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력 및 출력활동이 한국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가정법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입력활동과 입·출력활동이 학습자의 가정법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입력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목표 문법인 가정법에 대한 입력을 제공받고 가정법을 학습한다. 출력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가정법을 직접 사용해야 하는 글쓰기 활동을 수행하고 가정법에 대한 규칙을 학습한다. 입력집단은 적절한 입력강화 기법이 적용된 텍스트를 읽고 문장을 비교하여 올바른 문장을 연결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입력과 함께 출력의 기회를 제공받은 입·출력집단은 입력강화 기법이 적용된 텍스트를 읽고 영작을 하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집단 모두에게 입력강화 기법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목표 문법에 대한 의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입력과 입·출력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 순천시 K고등학교 1학년 3개 학급 6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시에 걸쳐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문법항목을 파악하여 목표문법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7가지 문법 항목을 이용하여 문법항목 선정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법항목 선정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법을 목표문법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의 가정법 능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전 사전 영어문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고 실험 후 사후 영어문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전 평가 실시 후 실험 수업에서는 집단에 맞게 통제집단은 수업에 참여하지 않았고 두 실험집단은 각각 입력활동과 입·출력활동을 이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활동과 입·출력활동을 활용한 가정법 지도를 통해 학습자의 사전검사 점수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통제집단 학습자들이 사전·사후평가 결과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은데 반해 실험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사전·사후평가를 비교한 결과 사후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입력과 입·출력활동 모두 학습자의 가정법 학습에 효과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 별 사후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어느 집단이 더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야기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입력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효과적인 활동을 한 집단임이 밝혀진데 반해 입력집단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한 입·출력집단은 집단 간 사후평가 결과 비교에서 다른 집단들 보다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입력집단이 알맞은 문장 연결하기를 통해 입력을 제공받는 것이 보다 가정법에만 초점을 맞춘 활동이었다면 입·출력집단의 주된 활동인 영작문은 학습자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고 가정법 이외에 생각해야 할 문법 사항들이 있을 수 있는 활동이었던 것을 고려해 봐야 한다. 이상을 종합하면 입력과 출력은 학습자들의 영어문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입력과 함께 출력의 기회를 제공받은 입·출력집단은 사전·사후검사 결과 비교를 통해 가정법 사용 능력에 있어서 향상은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입력집단의 활동보다 뛰어난 학습 효과는 나타내지는 않았다. 학습자들이 목표문법에 집중할 수 있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활동을 제시한다면 보다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자산유동화를 통한 정부지원 학자금 대출제도 개선 방안 연구

        김유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교육인적자원부는 1985년부터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다. 이는 주로 학비 마련이 어려운 가계곤란 학생들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중 은행이 자체 자금으로 대출을 실시하고 교육인적자원부가 이자의 일부를 부담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행 이래 200만명이상이 이를 이용하였으며 최근에는 대학등록금 인상과 함께 대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 제도하에서는 대출 규모를 확대할 경우 정부의 재정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부의 재정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학자금 대출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미국은 이미 1970년대부터 정부와 의회가 적극적으로 학자금 대출제도를 육성해오고 있다. 특히 샐리매(Sallie Mae)라는 학자금대출 유동화전문회사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학자금대출 유동화를 실시하고 있는데, 학자금대출 유동화란 은행의 학자금 대출을 집합하여 이로부터 발생할 원리금 상환액을 기초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대규모 융자재원 마련이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도 이를 적극 도입하여 학자금 대출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연방정부 지원 학자금 대출제도를 자세히 분석하고 특히 샐리매의 성공적 운영 사례로부터 향후 한국주택금융공사를 통한 우리나라 학자금대출 유동화제도 도입의 구체적 시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 ABS 시장은 아직 미성숙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특히 유동화 대상자산으로서의 학자금대출의 특징을 고려할 때 학자금대출 유동화증권은 발행 시 높은 신용보강비율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개별 SPC를 통한 발행보다는 한국주택금융공사내에 종합신탁(Master Trust)을 설립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현재 이차보전에 사용되고 있는 정부 재원을 학자금대출 유동화증권의 원리금을 직간접 보증하는 데에 사용한다면 보증재원의 여러 배에 해당하는 유동화증권 발행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학자금 대출 규모를 크게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한국채권연구원의 정부지원 학자금 대출제도 개선 방안 관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helped students in the lower brackets of income access to post-secondary education through the student loan program since 1985. More than two millions of students have been benefited by this program and recently the demand for it is increasing according to a raise in tuition fe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raise enough loan funds to meet the demand under the present loan program. In U.S., The student loa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Congress since 1970's. Especially the student-loan ABSs(Asset Backed Securities) are actively issued to raise loan funds and Sallie Mae(Student Loan Marketing Association) is the largest issuer. In this thesis, the U.S. federal government student loan programs are researched to compare with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s and Sallie Mae is proposed as the benchmark to the issuing system of the student loan ABS in Korea.

      • 욕망에서 드러나는 에로티시즘과 양가성에 대한 표현 연구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Artists in the 20th century began to pay attention to emotion, body, desire, the irrational and non-civic as part of the denial of the intellectual system based on the Western rationalism. The reinterpretation of the values that were in relatively low positions laid the foundation of the shift from vertical order to horizontal order, thereby symbolizing the recovery of the lost humanity. 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metals, stones, and wood, the usage of soft cloths, latexes, secretions of liquids from body, natural substance such as soil or grass, untouchable light lead to variable and indeterminate forms. Such morphological expressions are associated with touch and instinct, body and desire, and eroticism, which were hindered by rational reasoning and visual-centrism. As a work of eroticism and ambivalence revealed in desire, this study described the manifestation of desire rooted in the unconscious, eroticism, and its ambivalence based of the theory of Sigmund Freud, Jacques Lacan, and Georges Bataille. Since the two-sided form of eroticism comes from the intrinsic tendency of humans, this study analyzed it in relation to eating, sex, and food and excrement. Moreover,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structure of desire created in the consumer society,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ing relations of desire of individuals as well as society and culture, and explained that desire which is never filled exists in the contexts. The author of this study used soft materials such as cloths, latexes, and plants to express various media, includ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stallation, photography, and video image. Eroticism and ambivalence hidden in food, rubber balloons, children’s TV programs, and characters were visualized in soft materials as the forms associating remnants, genitalia, and organs. The way of overwrapping a variety of symbols signifying the sacred and subordinate, revealed the desire and eroticism suppressed by authoritative reason. This series of expressions deconstructed the vertical hierarchy between values with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postmodernism, liberation from taboos and freedom of desire. 20세기 예술가들은 서구 합리주의 정신에 근거한 지성 체계에 대한 부정의 일환으로 감성, 육체, 욕망, 비논리, 비문명적인 것들을 끌어올리기 시작했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속해 있던 가치들에 대한 재조명은 그들 간의 수직적 질서에서 수평적 질서로 이행하는 토대를 마련하고 상실되었던 인간성의 회복을 은유한다. 한편 금속이나 돌, 나무와 같은 전통적인 물질과는 달리 부드러운 천이나 라텍스, 신체에서 나오는 배설물과 분비물, 흙이나 풀과 같은 자연의 물질, 손에 잡히지 않는 빛의 사용 등은 그것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가변적이고 불확정적인 형태를 지니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적 표현은 합리적 이성관과 시각중심주의에 가려져 있던 촉감과 본능, 육체와 욕망 그리고 에로티시즘과 관련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욕망에서 드러나는 에로티시즘과 양가성에 대한 작품론이다. 연구자는 무의식에 근원을 두고 있는 욕망의 발현과 에로티시즘, 그것이 내포하는 양가성을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라캉(Jacques Lacan), 바타이유(Georges Bataille)의 이론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에로티시즘이 가지는 양면적 형태는 인간이 지니는 본질적인 성향에서 비롯되는데 연구자는 이를 먹는 행위와 성행위, 음식과 배설물의 관계에서 분석한다. 또한 소비사회에서 욕망이 창출되는 구조에 대한 논의를 통해 욕망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ㆍ문화적으로 어떠한 영향관계 속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바탕에는 결코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 내재해있음을 서술한다. 연구자는 주로 천이나 라텍스, 식물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입체, 설치, 사진, 영상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고 있다. 음식이나 고무풍선, 어린이 TV프로그램, 문자 속에 숨겨져 있는 에로티시즘과 양가성을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하여 배설물, 생식기, 내장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시각화한다. 성스러운 것과 저급한 것을 의미하는 여러 상징들을 중첩시키는 방식을 통해 권위적인 이성에 의해 억눌려 있던 욕망과 에로티시즘을 드러내고, 이러한 일련의 표현들은 가치들 간의 수직적인 위계 질서를 와해하고 금기로부터의 해방, 욕망의 자유라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적 의의를 지닌다.

      •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이 공존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이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한 청소년 2명과 탈북 청소년 6명인 총 8명이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미술치료의 목표는 개인 미술 작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 및 탐구하고 공동 미술 작업을 통해 타인을 인식하며, 미술을 통해 공존의 의미를 생각하고 함께 정의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매회기 참여자의 작품 사진과 녹음 및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어록을 반복해서 읽고 참여자들의 언어적 표현과 미술 표현을 통해 유의미한 표본만 정리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 주제와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위 주제는 <익숙한 나를 새롭게 바라봄>, <나를 정의함으로 타인을 이해함>, <조율과 타협을 통해 ‘우리’를 만들어 감>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남한 청소년들과 탈북 청소년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한 탐색을 통해 ‘나’에 대한 정체성과 나의 가치관을 인식하며 새로운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표현을 통해 나를 정의함으로써 나와 다른 타인에 대해 인식하였고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받아들임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나와 너가 만나 우리가 되어 공존을 위한 해답을 함께 찾아감으로써 공동체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공존을 새롭게 바라보고 정의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남한 청소년들과 탈북 청소년들이 미술을 통해 공존을 위한 해답을 함께 찾는 경험을 가짐으로써 미술이 가진 치료적 의미를 알 수 있게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he two groups. There were eight participants in this study; out of which two were teenage South Koreans and six were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20, for a total of ten sessions. The goal of the art therap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oneself through personal artwork, to recognize others through group artwork, and to think and define together the meaning of coexistence through art. Data was gathered through recordings, verbatim records, observation and clinical records of the researcher, and photographs of the participants’ artworks in every sess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experience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in art therapy.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verbatim records and analyzed only the significant sample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and art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process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3 main topics and 8 subtopics were derived. The main topics were <Seeing my familiar self in a new light>, <Understanding others by defining myself>, and <Creating ‘us’ through coordina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experiences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in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he two group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recognize their identities and values and re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mselves. Secon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recognize others and experience acknowledgment and acceptance of differences by defining themselves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s. Thir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have a new perspective and definition of coexistence through discovering the value of community by becoming a group and searching together for the solution for coexis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realize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art by searching together for the solution for coexistence.

      • 경북권 국제철도역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영주역을 중심으로-

        김유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 동북아시아 및 북한은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악화 및 이동의 제한으로 동북아시아 및 북한의 교통협력이 한계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들은 철도 및 교통물류 등의 미래를 위한 전략 대비에 더욱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는 인근 국가로 중국과 러시아가 맞붙어 있고 국경 지역까지 철도망이 건설되어 있어 국제교통 인프라구축시 한반도가 동북아시아의 교통요지가 될 것이다. 또한 북한은‘국가경제발전5개년전략’에서도‘철도현대화’를 목표로 제시하고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남한의 철도는 1899년 9월 경인선을 시작으로 현재 도시철도·고속철도까지 혁신이라고 부를 정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속철도가 더욱 주목받아 국가적인 정책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Great Train eXpress), 중앙선 등의 고속철도 기준의 노선을 계획·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수도권, 경남권, 충남권, 호남권 외의 부각되지 않았던 지역인 경북권을 새로운 철도관문의 역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국제철도역 타당성 입증을 위해서 입지적으로 경북권과 연결이 가능한 국제철도의 현황 및 기초조사, 국제여객철도 시대에 대비하여 국제철도 수요 산정 기준 및 방향 제시하였고 국제철도 시발(始發)역 선정 기준 등 경북권 내 국제철도 시발(始發)역 구축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검증사례로 경북권 내의 철도역을 대상으로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여 한반도 철도망이 국제철도역의 시발(始發)역의 구축을 위한 방안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바탕으로 한반도 내 국제철도역의 시발(始發)역 하나가 아닌 여러 곳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추후 이뤄지는 연구에서는 정확한 국제철도 O/D 자료를 기반하여 타당성의 정확성을 높이며, 국제화물철도와의 필연적 연계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Currently, Northeast Asia and North Korea are facing limitations in the transportation cooperation between Northeast Asia and North Korea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economy and the restriction of movement in the aftermath of COVID-19. However, even in this situation, the majo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re emphasizing the need to prepare their strategies for the future, such as rail and transportation logistic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peninsula is bordered by neighboring countries by China and Russia, and the high-speed rail network to the border area is completed, it is very likely that the Korean peninsula will become the transportation hub (hub) of Northeast Asia if the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o connect it is established. In addition, in the "5-Year Strate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North Korea also proposes "railway modernization" as a goal and is pursuing research projects. The railways of South Korea began with the line around September 1899 and are evolving rapidly enough to what is now called urban and high-speed railway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high-speed rail has received more attention and is planning and promoting high-speed rail standard routes such as the Metropolitan Metropolitan Rapid Transit Railway (GTX) and the Central Line as a national policy. In this study, in the previous study, the possibility of a new railway gateway role in Gyeongbuk, which was not highlighted other than the metropolitan area, Gyeongnam area, Chungnam area, and Honam area was suggested.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international railway station, the current status and basic survey of international railway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Gyeongbuk region, international railway demand calculation standards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international passenger railways. Therefore, as a verification case, a feasibility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on railway stations in the Gyeongbuk region to review measures for domestic railway stations to function as starting stations for international railway stations.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several places rather than one starting station of an international railway s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of validity will be improved based on accurate O/D data of international railway and inevitable connection research with international freight railways will be conducted.

      •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Korea

        김유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주요 선진국들의 고령화 속도와 비교하여 매우 빠른 편으로, 미국 통계국은 한국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인 27년이 걸린다고 전망하였다. 인구고령화 현상은 성장, 고용, 복지 등 경제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행태에 구조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근 학계에서는 인구고령화를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에너지 소비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주로 수송부문과 가정부문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사회·인구학적 현상이 산업 및 발전 부문보다 수송 및 가정부문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고령화가 수송부문과 가정부문의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을 세분화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패널분석을 실시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를 포함한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국내 1인당 주거용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것이다.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크게 고령화, 소득, 생산가능인구, 교육수준, 가구원크기, 성별, 자가점유율, 그리고 주택형태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이 외에 전력소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전력가격, 냉방도일, 그리고 난방도일 변수를 분석에 포함한다. 분석범위는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자치단체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인 지역별 패널자료를 사용한다. 지역별 패널자료를 사용할 경우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문제의 해결과 시간에 따른 전력소비의 변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증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관련 선행연구의 조사와 정리를 통해 이론적 근거 및 관련 연구들을 소개한다. 그 뒤,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검정한다. 첫째, 인구 고령화가 증가하면 1인당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 둘째, 가구원의 크기가 증가하면 1인당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 셋째, 교육수준, 성별차이, 생산가능인구, 자가점유율은 주거용 전력 소비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난방도일(HDDs: Heating Degree Days)과 냉방도일(CDDs: Cooling Degree Days)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증가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득, 가격, 고령화, 가구원크기, 냉방도일, 난방도일 변수들을 채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 공적분 검정 결과, 변수들 간에 장기균형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으며, FMOLS와 DOLS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장기균형 벡터를 추정하였다. FMOLS와 DOLS 분석결과 고령화, 전력가격, 가구원크기가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장기적으로 감소하고, 개인소득, 난방도일, 냉방도일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패널 고정효과 및 확률효과 모형 추정 결과 고령화, 전력가격, 가구원크기가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감소하고, 개인소득, 난방도일, 냉방도일이 증가하면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고령화 현상이 주거용 전력소비 감소의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나, 고령화 사회는 국가적으로 보면 매우 큰 부담이다. 한국의 인구고령화가 전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향후 주거용 전력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변동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구원크기가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 소비가 줄어드는데, 이는 세대당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한 가정에서 가전기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한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와 보급을 장려하는 정책의 도입이 바람직해 보인다. 난방도일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최근 전력으로 난방 설비를 가동하는 건물이 많아지면서 가스난방의 대체로 겨울철 전기난방이 사용되거나, 값싼 전기요금으로 인해 전기를 사용하는 보조 난방 기구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에서 설명될 수 있다. 냉방도일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은 과거에 비해 에어컨과 냉방기기를 보유하고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거용 전력소비가 증가한다는 것은, 가처분소득의 증가로 인해 개인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이들이 전기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사용하는 현상에서 비롯된다. 최근 한국은 공식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국제사회는 한국의 고령화가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사회에서 정책은 훨씬 더 신중하게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비추어 보았을때, 향후 주거용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가격정책만을 고수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보인다. 안정적인 주거용 전력 수급을 위하여 고령화를 포함한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es on how population aging and o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in 16 municipalities, excluding Sejong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0-2016. By doing so, the study proves how each socio-demographic factor affects differently to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its current trends of fast-growing aging society. The study uses the following componen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share of population aged 65 and above for population aging,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share of population aged 15~64 for working age population, the number of households, female to male ratio for gender difference, per capita income, education level, dwelling types including the ratio of apartments to houses and the ratio of apartments to multi-houses, and homeownership rate. Also, the effects of electricity pric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variables on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are discussed to produce more thorough empirical result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chooses fully modified least squares (FMOLS) and dynamic least squares (DOLS) estimators with panel cointegration methods and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s for panel data estimations. Using panel data has the benefits of accounting for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time-variant effects, effectively controlling for the possibly existing multi-collinearity problem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tested: 1) Population aging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exhibit a negative relationship; 2) Increase in household size reduces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3) Education level, gender difference, working age population, and homeownership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4)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e study chooses the foll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analysis: Income, price, population aging, household siz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The results of the panel cointegration test confirm the presence of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using FMOLS and DOLS approaches, the cointegrating vectors are estimated. The results of FMOLS and DOLS indicate that as population aging, electricity price, and household size increas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decreases in the long run; as personal incom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increase,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 in the long run. The panel estimation results of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 show that as population aging, electricity price, and household size increas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decreases; as personal income,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cooling degree days (CDDs) increase,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the empirical results. First, as population aging continues to unfold in the Republic of Korea,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will likely be reduced;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population aging is a desirable cond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apid population aging signals the lack of accessibility to and affordability of energy for the vulnerable elderly households in the Republic of Korea, possibly leading to the worsened energy equity problems of especially the vulnerable elderly groups that are short of the access to energy. Further, population aging in the Republic of Korea will rather have varying effects on the volatility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population aging will progress at an unprecedented rate. Seco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size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interpreted that as the number of people per household increases, the frequency of household sharing and using the home appliances increases.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eating degree days (HDDs) and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explained by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uildings which operate heating system with electricity or by the increase in the use of electric auxiliary heating devices attributable to cheap electricity prices of the Republic of Korea. Fourth, increase in th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by the increase in cooling degree days (CDDs) means that more households nowadays own and use air-conditioners at homes than in the past. Last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ing disposable income and increasing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purchasing power of consumers which enables them to purchase and continue to use the electrical appliances for cooling. Recently, the Republic of Korea has officially entered the era of an “aged society,”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country will get older at a much faster pace. Given that the policies must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comprehensive and precise manners in an aged society, it seems that sticking solely to the price policy to reduce the futur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possess some critical limitations. Hence,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the number of influential factors, including socio-demographic aspects associated with population aging and temperature effects when designing effective policies that ensure stabilizations of the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가 VR 경험의 몰입, 기억 및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더해 세계적인 팬데믹 사태를 낳은 코로나19는 비대면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였고 대부분의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관광 활동은 대면 위주의 체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타격이 컸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관광 산업에서는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와 비대면 관광 상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관광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실제 관광에 대한 단순한 정보를 얻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전에 관광을 체험해 볼 수 있거나 심지어 실제 관광을 대체하여 가상 관광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비대면 관광 콘텐츠가 실제 관광 활동의 대체재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이 가상 환경에 몰입하여 실제 관광지에서의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상현실(VR)은 가상 관광 경험에 대한 상호 작용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을 제공하여 관광객이 실제 환경을 보고 듣고 느끼며 체험하고 있다고 믿도록 하여 관광 산업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기술이 단순히 실제 관광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도움책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관광 상품이 된 시점에서 관광 업계에서는 비대면 관광 콘텐츠가 관광 상품으로써 관광객의 기억에 남고 다시 관광에 참여하고자 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는 관광 산업의 새로운 대응 전략으로 급부상하였으나, 그 중요성에 비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와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따라서 관련 연구는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와 콘텐츠 이용자의 몰입과 기억, 재참여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를 교육적 체험 요소, 오락적 체험 요소, 일탈적 체험 요소, 심미적 체험 요소의 4가지 체험 요소로 세분화하였고, S-O-R 모형을 적용하여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를 자극(stimulus)으로, VR 경험에 대한 몰입과 기억을 유기체(organism)로, 재참여 의도를 반응(response)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광 업계가 나아가야 할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S-O-R 모형, 체험경제이론,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몰입, 기억, 재참여 의도에 대한 문헌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를 시청하게 한 뒤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26부를 수거하여 이를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네 가지 요소 중 일탈적 체험 요소와 심미적 체험 요소는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교육적 체험 요소를 제외한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는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은 재참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기억은 재참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와 재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효과를,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와 재참여 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적 체험 요소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테마파크 어트랙션 맥락의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가 교육적 체험을 경험하기 어렵다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광 업계에서는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개발 및 기획 시, 교육적 체험 요소를 보완하여 관광객이 교육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콘텐츠 구축에 더욱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체험 요소를 강화한다면 이용자의 재참여 의도를 높여 더욱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전략적이고 지속 가능한 비대면 관광의 성장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S-O-R 모형을 중심으로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 요소가 VR 경험의 몰입, 기억 및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에서의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보였다. 그러나 향후 관광 산업에서의 비대면 관광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표본의 확보, 비대면 관광 체험형 콘텐츠들에 대한 비교 분석 및 조사 대상 범위의 확대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OVID-19, which has caused a global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tran sition to non-face-to-face, and most industries are striving to come up with cou ntermeasures to escape the crisis caused by COVID-19. In particular, tourism ac tivities were centered on face-to-face experiences, so the damage was great, an d as a countermeasure, various non-face-to-face services and products began to appear in the tourism industr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uris ts can experience virtual tourism in advance or even enjoy virtual tourism by re placing real tourism, going beyond obtaining simple information on real tourism through the internet. In order for non-face-to-face tourism content to function a s a substitute for actual tourism activities, tourists must be immersed in the vir tual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experience actual tourist attractions. From thi s point of view,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a simulated environment that provides interaction and immersion in virtual tourism experiences, and is attracti ng attention in the tourism industry by allowing tourists to believe that they are seeing, hearing, feeling, and experiencing the real environment. This is the time when tourism products incorporating technology have become tourism products t hemselves, away from simply helping make decisions about actual tourism. In th e tourism industry,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non-face-to-face tou rism content can remain in the memory of tourists as a tourism product and wa nt to participate in tourism again. Although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 -type content has rapidly emerged as a new response strategy for the tourism i ndustry, research related to it has been limit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related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mo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 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immersion, memory,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f content u sers. And by applying the S-O-R model,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 pe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m as stimulus, VR experience i mmersion and memory as organism,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as respon s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lai d, and based on this, the importance and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non-fa 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that the tourism industry should mo ve forwar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 ducted on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VR experi 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an onlin e survey was conducted by allowing the general public to watch non-face-to-fa 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and respond to the survey, and a total of 32 6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viant escapism element s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immersion in VR exper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excluding the education experience element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 ce-type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memory. Third, it was found that all four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 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intention to re-participate in VR. Fourt h, VR experience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R re-participation inten tion, and fifth, memo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R re-particip ation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VR experience immersion in the r elationship between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elements of non-face-to-f 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was verifi ed.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escapism and esthetics experience factor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 conten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on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and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S-O-R model, and derived the importance and direction of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in the tourism industry. However, for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n on-face-to-face tourism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uch as securing many samples, comparative analysis of n 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s, and expansion of the scope of survey targets. Key words: Non-face-to-face Tourism Experience-type Content Elements, VR Experience Immersion, Memory, VR Re-participation Intention, S-O-R model, Ex perience Economy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