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外食産業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效率的 運營에 관한 硏究

        김양주 慶星大學校 國際經營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end of rapidly increasing introduction by many industries of franchise system year after year means that the system is very effective and profitable. Since franchisors are more competitive, the system helps low financed companies take advantage of management resources and organize a wide range of sales network as soon as possible to get more profit. Franchisees can avoid business failure by minizing the risk that people with no business experience may face, Franchisees can be run only with a little amount of money and small stock. They are also given many advantages including financial support by their franchiser's main bank. Moreover, franchisers offer trainings helping those who have no business experience to open franchisees, lend advertisment and public relations campaigns and advise innovative management techniques and management consulting. Although franchisors and franchisees take more profits from the franchise system, few domestic companies are actively and properly engaging in the system.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effort are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 paper is to see and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with franchisers and franchisees and suggest their solutions in term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of the eating-out business.

      • 나주지역 중학생의 간식 구매행동, 식품과 영양표시 이해에 관한 연구

        김양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understanding of food and food expression, depending on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activities, at helping youths select and purchase proper foods, at enhancing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nutrition expression, and at offering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food life. So, this study selected the material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the target at grade1, 2, and 3, middle school in Nanju district and used 424 copies for the las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materials,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0.0 for Window) Statistics program and performed χ2-test, t-test, and ANOVA verification. The important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snack purchase pla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p<.05), and all of the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responded at a high rate that it’s convenience store. Snack eating frequen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p<.05). Bo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te 1~2 times a week the most, and girl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te 1~2 times a month the most. As for snack purchase attitude, depending on sex, that of boy students was 2.76 in average and that of girl students was 2.87, lower than medium. Second, as for the understanding of food expression, depending on snack expenses, the reason why food expression contents were h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nack expenses (p<.05). “Characters were small and expression method was various” was high in small snack expense groups. In addition, many students didn’t check up food expression, not depending on the amount of snack expense. As for the understanding of food expression,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 th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 (p<.001), and the lower the snack purchase attitude was, the less the students checked up snack expression. Third, the reason why students didn’t check up nutrition 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p<.001). “Weight management” was high in girl student. The less they spent snack expense, the more the difference was, depending on snack expense (p<.001), and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xpression was. The reason why students checked 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 (p<.001). “Weight management” was the highest, and “health management” and “nutrition check-up” were in order. The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nd all of three groups recognized snack purchase attitude high. The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food/ nutrition expression education and publici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oo (p<.01), and all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were necessary. As for the understanding of nutrition expression, depending on snack purchase attitude, “recognize in nutrition expression or no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higher the score of snack purchase attitude was, the higher “I know” was, and also the higher “I have an experience in reading nutrition expression” was, too. The reason why they checked up nutrition ex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eight management” was high in all of the three groups, concerning on purchase attitude, and so was the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xpression in all, too. The necessity of food/ nutrition education and public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and it was high in three groups, concerning on purchase attitu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reached a conclusion as following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bout food life direction to help youths select and purchase snack properly. First, there were many places in which students could purchase snack such as road side stands, pulverized food stores, and others as well as conveniences. If students purchase snack in the places, students cannot check up food and nutrition expression. In addition, all of the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ate seaweed roll, but they cannot check up distribution time limit and nutrition ingredient from the seaweed roll sold in pulverized food stores and road side stands. So, schools have to educate students about food life so that they can eat foods, after checking up nutrition and ingredients at the time of purchasing snacks for youths’ nutrition and health. Second, students’ snack attitude was lower than average 2.76, boy students, and 2.87, girl students. Schools have to do practice education so that they can check up food and nutrition expression and purchase food without being dazzled by certain commercial marks, advertisement, and pack design. Third, as for the reason why they can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food expression, not depending on sex, snack expense, and snack attitude, ‘small character and various expression style’ was high.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ystem on expressing food and nutrition, easy to understand and see. Fourth, the students in Naju district recognized nutrition expression understanding affirmatively, not depending on sex and snack attitude.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trition expression, education, and publicity. The rate of checking nutrition expression was high. But, the reason why the students check nutrition was lower in checking ingredients than in managing weight. 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on proper food and nutrition expression. In addition, the more the group spent in snack, the lower “recognize nutrition expression or not” and the recognition in the necessity of educating and publicizing food/ food expression were. So, the parents education have to be performed together. (국문초록) 본 연구는 나주지역 중학생들의 간식 구매행동과 구매태도에 따른 식품과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데 도움을 주고,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식생활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나주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1 ? 2 ? 3학년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42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0.0 for Window)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χ2-test와 t-test,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식 구입장소는 성별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남 ? 여 모두 편의점이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섭취횟수는 김밥에서 남 ? 여학생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남학생은 일주일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은 한달에 1~2회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간식 구매태도는 남학생 평균 2.76, 여학생 평균 2.87로 나타나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둘째, 간식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에서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는 간식비의 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간식비가 적은 집단에서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식비의 정도에 관계없이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에서는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간식 구매태도가 낮을수록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았다. 셋째, 성별에 따라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여학생이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간식비가 적은 집단일수록 간식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라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가장 높았고, 건강관리를 위해서, 영양소 확인을 위해서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01),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3집단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모두 필요하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에서 영양표시 인식 여부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간식 구매태도 점수가 좋은 집단일수록 알고 있다가 높았고, 영양표시를 읽어본 경험도 높게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3집단 모두 체중관리를 위해서가 높았고,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필요하다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1), 간식 구매태도에 따른 3집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청소년들의 올바른 간식 선택과 구매를 위한 식생활교육의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간식 구입장소가 편의점 이외에도 노점상과 기타, 분식점이 많았는데 이러한 곳에서의 간식 구매는 식품 및 영양표시 확인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남 ? 여학생 모두 김밥의 섭취가 가장 많았으나 분식점이나 노점상에서 판매되는 김밥에는 유통기한 등 영양성분 표시 확인이 불가하므로 청소년의 영양과 건강을 위해 실제 간식 구매 시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섭취 할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이 학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중학생의 간식 구매태도가 남학생 평균 2.76, 여학생 평균 2.87로 평균이하로 나타났는데, 간식 구매 시 특정 상표나 광고, 포장 디자인 등에 현혹되지 않고 식품 및 영양표시 등을 확인하고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는 실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셋째, 식품표시 내용이 어려운 이유는 성별 ? 간식비 ? 간식 구매태도에 관계없이 글씨가 작고, 표시방법이 다양해서가 높게 나타나 이해하기 쉽고 보기 편한 식품 및 영양표시 방법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리라 본다. 넷째, 나주지역 중학생들은 성별 ? 간식 구매태도에 관계없이 영양표시의 이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영양표시의 필요성과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게 인식하였고,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도 높았다. 그러나,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가 체중관리를 위해서에 비해 영양소 확인 등은 상대적으로 낮아 바람직한 식품과 영양표시 활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간식비가 많은 집단일수록 영양표시 인식 여부, 영양표시 필요성에 대한 인식, 식품/영양표시 교육 및 홍보 필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에 대한 학부모 교육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 탐구

        김양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xploring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Kim Yangju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xplore in-depth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Gyeonggi-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 looked at the problems presented by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structural, human resources, political and symbolic levels and sought ways to improve them.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tructural level were the loc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education support office, the narrowness of physical space, ambiguity of manager's absence and business boundaries, financial support without autonomy, and difficulty in operation. As it was established outside the Office of Education, it was said that it was not only difficult to enter the tenant's position and to feel belonging, but also difficult to cooperate with the work. In addition, the absence of manag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determines the difficulty of work depending on the degree of support from the scholarship in charge, and it is difficult to exercise leadership and coordinate work in the center because the team leader is not granted legal authority. Forced placement of new and low-career teachers who did not want to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human resource level, lack of training or manual for unfamiliar tasks, and no vacation as education officials work according to the service of local officials. At the political level, the absence of managers, difficulty in exercising team leadership, the gap between scholarships, conflicts between various occupations, and conflicts with field teachers were among factors that hindered job satisfaction. Conflicts with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aid that each person needs to take time to share their work and make efforts to build a sense of community by raising pride and encouraging them. It mentioned the vertical culture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 number of teachers increasing, and the reduction of business and avoidance of businesses as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ymbolic and cultural level. Improvement plans included the creation of a stable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need for human reorganiz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sets,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utonom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mpensation systems, and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As a result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 teachers in three areas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opes that all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ill be more happy workplaces, referring to the factors that hinder job satisfac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과 개선방안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제시하는 문제점을 구조적, 인적자원, 정치적, 상징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구조적인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 장소, 교육지원청과의 괴리감, 물리적 공간의 협소함, 관리자의 부재와 업무 경계의 모호함, 자율성 없는 재정 지원, 순회교육 운영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교육지원청 밖에 설치됨으로써 세입자 입장이 되고, 소속감을 느끼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업무 협조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에 관리자의 부재로 담당 장학사의 지원 정도에 따라 업무곤란도가 달라지, 업무 총괄자인 팀장의 합법적인 권한이 부여되지 않아 리더십 발휘와 센터 내 업무 조정이 어렵다고 하였다. 인적자원의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희망하지 않은 신규 및 저경력 교사 강제 배치, 생소한 업무에 대한 연수나 매뉴얼 부재, 교육공무원이지만 지방공무원의 복무에 따라 근무하므로 담임수당이 없고, 방학이 없으며, 근무시간의 연장 등이 있었다. 정치적 차원에서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관리자의 부재와 팀장 리더십 발휘의 어려움, 장학사의 지원 격차, 다양한 직종 간 갈등, 현장 교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내의 갈등은 업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각자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부심 고취와 격려로 공동체감을 형성하는 서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상징·문화적 차원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으로 교육청의 수직적 문화, 교원 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무리 짓기, 사업축소와 회피 현상 등을 언급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안정적인 환경 조성,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적 조직 개편의 필요성,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직원의 전문성 향상 지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율성 보장, 보상체제 마련, 교육청의 민주적 공동체 문화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세 지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한 결과로 경기도 전 지역에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직무만족도 저해 요인을 참고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모든 교사가 좀 더 행복한 근무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를 바란다.

      • 수업 실습 지도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과학 교수효능감 변화 조사

        김양주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 수업실습 중 지도교사로부터 받은 멘토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실습 전과 후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전공 4학년 예비교사 중 수업 실습에서 과학수업을 한 경험이 있는 31명(남 5명, 여 26명)으로 하였다. 멘토링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수업 실습 지도교사로부터 멘토링을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한 집단(17명)과 적게 받은 것으로 인식한 집단(14명)으로 구분하였다.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효능감은 수업실습 전과 후에 각각 실시하였는데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의 두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개인 성향’ 측면에서의 멘토링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제도적 요구’ 측면의 멘토링을 가장 적게 받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지도교사로부터 멘토링을 적게 받은 것으로 인식한 집단은 과학 교수효능감이 수업실습 후에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그러나 멘토링을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한 집단은 수업실습 전과 후의 과학 교수효능감이 달라지지 않았다. 이상으로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멘토링이 수업 실습 후 예비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언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final-year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mentoring from primary school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were investigated in five factors proposed for mentoring (i. e., Personal Attributes, System Requirements, Pedagogical Knowledge, Modelling, and Feedback) and changes of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e were analys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1 pre-service teachers(5 men, 26 women) who had conducted the science lesson.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had majored in science education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result of perception survey of mentoring, the group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mentoring a lot from their teachers (17 pre-service teachers) and the group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mentoring a little (14 pre-service teachers) were separated. The survey of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ir teaching practice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nalysed in two aspect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the most mentoring in ‘personal attributes’ and they received the least mentoring in ‘system requirements’. Second,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indicated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the group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little amount of mentoring had decreased significantly upon the comple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other group.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entoring which pre-service teachers receive is available to relieve their declining confidence after teaching practice.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 및 역할기대 비교

        김양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수학급교사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설치되어 온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와 향후 어떠한 역할이 수행될 것을 기대하는지 그 역할기대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수요자들의 평가에 기반을 둔 상향식 접근방법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특수학급교사 106명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 11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 비교 결과 특수학급교사는 만족의 경향, 학부모는 불만족의 경향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특히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 경력, 이용유무 등으로 나타났다. 인천 지역이 서울이나 경기 지역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고, 저경력 교사가 고경력 교사보다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이용유무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이용자의 만족도가 더 컸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학부모의 역할기대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위상은 ‘종합적인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에 있지만,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진단평가,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순회교육 등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여러 역할 중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진단평가, 직업교육 순으로 우선 강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셋째, 새로운 전문가를 배치할 때 특수교육지원센터장, 전공장학사, 고경력 특수학급교사가 배치되기를 희망하였고, 특히 학부모는 치료전문가 배치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넷째, 센터홍보 우선순위는 가정, 방송광고, 행정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단평가 개선에서는 전문가 배치와 의료진단 병원확보에 우선순위를 두었다. 학부모에게는 비용부담해소도 중요한 문제였다. 여섯째, 교수방법지원은 장애이해교육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하였다. 일곱째,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는 두 집단 모두 지역사회 취업 네트워크 형성이 가장 시급하다고 하였고, 다음으로 직업기능평가, 직업실습실, 지원고용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만족도와 역할기대 비교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개선하는 데 참고자료로 삼는다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특수교육지원센터, 만족도 비교, 역할기대 비교, 특수학급교사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service by establishing systematic support base for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support organization calle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as been established since 2001 - the center is operated focused on regional community. But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center has been operated for 10 years, its role and function has not worked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atisfaction and role expect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 and students's parents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o explor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through assessment on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until now. For this study, survey was conducted with 106 teachers of special class and 115 students'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Inche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parents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as considerably low comparing with one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satisfaction in Incheon was high comparing with one in Seoul or Gyeonggi. Also, high career teachers had lower satisfaction than low career teachers. whether one us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or not affected high the satisfaction. The result of comparative study on role expectation between two groups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as follows. First, the status for center lies in 'providing synthetic special education service' but currently the center is providing limited support like diagnosis assessment, related service, itinerant education etc. Second, among various roles of the center, first these roles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in the order of related service, diagnosis assessment, occupational education. Third, when new specialists are deployed, the leader of special education, school inspector with related major , high career special teacher were expected. Especially, the parents had high expectation for therapist. Fourth, PR of the center was hoped to be made for family, broadcasting advertis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ifth, to improve diagnosis and assessment, priority lies in deployment of specialist and securing hospital for medical diagnosis. Sixth, for support for teaching method, support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as most expected. Seventh, for future course and occupational education, all of two groups says the formation of employment network for regional society is most urgent. After that, assessment of occupational function, occupational practice, expansion of support employment etc. were selected. It is expected that if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and role expectation is referred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is would high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Keyword :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comparison of satisfaction, comparison of role expectation, special class teacher

      •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김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삶과 미술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미술은 인류 역사의 출현과 함께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미술과 인간의 삶은 서로 공생해 왔다. 그러나 정작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이유들로 하여금 미술이 학생의 삶과 동떨어진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보완하려는 노력으로 학교 안팎에서는 삶과 미술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이 필연적인 교육방법으로 등장하였다. 통합에 대한 관심과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업 운영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수업의 연장선으로서 교사 주도 아래 이루어지는 통합미술 수업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통합미술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국내외 두 교수의 수업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고 이를 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통합미술교육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나는 질적 연구 방법인 3E(Experience, Enquirying, Examining), 즉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자료조사를 활용하여 현장을 보다 깊이 있고 생생하게 관찰하고 살펴봄으로써 통합미술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사례를 통해서 본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셋째,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 대한 실행연구의 성과는 어떠한 미술교육학적 의미를 가지는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두 교수의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 중심의 통합미술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서는 직접 성인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두 번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였으며, 세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두 번의 실행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성과를 미술교육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간성, 공간성이 주는 ‘분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달리 말하면, 교사와 학생이 체험하는 시간성과 공간성 속에서 만들어지는 독특한 분위기가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다. 통합 지향 통합미술수업 분위기 속에서의 시간성이란 한 수업이 가지는 표준화된 시간성 속에서도 학생들이 작업에 필요한 시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학생마다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즉, 분리된 시간 단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경험하는 다른 체험 속 시간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통합 지향 통합미술수업 분위기 속에서의 공간성은 다른 수업에서 하지 못하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대화를 통해 상상의 공간을 경험하도록 하며, 정서적 체험의 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는 통합미술교육은 교육자에 따라서, 수업에 참여하는 대상에 따라서 다르게 계획과 실현되고 있었다. 두 교수자의 경우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우선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학습자들을 최대한 분석하고자 학습자가 전공자인지, 비전공자인지는 물론 취미와 환경적인 요인까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히 여기고 있었으며 학습자들을 최대한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성향과 상황의 이해는 학기마다 강의계획서를 수정하도록 하였고 학생을 가르친다기보다는 학습자들로부터 배운다는 자세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두 번의 실행연구를 통해 발견한 특징은 교사와 학생의 학습 체계는 다르며. 학습자들은 일시적인 재미를 찾아서 이동하며, 아이디어의 표현에 있어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작업을 원하면서도 ‘자신만의 것’을 찾고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예상하지 못한 효과로 인한 새로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이 컸으며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한 분위기와 교사와 학생 사이에 형성되는 끈끈한 유대감은 수업의 안정감과 만족감을 고취시키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통합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술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미술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미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반응과 표현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학생들이 지향하는 통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 연구 참여자들은 ‘재미있을 것 같아서’, ‘남는 수업을 위해서’, ‘많이 경험을 위해서’ 수업을 수강한다고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미술을 전공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수업을 통해 ‘재미’나 ‘흥미’를 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교사의 지시를 잘 따르고 통합의 적용에서도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스로 통합을 시도하기보다는 연구자가 임의로 제시한 통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눈에 띄는 실력 변화를 위한 전문적인 배움을 원하는 학생들의 경우 평소 자신이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것이나, 자신 있는 표현들을 찾아 통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통합을 취하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셋째, 남들과 다른 경험을 위해 수업을 신청한 학생들의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를 키워 나가거나, 다양한 시각을 위한 시도로 통합하였다. 이들은 앞의 두 부류보다 조금은 자연스러운 통합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이처럼 학생들은 같은 활동 속에서도 학습자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다른 통합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행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삶의 맥락 속에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교수가 학습자 중심의 통합교육이 자연스럽게 가능하였던 것은 배움 속에서 익힌 몸의 학습을 실천의 장으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미술은 이성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성적 학습은 오랜 시간 반복적인 몸의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사물을 보지 않아도 그릴 수 있으며, 본인도 모르게 그려지고, 고민하지 않아도 보이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1945)가 말하는 몸틀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모습은 교사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학습자들이 스스로 익히는 도제식 수업과도 비슷하다. 이뿐만 아니라, 두 교수자의 삶을 교육적으로 만든 것은 이들에게 영향을 준 교육자와 디자이너와의 관계 맺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두 교수자가 관계 속에서 보인 몸의 학습은 세 가지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자의 전달이 아닌 학습자가 스스로 보이지 않는 상호 울림 속에서의 배움이 있었다. 둘째, 관계 속에서 말과 개념을 흉내내거나 전이되는 관점에서의 배움과 셋째, 타인의 입장으로 들어가서 타인에 대한 경험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나는 교사의 몸의 학습이 학습자 중심의 통합 지향 미술교육을 실천하는 데 이루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해석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학습자 중심 통합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며 학습자와 함께 배움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통합지향 미술교육은 총체적인 눈을 가지기 위한 몸의 학습으로 나와 타인을 볼 수 있고 소통을 이루어 가는 통로로 더 나아가 나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게 해 준다. 학습자 내면의 성장뿐만 아니라 주변으로 그 관점을 확장시켜 더 나은 삶을 함께 이루어나갈 수 있는 학습자 중심 통합 지향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적 관심을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주요어 : 통합미술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실행연구, 몸의 학습 Life and art have an indivisible relation. It’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rt has accompanied the emergence of human history. Art and human life have coexisted with each other for ages. However,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rt is made up of content that is far from student's life. To compensate for this situation, classes that can view and learn from life and art classes integrat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emerge as an inevitable education method. Although interest and research for field application are gradually expanding, class management still does not focus on the learner and integrated classes led by teacher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curricular are widespread. To address this issue, I examined the classrooms of two professors who are teaching integrated art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spect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and to consider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education. Art integration has often been done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However, I tried to understand art integration by utilizing 3E’s (Experience, Encouraging, and Examining),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amely,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materials acquired from field research to observe the field in dept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seen through cases both domestic and abroad? Second, how is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mplemented? Third,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pedagogy of the result of the action research o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n order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rough observing the classes of two professors. To answer the second question, I performed two integrated art classes for adults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nswer the third question, I looked at the achievements of art education through two action research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the ‘atmosphere’ given by time and spa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unique atmosphere created in the time and space experienced by teachers and students is important for practicing learner-centered art education. Time in the atmosphere of integrated art class despite the standardized time frame of one class, is such that teachers recognize that students require different time frames to work on their artwork and provide enough time for each student to complete their artwork. Instead of viewing it as a separate time unit, teachers consider time as an experience. In addition, I found that space in the atmosphere of art integration makes it possible to freely do what other classes cannot do, to experience the imaginary space through dialogue, and create a place for a wide emotional experience. Next,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planned and rea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ducator and students. In the case of two professors I observed, in order to practice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was a priority. To analyze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ey considered it important to understand whether each learner was majoring or not majoring in art, as well as each learner’s hobbie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endencies and situation was required for the professor to revise the syllabus every semester and they learned from students rather than teaching th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discovered through two action research studies are that the learning system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s different. The learners moved in search of temporary fun and were looking for something they called “their own” even if they wanted to make art that anyone could recognize as their own idea. Students were very curious about the use of new materials and methods due to the unexpected effects. The atmosphere of free choice and strong conne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encouraged a sense of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the class.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students integ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y experience art in their lives, how they approach art, and what art means to them. In this regard, I tried to examine students’ reactions and expressions by type and analyzed the integration that the students aimed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s research participant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taking classes “for fun”, “for improve art skills”, and “for the sake of more experience”. First, regardless of majoring in art, students who wanted “fun” and “interest” through the class followed instructions well and used various expressions in the application of integration. However, rather than attempting to integrate themselves, they were not able to work beyond the suggested integration by the teacher.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s who wanted a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 to improve their skills, they usually found integration difficult to express by themselves or found it difficult to integrate while displaying confident expressions. This turned out to be a way for the students to take integration to solve their problem. Third, in the case of students who wanted to have different experiences from others, these students developed new ideas or attempted to integrate different perspectives. They attempted a little more natural integration than the previous two categories. In this way. the students integr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tendency and circumstances even when performing the same activity. La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instructors was the most important when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First of all, integr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professor's life for the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o work. The reason why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was naturally possible for the two professors is because they brought embodied learning into a field of practice. Art can be applied only when rational learning is done. This rational learning is accomplished through repetitive embodied learn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be said that objects can be drawn without seeing them, drawn without their knowledge, and formed by the body frame that M. Merleau-Ponty(1945) said, can be seen without worrying. It is similar to the apprenticeship-style teaching that learners learn on their own with minimal teacher intervention. In addition, what made the lives of the two professors educational wa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ducator and designer who influenced them. Embodied learning that the two professors showed in the relationship was confirm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re was learning in the mutual resonance (nonverbal way like information echoing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that the learner could not see themselves, not focusing on the professor’ delivery. Second, there was learning in terms of imitating or transferring words and concepts in a relationship. Third, I found that learning through experience of others was possible by entering the position of others. Therefore, I tried to derive the interpretation that the learning of teachers’ bodies has importance in practicing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e role of teachers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is not to teach students, but to learn with students. Art integration is embodied learning in order to have a holistic eye which allows you to see yourself and others and understand the world around you by going further as a pathway for communications with others. Art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can expand their perspectives to the surroundings as well as the inner growth of learners. The study concluded in expectation of my research in learner-centered art integration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inner growth as well as the expand their perspectives to the periphery to live better lives together. Keywords : Art integration, Learner-Center, Learner Understanding, Embodies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