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미지 리사이징을 위한 플로우 기반의 심카빙 기법

        김수화(Suhwa Kim),윤종철(jongchul Yoon),이인권(ink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의 내부 구조를 표현하는 플로우 벡터 필드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주요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크기를 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되었던 에너지 편향치 또는 특징점 맵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크기 조절 연구가 가지고 있던 단점인 등방형(isotropic) 심(seam) 구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에서 주요 요소의 방향을 구성하는 플로우 벡터 필드를 제작한다. 제작된 플로우 벡터 필드를 사용하여, 비등방성 커널을 구성하여 이를 사용한 가중치를 에너지 필드에 가변적으로 할당 함으로서 곡선 형태 또는 편중된 방향의 이미지에서 오는 기존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iTILE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타일드 디스플레이 응용프로그램 개발

        김석환(Seokhwan Kim),김민영(Minyoung Kim),김수화(Suhwa Kim),김지현(Jihyoun Kim),민철기(Chul-Kee Min),조용주(Yongjoo Cho),박경신(Kyoung Shin Park)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미래에는 생활환경 주변에 다양한 용도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고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상호작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대형 디스플레이는 그 물리적 크기 때문에 기존의 마우스와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는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랙션이 쉽지 않다. 최근 이런 대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랙션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인터랙티브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iTILE 프레임워크와 이를 활용하여 테이프 스위치와 적외선 카메라 텐저블 인터페이스 입력장치를 사용한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기술한다. There will be many large displays in common public places, and we expect that these displays will give users many convenient interactive services. However, due to the physical size, typical mouse and keyboard are not suitable for user interactions on large displays.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investigating on new interaction techniques and input devices developed for user interactions in a large display.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TILE framework designed to help develop the interactive tiled display applications. Then we describe two iTILE applications using the tape switch interface and the tangible interface with infrared camera and markers.

      • KCI등재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기반한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안선주(Ahn, Sunju),박해범(Park, Haepum),송승용(Song, Seungyoug),류지영(Ryu, Jiyoung),김수화(Kim, Suhwa)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1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의 WHO 사무소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신종 감염병으로, 2020년말까지도 백신과 치료제와 같은 약물학적 수단이 없어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비약물학적 방역수단의 활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WHO의 지침과 ISO의 표준은 검사를 통해 빠르게 환자군을 찾아내고, 조기에 격리 및 치료하기 위한 기준으로 충분하지 않다. WHO의 국제보건규정을 포함한 지침은 제도와 정책적 차원의 권고가 많은 반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려면 집단 및 지역사회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비약물학적방역수단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기반한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해서 시행되었다. 먼저 2020년2월부터 4월까지 국제기구가 배포한 지침과 국내외 비약물학적 방역정책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자료에 근거해도출된 최소단위의 국제표준화 후보 항목을 유사성에 따라 통합하고, 정성적 지표인 ‘팬데믹 표준화 항목 적정성평가지표’로 통합한 후보 항목을 평가하였다. 최초 표준화 후보 항목은 28개였고, 팬데믹 표준화항목 적절성 평가지표로 평가한 결과 14개로 확정되었다. 확정된 14개의 항목은 정부가 추가한 4개 항목과 함께 2회에 걸쳐 방역 전문가그룹인 정책협의회에 의해 검토되었으며, 그 필요성과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아 한국의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 로드맵’에 반영되었다. 표준제안 우선순위에 따라 총 7종의 표준이 ISO에 제안되었으며, 팬데믹 대응용 표준개발을 전담하기 위한 작업반이 신설되었다. 앞으로 팬데믹 발생 주기는 더 짧아지고 그 위험도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팬데믹 대응용 비약물학적 표준화 항목이 인류의 팬데믹 대응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a highly contagious virus that causes coronavirus disease (COVID-19), the first confirmed case of which was repor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Wuhan, China. An active use of non-pharmaceutical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is essential for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deri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tems based on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non-pharmaceutical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implemented worldwide, including South Korea, between February and April, 2020, and assess these items by qualitative indicators to present standardization items required for pandemic response. This study collected the scientific evidence-based data regarding policies, procedures, and protocols for COVID-19 testing, tracking, tracing, and treatment from offline and online sources, including PubMed, Google, and Naver, and examined and analyzed such data. Based on the analyzed data, minimum units of internationally standardizable items were derived. After grouping similar items, the groups were assessed by the expanded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andemic standards” based on the ISO directive. Screening stations, social distancing, and temporary medical facility were initially included in the 28 new work items. These items were condensed to 14 items were subsequently confirmed from assessment based on the seven selection criteria. The 14 confirmed items were reviewed twice by a consultation group that included three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s, and in recognition of their necessity and validity, the items were reflected in the South Kore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roadmap for pandemic response. With the public health system being paralyzed by unprecedented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an importance for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 that can be shared and compatible in all countries is growing.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pos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tems for systematic pandemic response. The developed standardization items could be used not only in advanced countries but also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o enhance the pandemic response capability of hum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