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인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요소 탐색

        김희경(Heekyung Kim),김찬국(Chankook Kim),권혜선(Hyeseon Kwon),김수연(Suyoen Kim),남윤희(Yunhee Nam),조성화(Seonghoa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4

        Environmental Education (EE) is not just limited to classrooms of public school system or outdoor settings with EE organizations in civil societ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of collaboration among schools and communities for EE. Collaboration cannot be a panacea without appropriate prescription although it is meaningful for success. Collaboration among schools and communities presupposes that participants understand why and how to work together with other part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hare the knowledge from experiences on successful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 for EE. In understanding school-community EE collaboration, the stories of collaborative experiences were searched through a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xperts and practitioners who have experiences on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 why/how to collaborate, what to consider, success factors, barriers, and lessons from previous experiences. This exploratory study may have it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ors those who want to initiate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s with vision of mutual learning for EE.

      • KCI등재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실행 연구

        권혜선(Hyeseon Kwon),김찬국(Chankook Kim),김수연(Suyoen Kim),현명주(Myeongju Hye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2

        이 연구는 학교 교사가 주도하여 사회환경교육단체와 협력 환경교육을 수행한 과정 및 결과를 담은 실행연구로써,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협력 환경교육은 경기도 D초등학교와 같은 지역의 S단체를 중심으로 1) 파악, 2) 탐색, 3) 계획, 4) 실행, 5) 마무리의 단계로 실행되었고, 실행 결과를 바탕으로 1) 전제 조건의 확인, 2) 사전 조사, 3) 준비, 4) 실행, 5) 평가의 단계로 수정되어 학교와 사회의 협력 환경교육을 위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 교사와 단체 교육 담당자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에 대한 서로의 장점과 단점이 보완되었으며, 학생의 교육 효과, 교사와 단체교육 담당자의 상호 학습, 협력 과정의 세 측면에서 성공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파트너십은 지속적인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동 과업의 공유를 통해 형성되었다. 성공적인 협력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shares the experiences to develop a type of school-community EE collaboration model through an action research. The model is based on needs of school teachers who look for collaboration with EE organizations in civil society. The model includes rationale, characteristics, and step-by-step procedure of collaboration to provides those who initiate school-community collaboration with what to consider, how to prepare, when to start, why set common goals together, and so on. In this study, a group of teachers/researchers planned and implemented the EE collaboration model. For that, a teacher who are less experienced in EE joined in action research, from recruiting a community group and joint-planning a program, to describing procedural steps and guidelines for the model. The suggested EE collaboration can be implemented in following stages: Pre-requisite for collaboration, Planning, Preparation, Implementat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and Further collaboration. A well-designed school- community collaboration can be a great chance for mutual learning among school teachers and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ors while contributing to fostering citizens for sustainabl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