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 시민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 효과를 중심으로

        정설미(Jeong, Seol Mi),김영롱(Kim, Young R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 이론의 관점에서 학생의 주요 사회화 대행자인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가 학생의 시민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4차~6차년도(2015년~2017년) 중학생 자료이며, 학생 시민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을 밝히기에 적합한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기초모형 분석결과, 중학생 시민의식 평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뚜렷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별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학생 개인별로 시민의식 초기값과 기울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조건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학교참여는 자녀의 시민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 시민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민의식 하위요인별 분석결과, 학부모의 학교참여는 자녀의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으며,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의 참여·개방의식과 윤리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의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참여 과정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이 높아짐에 따라 학생-교사 간 상호작용과 학생 지도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며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학생의 시민의식 형성에 있어 학부모와 교사의 역할모델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민주시민교육에 교육 공동체 내 다양한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본질적인 교육 활동이 소홀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참여의 적정 수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신중한 논의가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 theor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ngagement as the agents of socialization on the students citizenship development. We use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fourth to sixth years(2015-2017) of GEPS and apply a multilevel growth model suitable for clarifying longitudinal changes and citizenship influencing student factors. First,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show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itizenship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time trends, and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citizenship are significantly varying between students. Also,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shows that both parents and teachers’engagement in school substantially affect students citizenship growth. More specifically,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involves students participation, openness, and ethics. However,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has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as the role model in students citizenship development. However, we need further discussion on the appropriate level and scope of various subjects engagement without harming essential education activities.

      • KCI등재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현황과 관련 요인 탐색 : 지역 편차에 따른 쟁점을 중심으로

        정설미(Jeong, Seol Mi),김영롱(Kim, Young Rong),이승민(Lee, Seung Mi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2

        최근 안정적인 교원 수급과 균등한 교원의 질 관리를 저해할 수 있는 교직 이탈이 증가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2018년 전국 시·도교육청 내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여 교원의 명예퇴직, 이직퇴직, 기타퇴직의 현황과 지역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4년~2018년 전국 지역교육지원청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 생활 여건과 학교근무 여건의 어떠한 요소들이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과 유의한 관계를 갖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현황 분석결과, 지난 10여년 간 국내 교직 이탈률은 평균 2% 이내로 영미권 국가와 비교하였을 때 절대적 수치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지역 간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정 수준 이상의 자격과 경력을 갖춘 교사가 특정 지역에서만 지속적으로 더 많이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도교육청 간 이탈률의 편차와 1급 정교사 및 경력 교사의 비율 편차가 일부 상관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정 지역에서 더 많은 교사의 이탈은 지역 간 교육 인적자원 구성의 편차를 유발해 학생의 형평한 교육의 기회를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패널토빗모형을 적용하여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명예퇴직률은 의료기관 병상 수, 사설학원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이지만, 문화시설 수나 교원복지비와는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퇴직률은 교·사대 출신 교원 비율과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문화시설 수와 학교 시설여건개선비와는 유의하게 부적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타퇴직률은 교·사대 출신 교원 비율, 기간제교사 비율과 유의하게 정적관계를 보이지만, 재정자립도, 교원역량강화지원비, 교원복지비와는 유의하게 부적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교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자신감과 긍정적인 직업정체성을 유지하며, 교직생활에서의 지나친 소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의 적절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increasing number of teacher attrition, which can hinder teachers stable supply and demand and the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s,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Therefore, we collected data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attrition from 2009 to 2018 and explored teacher attrition and regional differences. In addition, we empirically analyzed which factor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tirement from teaching. The first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attrition rate in South Korea is within 2%, which is not so high in absolute numbers compared to Anglo-American countries, but there are significant deviations between regions. The second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rition by applying the panel Tobit model shows that the honorary retirement rate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and students per teacher,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or teacher welfare expenses. The turnover and other retirement rat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atio of teachers from education colleges and temporary teacher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the cost of improving school facility conditions, and teachers welfare support. In the end, we suggest improving financial support and treatment so that teachers can maintain their professional confidence and positive job identity and prevent excessive burnout.

      • KCI우수등재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고등학생의 방과후 시간 활용 및 학업성취도 분석

        정설미(Jeong, Seol Mi),나은선(Eun Sun Na),김영롱(Young Rong Kim),서지현(Ji-Hyun Suh),송채윤(Chae Yoon Song),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의 2016~2017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등교육정책 환경의 변화에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고등학생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정책이 의도한효과와 의도하지 않은 효과로 각각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학생의 방과후 시간 활용과 학업성취도 변화를분석하였다.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학생의 방과후 시간 활용을 패널토빗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학생의 자율학습시간은 약 2.68시간 유의하게 감소하고, 여가시간은 1.91시간만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책이 의도한 바와 같이 학생의 학습 부담이 감소한 것으로 긍정적인평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외 사교육 시간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점에서 풍선효과가 다소 우려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야간자율학습 미참여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하여분석한 결과, 야간자율학습 미참여 학생의 종합내신등급이 약 0.15~0.33등급만큼 유의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외 사교육비 투자 분위별 집단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야간자율학습미참여에 따른 학업성취도 하락 현상은 사교육비 투자 중·하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에 학생의 학습선택권은 보장되어야 마땅하나, 동시에 내실화된 야간자율학습 대체 프로그램과 저소득층 학생 방과후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night-time self-study in the educational policy changes by using the 2016~2017 data from KEEP II. We analyzed non-participatory students after-school time utilization as an intended effect and followed by analyzing their academic performance as an unintended effect. The analysis of after-school time utilization with the panel tobit model showed that educational policy changes significantly reduce students academic burden as intended. However, increasing private tutoring hours shows that the balloon effect could be on some concerns. Next, the analysis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shows that non-participation of night-time self-stud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effects differ depending on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only middleand lower-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groups showed a decline in academic performa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enriched alternatives such as addi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