방과 복부지방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지 연구한다면 미용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오늘날 날로 다양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미용학계에 건강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 법학적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유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중앙권력기관 및 중앙관리체계에 권한이 집중됨으로써 야기되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블록체인이 등장했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암호화한 블록을 매 일정 주기마다 참여자 모두가 가지는 동일한 분산원장에 마치 체인처럼 결합하는 탈중앙화 분산원장 기술을 말한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분산화, 불변성, 보안성, 신뢰성, 투명성, 확장성, 신속성 등을 주요 특성으로 말미암아, 해킹이나 위·변조로부터 취약한 중앙집중형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가상화폐기술에서 자산발행기술, 자산중심기술, 확장 응용 플랫폼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그 기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막연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블록체인의 현실 도입이 멀지 않았음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음을 상기할 수 있다. 특히, 중앙권력기관과 중앙정보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자 내지 정보권리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할뿐더러,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반 기술의 적용을 통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다만,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정보의 비가역성으로 인해 개인정보 등이 침해될 수 있으며, 오늘날 현실 도입 시기가 다소 느리며, 법규의 결여와 미비로 아노미 상태에 있는 등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 한계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의 대중화·보편화 및 기술 개발과 개발자·참여자의 아이디어를 통한 지속적인 발전, 법제 마련으로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에의 공인성을 부여함으로써 극복이 가능하다. 이에, 블록체인에 대한 국내외 법제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나, 아쉽게도 블록체인 그 자체보다 그 유인인 가상자산에 대해 규율되었을 뿐이었다. 따라서 먼저 가상자산에 관한 국제기준와 법률 등을 통해 가상자산에 대한 국제적으로 취하고 있는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2020년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및 소득세법, 법인세법,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상속세 및 증여세법 등 국내 법제에서의 가상자산 등에 대한 규율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법제의 미숙한 점을 파악하고 해외 법제로부터 참고할 점을 살펴본다. 블록체인이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활용되고 그 대중화가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블록체인의 운영과 그 활용에 따라서 현행 법제를 일부 개정하는 등 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크고, 가상자산에 대해 명시한 특금법처럼 블록체인의 경우에도 소위 블록체인기본법의 제정이 필요할 것이다. 온라인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비롯해 그 참여자의 소재지가 전 세계적으로 흩어져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블록체인에의 일관적인 대응을 위하여 국제공동표준규약의 마련할 필요성도 커졌다. 그리고 국내 블록체인 법제 마련을 위해서 논란이 되는 세부 쟁점, 특히, 블록체인의 개인정보와 잊혀질 권리 등 침해 논란, 가상자산 거래의 양지화와 가상자산 소득에 대한 과세에 대한 논란,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투표 시행에 관한 논란, 블록체인의 도입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혼란에 대한 논란 등에 대해 알아본다.

      • 한국 뮤지컬 여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 연구 : 1990년대부터 2011년까지를 중심으로

        김유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한민국 뮤지컬의 대표 여자 배우 3인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예술 분야인 뮤지컬을 학문적 관점에서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끼고, 그 중에서도 배우예술에 주목하여 진행하였다. 여배우의 짧은 생명력과 공연계의 중추 역할을 해야 하는 중년배우의 기근현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배우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와 수상경력을 객관적 잣대로 삼아 뮤지컬 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삶과 출연작품, 출연작품에 대한 배우의 기여도, 뮤지컬 배우 이외의 활동에 주목해보며 그들의 생명력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 제1절에서는 먼저 그들의 삶에 조명한다. 일단 성장배경을 살펴보며 가정환경이 그들의 선천적 재능을 어떻게 발견시킬 수 있게 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을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게 한 교육배경에 대해서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성장배경과 교육배경을 거쳐 뮤지컬계에 입문하기까지의 과정을 되짚어보며 그 과정들이 세 배우의 예술가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본론 제2절에서는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대한민국 여배우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한 대표작품을 세편씩 선정하여 그 작품들을 통한 배우의 성장과정을 되짚어본다. 그리고 세 여배우의 작품 활동과 수상경력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에 들어간다. 그들의 수상 경력이 활동기간과 참여 작품 수, 활동분야, 그리고 배우로서의 다양한 변화 시도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세 배우의 출연 작품들을 표현수단, 장르, 작품의 원산지에 따라 분류해 도표화 시켜 볼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성격에 따라 코믹, 비극, 드라마, 스릴러, 가족극, SF, 컬트 등의 뮤지컬 장르로 나누어 세 배우의 출연 작품을 분류시켜본다. 출연 작품 장르 분류를 통해 배우가 특별히 더 주력하고 있는 장르가 있는지 살펴보고, 작품을 선정할 때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출연을 결정하는지, 그들이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선천적, 후천적 영향이 있지는 않은지 분석해 본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세 배우의 출연작품을 비교해 보며 그 속에서 그들의 차이점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주목해 본다. 세 배우 모두 뮤지컬 배우 활동 이외의 제2의 인생이 있다. 이태원은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고, 전수경은 뮤지컬 분야 이외에 영화, 드라마에 꾸준히 출연하고 있다. 최정원은 연극배우로서의 입지를 굳혀 나가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제3절에서는 세 여배우의 제2의 인생에 대해 살펴보며 그 분야에서 그들이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고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분석한다. 오랫동안 뮤지컬 배우로 활동해 오며 대한민국 대표 여배우로 그 공로를 인정받고 있는 세 배우의 연구는 현재 뮤지컬 배우의 길을 가고 있거나 혹은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이들에게 진정한 배우의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하고 그 길의 지표를 제시 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3 most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actresses who are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Out of necessity to study a fast-growing art of late which is a musical from a academic point of view,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rt of performers. Performers who, despite a short acting career of young female performers and a lack of middle-aged female performers who are supposed to play a key role in performance scene, are carrying actively their performance career until a recent date are chosen as objects of study.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3 musical actresses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were chosen to estimate their vitality and values as musical actresses focusing on their lives, musical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contributions to the works and their activities other than as performers.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their lives will be focused on.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ir backgrounds, we will see how their home environments affect and develop their innate talent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made possible the growth of their artistic talents also merits to mention. By looking back on how they put their foot on musical scene starting from their famili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how all those backgrounds affect their artistic activities will be elucidated. In the second part of the main body, 3 representative works for each performer which established their position as national musical actresses will be focused on to trace back the process of their growth. The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 actresses will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We will see how their award-winning status are differentiated respectively by their acting period, the number of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activity spheres and their various trials of transformation as actresses. Their works will be schematized and tabulated according to expression medium, genres and origins of works. They will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which genre of musical each work belongs to like comedy, tragedy, drama, thriller, family drama, SF and cult musical. By doing so, the problems of whether there is any genres performers are more focused on, on what basis they choose the works, whether there are any innate or acquired reasons why they choose such works will be analyzed. Furthermore, we will focus on their differences and values as performers by comparing the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on various aspects. All three actresses have additional career other than their musical performer career. Lee Tae won is following the teaching profession, Jeon Soo kyung performs in movies or dramas other than musical works. Choi Jung won is securing her position as a stage actress. In the third part of the main body, their careers other than musical performer will be focused on, where what activities they are doing and their value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3 musical actresses who are recognized as national female performers will serve to those who is now musical performers or who are dreaming of becoming musical performers one day as a meaningful material making them think deeply about the path to being a true performer and showing them valuable clues leading to that path.

      •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별 정부지원정책의 효과

        김유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및 디플레이션의 우려 속에 이에 대한 탈출구로 기업의 성과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펼쳐지고 있다. 그 중 중소기업은 국가 경제 및 산업성장의 원동력이 되므로 중소기업의 성장은 매우 중요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경제활동을 수행하는데 대기업에 비하여 환경여건이 부족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많은 지원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5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의 지원을 받은 적이 있는 중소기업을 성장단계별로 구분하여, 정부의 지원 정책이 재무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의 지원정책이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별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부지원정책은 성장단계별로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소기업의 성장단계 중 성장기에는 자금지 원과 세제지원, 인력지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숙기에는 자금지원, 정보지원 및 인력지원이 유의한 영향이 있음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부의 지원정책을 수립 시 중소기업의 성장단계에효 과적으로 적용되는 정부지원정책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정부지원정책 방향을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 서비스 회복의 공정성과 진정성이 외식소비자의 고객공감, 회복만족, 고객용서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첨단과학 기술의 발달과 확산에 따라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일자리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거나 대체될 것으로 예측된다. 점차 증가하는 서비스 산업 속에서 서비스 회복은 여전히 한정된 조건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단순히 공정성을 통한 서비스 회복은 기업에 차별성을 줄 수 없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 공정성에 대한 고객의 지각이 긍정적인 고객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지만, 고객의 긍정적 반응이 공정성에 대한 지각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외식업체에서 서비스 실패 및 서비스 회복에 대한 경험이 있는 외식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회복 노력의 공정성과 진정성이 고객공감과 회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의 회복노력을 통한 고객공감과 회복만족이 고객용서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고객용서에 따른 행동의도(재방문의도, 구전의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최근 6개월 내 국내 외식업체 이용 시, 서비스 실패와 회복경험이 있는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308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총 13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서비스 회복 노력의 지각된 공정성 및 진정성이 고객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상호작용적 공정성과 진정성이 고객공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절차적 공정성과 분배적 공정성은 고객공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회복 노력의 지각된 공정성 및 진정성은 모두 회복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공감과 회복만족은 고객용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용서는 행동의도(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서비스 회복의 공정성 및 진정성이 고객공감과 회복만족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조절효과로서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첫째, 소비자의 지속적인 재방문 및 긍정적 구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비스 회복 노력의 진정성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여 고객공감 및 회복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서비스 회복 노력의 공정성 요인보다 진정성 요인이 고객공감 및 회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가식과 진심으로 인식되는 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고객의 지각된 진정성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과의 말이 상대방을 전부 이해시키거나 무조건적인 용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실패 시 단순한 사과의 말이 아닌 진정성을 담은 사과의 말이 중요하고, 이는 진정성을 담은 서비스 회복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비스 회복을 위하여 진정성에 대한 서비스 종사자의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justice and authenticity on empathy, recovery satisfaction, customer forgiv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of foodservice customer. Based on 308 sample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13 hypotheses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 As a result, first, the hypothesis of the impact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authenticity on customer empathy was accepted. Second, the hypothesis of the impact of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on customer empathy was rejected. Third, all justices and authentic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satisfaction. Forth, customer empathy and recovery satisfaction resulte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forgiveness. Fifth, the customer forgiveness impacted on behavior intentions. Finally, self-esteem as a moderating effect was found to be partly significant between justice, authenticity and customer empathy, recovery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reating the new service recovery method in the food-service industry. In addition to managing the service recovery method in many respects, continuous and systematic staff training is needed. Also,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른 지각된 가치가 만족, 장소 애착, 행동의도 및 지지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목포시 구도심 ‘괜찮아마을’을 중심으로

        김유림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community tourism projects that utilize idle land in the local community have been transforming tourists who used to passively consume pre-existing tourist destinations into proactive participants in the local community. We are living in an age in which almost everything has dramatically changed through such experience in small communities, from the way of making money, running a business, finding employment, and generating income, to the way of travel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60 special projects for improving people’s lives in 2021 and launched a new “project for creating cultural and tourism facilities by repurposing the idle space in the communities,” anticipating the revitalization of long-stay tourism through the idle space redevelopment projec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recreating a place of gathering by utilizing the idle space in a local community is a new attempt to develop the community and the local tourism industr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 of utilizing the idle space in terms of tourism and to scrutinize the effect of such projects on the short- or long-term touris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ceived values of short- or long-term tourists in the newly created area affect their satisfaction, place attachment, behavioral intention, and continuing support for the project. To this en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among the short- or long-term tourists who visit Gwaenchana Village located in the old urban center of Mokpo. We collected a total of 226 responses and used 205 of them for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is analysis,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factors: emotional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as sub-factors of perceived values, and satisfaction as a single factor. Furthermore, we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by using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as sub-factors of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as single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values (emotional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based on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affect satisfaction and place attachment. Emotional values especially exerted a greater effect than functional values. Meanwhile, analyzing whether satisfaction affects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the sub-factors of place attachment) showed that satisfaction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ub-factors. Additionally, satisfaction was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Place attachment was found to affect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Meanwhile, place dependence was found to exert a greater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than place ident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emotional values (sense of security, pleasure, and renewal through the experience of building the community and sharing daily life with the local people) are factors exerting greater impact than functional values (associated with amenities, cost, and convenience offered at Gwaenchana Villag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rs of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to build a community that provides quality information about local life by creating the contents that can help tourists perceive emotional values while lowering the threshold for outsiders to enter the community. Second, for a steady use of the newly developed place based on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and relocation of people to this space, it is crucial to improve short- or long-term tourists’ satisfaction level. This implies that satisfac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sense of place dependence that a short- or long-term tourist experiences upon visiting the target area of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that is, the degree of feeling that they find the area to be convenient and suitable for living daily life and resuming their work).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the personnel in charge of developing and managing the target area of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to implement the development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hysical environment (ex. local infrastructure, amenities in the area,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from the aspect of short- or long-term tourists’ satisfaction. Lastly, for continuing utilization of the newly developed area based on the idle space revitalization project, it is crucial that short- or long-term tourists form place attachment. To ensure this, it is essential to create the physical environment (ex. shared space, lodging, and infrastructure of the surrounding area) where short- or long-term tourists can resume their work and life while they stay in Gwaenchana Village; in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attitude of place dependence on the target area. 최근 지역 방문객들은 지역 기반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커뮤니티 여행 사업을 통해 기존 관광지를 수동적으로 소비했던 관광객에서 능동적인 지역 커뮤니티 참여자로 변화하고 있 다. 이러한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 경험을 통해 우리는 여행하는 방식과 더불어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삶의 방식 또한 획기적으로 변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2021 '국민 삶을 개선하는 특별사업 60선'을 발표하며, ‘지역의 유휴시설을 재활용 한 문화·관광 시설 조성 사업’을 신규로 개설하고,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을 통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처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사 람이 모일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은 지역의 커뮤니티 형성과 더불어 지역 관 광 개발 산업의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관광학적 측면에서의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성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사업이 장·단기 체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라 조성된 공간을 방문한 장·단기 체 류자가 인식하는 가치가 만족, 장소애착, 행동의도, 그리고 사업에 대한 지속적 지지에 영 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사업의 대상지인 목포 구도심 괜찮아마을의 장·단기 체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226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205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시 지각된 가치는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의 2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만족은 단일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장소 애착은 장소 정 체성과 장소 의존성의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행동의도와 지지는 단일요인으로 구 성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른 지각된 가치인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는 만족과 장소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능적 가치보다 감정적 가 치가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이 장소 애착의 하위요인인 장소정체 성과 장소의존성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만족은 행동의도와 지지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 로 장소 애착은 행동의도와 지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 의존성이 장소 정체성보다 행동의도와 지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괜찮아마을의 장·단기 체류자에게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라 개발된 장소가 주 는 시설, 비용, 편리함 등의 기능적 가치보다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커뮤니티 속에서 의 경험과 일상 공유를 통한 안정감, 즐거움, 새로움 등의 감정적 가치가 더 큰 영향을 주 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지역의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 담당자들은 지각된 가치의 측면 중에서도 감정적 가치를 깊이 인식할 수 있는 콘텐츠의 제작을 통해 지역살이에 대 한 양질의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외부인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라 개발된 장소의 지속적인 이용 및 이주를 위해서는 장·단기 체류자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장·단기 체류자가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 대상지를 방문하고 경험했을 때에 느끼는 장소 의존성, 즉 해당 장소에서 본 인의 일을 지속할 수 있고, 일상을 보내기에 편리하고 적합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해당 대상지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담당 자는 장·단기 체류자의 만족도의 측면에서 이들이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물리적인 환경 (*지역 인프라, 공간 편의 제공, 시설 개선 등)을 고려한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휴공간 활성화 사업에 따라 개발된 장소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장· 단기 체류자의 장소 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단기 체류자가 괜찮아마을에 머무 르는 동안 본인의 업무와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인 환경(*공용 공간, 거주 시설, 주변 인프라 등)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해당 장소에 대해 의존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분류에 따른 임상적 유효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유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development of the AI-based medical device industry, The Guidelines on Approvals and Clinical Effectiveness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ere published. However, Medical Devices to which new typ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applied may have limitations on conducing approval and clinical Trial using Guidelines. In this study, I derived fiv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use. In addition, I suggested the Clinical Trial Evaluation Variables for each Produc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ed AI-based medical device items. It is expected that appropriate management of each AI-based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and suitable clinical efficacy evaluation, using the propos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variables.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기기산업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의료기기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산업의 발전을 위해 의료기기법을 개정하고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가이드라인을 발간하였지만, 재활치료, 정밀치료, 수술보조 같은 유형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는 기존의 품목분류와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의료기기의 허가심사와 임상적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및 유럽의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의 품목분류 현황과 개발현황을 조사하여 의료기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석, 진단, 검출, 치료, 예후·예측 다섯 가지 분류기준을 도출하고 각 분류의 정의와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임상시험 수행 사례를 분석하여 분류된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의 임상적 유효성 평가 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변수를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개발과정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각 의료기기의 특성과 사용목적에 맞는 분류를 통해 적절한 임상적 유효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