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과적 출혈의 처치에 있어서 혈관색전술의 적응증과 효과 및 합병증

        김민아 ( Min A Kim ),황한성 ( Han Sung Hwang ),김유리 ( Yu Ri Kim ),김빛나래 ( Bit Na Rae Kim ),양은석 ( Eun Suk Yang ),임재학 ( Jae Hak Lim ),김영한 ( Young Han Kim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산과적 출혈 환자의 처치에 있어서의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통한 동맥색전술의 적응증, 효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서 내과적 치료와 고식적 치료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는 산과적 출혈로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통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가장 많은 임상적 적응증이 되었던 산과적 출혈의 경우, 자궁이완증으로 17예였으며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가 5예, 비정상적인 태반이상의 경우는 5예, 하부 생식기계 열상은 6예, 잔류태반의 경우는 3예, 제왕절개흔 임신의 경우 3예, 자궁파열 1예, 산후혈종의 경우 2예 등이었다. 전체 성공률은 총 42명 중 40명 (95.2%)이 성공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색전술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산과적 출혈 환자에 있어서 대량 실혈을 방지하면서 자궁을 보존할 수 있고 제왕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도 2차 개복술을 피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하면서 효과가 뛰어난 이상적인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Objectiv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dications,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 a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 of obstetrical hemorrhage. Methods: From September 1998 to October 2005, 42 patients who had a pregnancy related hemorrhage which did not respond to treatment using obstetric maneuvers and uterotonic drugs were included in our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angiographic embol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intractable obstetrical hemorrhage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All availabl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reviewed and detailed to collect adequate clinical data such as clinical status, underlying conditions, amount of transfusion, embolization sites, materials of embolization, hospital stay, the success rate and the complications. Results: We have experienced clinically successful embolization in 40 (95.2%) of 42 patients of obstetrical hemorrhage resulting from various causes. After embolization, the patient`s vital sign was stabilized. The causes of hemorrhage were atony of uterus (n=17), cervical pregnancy (n=5), abnormal placentation (n=5), laceration of uterine cervix and vagina (n=6). The averag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was 10.3 unit (range; 0-63 unit).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7.4 days (range; 4-18 days). We were able to follow up on 32 patients. The main complications after embolization were hypomenorrhea (n=6), numbness of lower extremities (n=3). In all cases menses resumed spontaneously after procedures. Conclusion: The arterial embolization is one of the safe and the effective procedures and offers patients a fertility-preserving alternative to hysterectomy for treatment of intractable postpartum hemorrhage.

      • KCI등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 예측을 위한 인자

        조희영 ( Hee Young Cho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임재학 ( Jae Hak Lim ),문여정 ( Yae Jung M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조기양막파수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예후와 그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16주에서 36주 사이에 조기양막파수가 동반되어 입원 치료한 단태아 임산부 217명과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의 예후를 위해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신생아 괴사성 장염, 신생아 감염에 대한 조사를 하고 이들을 질병이 이환된 군과 질병이 이환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신생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해 Pearson`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은 217명으로 대부분이 조기양막파수 후 48시간 내에 분만하였다. 조기양막파수가 된 시기의 산모의 나이, 신체 비만 지수, 분만력, 조기양막파수 기왕력, 조기 진통 기왕력, 조기 진통의 유무, 양수 지수, 자궁 수축 억제제,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의 사용, 혈색소, 백혈구, C 반응성 단백질,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주수, 태반의 병리소견 등이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p<0.000),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p<0.036), 분만 당시의 주수 (p<0.000)가 신생아 예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양수과소증 (p<0.033), 백혈구 과다증 (p<0.010),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한 경우가 신생아 예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5분 Apgar score (p<0.000) 및 출생 당시 몸무게 (p<0.000) 도 신생아의 이환률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양막파수에서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임신 주수를 들 수 있고, 분만전의 양수 과소증, 백혈구 과다증, C 반응성 단백질 양성이 있는 경우 신생아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신생아 출생 당시의 5분 Apgar score가 7점 미만인 경우 및 신생아 몸무게가 적을 경우도 출생 이후의 불량한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 To study the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PPROM) and to assess the prognostic factors for poor neonatal outcom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pregnancies registered and managed in Korea from Jan 1st, 2000 to Dec 31st, 2005. The 217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n singleton pregnancies from 16 to 36 gestational week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nd neonatal infection for poor neonatal outcomes. Prognostic variables included for analysis were age, BMI, parity, history of PPROM, history of preterm labor, preterm labor, amniotic fluid index, tocolysis, antibiotics, antenatal steroid, hemoglobin, WBC, CRP,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lacental findings, and etc.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eveloped neonatal morbidity (n=144) with those who did not (n=65) using the Student t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the Pearson`s chi-square or the Fisher exact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Results: Total of 217 cases of PPROM were registered and treated expect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ajority of cases were delivered within 48 hours of PPROM. There were 64 cases diagnosed with RDS, 21 with IVH, 3 with NEC, 117 with neonatal infection and 8 neonatal mortalities. The gestational age at PPROM (p<0.000),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p<0.036),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0.000),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p<0.048), and high level of WBC, CRP (p<0.010, p<0.049)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p<0.000) and APGAR (p<0.000) score at 5 minut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Conclusion: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re related to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The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and high level of WBC, CRP presented before deliver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and APGAR scores at 5 minute a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 KCI등재

        저산소증 상태에서 정상임신과 임신중독증 환자의 태반 조직 내 endothelin-1 (ET-1) 발현의 비교

        박용원 ( Yong Won Park ),권자영 ( Ja Young Kwon ),김영한 ( Young Han Kim ),김유리 ( Yu Ri Kim ),임재학 ( Jae Hak Lim ),강명화 ( Muong Hwa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본 연구는 explant villous culture model을 이용하여 저산소증 상태에서의 정상 임신과 임신중독증 산모의 태반조직내의 ET-1 발현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정상 산모 (n=5)와 임신중독증 산모 (n=4)로부터 얻은 태반으로부터 융모절편을 저산소 배양기에서 배양하거나 배양액에 deferoxamine (DFO)을 처리하였다. 융모절편 내 ET-1 mRNA 발현은 저산소 배양기에서 배양한 경우 0, 24, 48시간째, DFO를 사용한 경우 약물 투여 0, 2, 4, 6시간째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액 내 ET-1 단백 농도 측정은 enzyme immunoassay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저산소 배양기에서 배양된 융모절편의 경우 두 군 모두에서 융모절편내 ET-1 유전자 발현과 배양액 내 ET-1 단백이 증가되었는데 (p<0.05), 증가 정도가 정상 산모에 비해 임신중독증 산모에서 더 큰 양상을 보였다. DFO로 처리하였을 때 ET-1 mRNA 발현은 두 군 모두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되었다. DFO 투여 2, 4, 6시간째의 배양액 내 ET-1 단백 농도는 질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DFO 투여 후 2시간까지, 2시간에서 4시간까지의 ET-1 단백의 증가의 폭이 질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결론: 저산소 상태에서 ET-1 mRNA의 발현 및 단백 생산은 정상에 비해 임신 중독증 산모의 융모절편에서 더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저산소증에 대한 ET-1의 생산이 항진되어 있어, 이러한 항진성이 임신중독증 태반 내 ET-1 과발현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endothelin-1 (ET-1) expression in the villous explants from normal and preeclamptic (PE) placentae under hypoxic condition. Methods: Villous explants from normal (n=5) and PE (n=4) placentae were obtained. To obtain hypoxic culture condition, villous explants were cultured in hypoxic chamber or treated with deferoxamine (DFO). ET-1 mRNA expressions in villous explants were evaluated by RT-PCR following 0, 24, and 48 h of culture in hypoxic chamber, and 0, 2, 4, 6 h following DFO treatment. ET-1 protein levels in media were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Results: After 24 and 48 hours of incubation of villous explants from normal and PE placentae in hypoxic chamber, ET-1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ET-1 production seemed to be more exaggerated in the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e. During 6 h of DFO exposure, ET-1 mRNA level was increased in the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 comparing to those from normal placentae (p<0.05). Interestingly, the increase of ET-1 mRNA expression in the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e was more exaggerated than those from normal placentae. Concordantly, increments of protein level between 0 to 2 h and 2 to 4 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e (p<0.05). Conclusion: ET-1 mRNA and protein were increased in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e compared to those from normal placentae under hypoxic condition. Furthermore, villous explants from PE placentae showed upregulated ET-1 expression upon hypoxic stimulation. This enhanced sensitivity to hypoxia may contribute to ET-1 overexpression in PE placenta in vivo and i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for cla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