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의학과 전용화장실에서 측정된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 대한 연구

        문재승,정희일,정해성,신민용,김수근,박대성,김현기,김화산,이형남,안병필,이동호,Moon, Jae-Seung,Jeong, Hyi-Il,Jeong, Hae-Seong,Sin, Min-Yong,Kim, Su-Geun,Park, Dae-Seong,Kim, Hyun-Ki,Kim, Hwa-San,Lee, Hyung-Nam,Ahn, Byeong-Pil,Lee, Do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목적 : $^{18}F$-FDG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환자가 사용하는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을 측정하여 같은 구역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종사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8}F$-FDG 370 MBq (10 mCi)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후 전용화장실을 1회 사용한 대상 환자는 본원이 60case(그룹1), 부천성모병원은 일평균 환자 수에 따라 50case(그룹2)와 10case(그룹3)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시간은 08:00, 10:00, 13:00, 15:00, 17:00이었으며 측정부위는 좌변기 4부위, 세면대, 휴지통이었다. 병원별 전용화장실의 3개월간 피폭누적량을 측정하였으며 PET/CT를 운영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용화장실 유무 및 종사자들의 이용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일평균 환자 수는 $12.18{\pm}1.33$명, $6.62{\pm}2.21$명, $10.5{\pm}1.58$명이었다.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좌변기의 평균 표면오염도($Bq/cm^2$)는 $8.38{\pm}4.56$, $2.64{\pm}3.90$, $4.59{\pm}4.38$로 그룹1에서의 표면오염도가 그룹2, 그룹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1 m 높이에서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서는 그룹3, 그룹2, 그룹1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룹1에서의 세면대 및 휴지통의 표면오염도($Bq/cm^2$)는 $0.12{\pm}0.12$, $25.26{\pm}22.55$이었다. 표면오염도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보았을 때 측정시간별 표면오염도 차이는 그룹1이 그룹2, 그룹3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폭누적량은 본원이 0.78 mSv/3개월, 부천성가병원이 0.37 mSv/3개월이었다. 전용화장실의 공동사용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조사대상 31개 병원 중에 16.12%인 5개병원에서 환자와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일평균 환자수가 많을수록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지통의 표면오염도는 원자력법에서 고시하고 있는 기준값인 $4Bq/cm^2$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장실 전체공간에 대한 피폭누적량은 작게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참조해 볼 때 환자들과 같이 사용하는 기관들이 있었음으로 전용화장실 이용에 대한 특별한 주의와 적절한 제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atients injected with FDG use the bathroom that Measured surface contamination level and spatial dose rate. This study about the effect that result affects workers in same part. Materials and Methods: Group1 is St. Vincent' s hospital's 60case. Group 2 is Bucheon St. Mary's hospital's 50case. Last case is lower the average daily number of patients than group 2. Measured time is 8:00, 10:00, 13:00, 15:00 and 17:00. Measured part is 4 point of toilet, basin and wastepaper basket, also measured accumulation dose of toilet during 3 month. Hospitals is installed PET/CT ware surveyed on presence of bathroom that used only by patient and worker has been using the bathroom. Results: The highest average surface contamination level of toilet is group1($8.38{\pm}4.56$), but the highest spatial dose rate is group3. Cumulative exposure dose measured by TLD during 3months is St.Vincent's hospital 0.78 mSv and Bucheon St.Mary's hospital 0.37 mSv. And result of survey is 16.12% worker using the bathroom. Conclusions: The more daily number of patient, the higher surface contamination level of bathroom. Especially, wastepaper basket's surface contamination level is exceed the reference value $4Bq/cm^2$. Based on This survey, Bathroom require special attention and proper decontamination.

      •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 지원여부에 따른 사업장내 의사소통 비교

        정최경희,박혜숙,김정연,이경용,현성민,오지영,김수근,김현주,하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목적: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 지원여부에 따라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채널이 마련되었는지와 이 채널이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의사소통채널마련과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 활성화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배경이 되는 사업주의 산업보건에 대한 관심이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안산, 대전, 광주, 포항 지역에서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받은 사업장과 받지 않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비례층화무작위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1991년 12월 6일부터 10일간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각 사업장의 남녀 각 1명, 보건업무담당자, 사업주였으며, 설문내용은 사업장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이었다. 설문에 응답이 온 463개 사업장의 자료를 자료처리하여 총 228개 사업장(단해년도지원 사업장 189개, 연속2년지원 사업장 13개, 비지원사업장 26개)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사업장내 의사소통에 대한 단변량분석에서는 보건업무 담당자의 선정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지원받지 않은 사업장과 지원받은 사업장의 사업장내 위험의사소통을 비교하기 위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사업주의 관심(OR ; 1.63, 95% CI ; 0.38~7.01)과 보건업무담당자의 선정(OR ; 3.67, 95% CI ; 1.00~13.44) 및 결정권한(OR ; 1.48, 95% CI ; 0.25~8.91), 사업주의 산업보건문제 소통(OR ; 3.07, 95% CI ; 0.81~11.71), 보건업무담당자의 정보요청경험(OR; 4.48, 95% CI ; 0.97~20.57)에서는 지원받지 않은 사업장에 비해 지원받은 사업장에서 교차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반면 노동자의 산업보건문제 소통가능성여부는 오히려 교차비가 0.53(95% CI ; 0.11~2.44)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론: 소규모사업장 보건관리기술지원사업을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평가해보면, 사업주나 보건업무담당자에게는 다소 효과가 있었지만 노동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문화를 바꾸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개선을 위해서는 노동자 중심의 접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funded subsidized occupational health program for small-scale enterprises(GSOHP_SSE) by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workplace. Methods : We sampled the 1,835 enterprises of study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among industries of supported and not supported by GSOHP_SSE in Seoul, Ansan, Daejeon, Kwang-joo and Pohang. Informati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and respondants and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was collected o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y post-survey between December 6 and 15 in 2001. We received answers from 463 enterprises and analyzed 228 enterprises through data-cleaning by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GSOHP-SSE about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Results :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SOHP_SSE turned out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all dependent variables about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The concern of owner(odds ratio (below OR) ; 1.63, 95% confidence interval(below 95% CI) ; 0.38-7.01), formation(OR ; 3.67, 95% CI ; 1.00-13.44) and empowerment(OR ; 1.48, 95% CI ; 0.25-8.91) of health manager, request about occupational health problem of health manager(OR ;4.48, 95% CI ; 0.97-20.57) and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of owner (OR ; 3.07, 95% CI ; 0.81-11.71) had the trend increasing OR in the industries supported GS-OHP_SSE relative to the industries not supported. But in recognition of possibility on occupational health communication of laborers, OR of GSOHP_SSE was decreased in 0.53(95% CI ; 0.11-2.44).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GSOHP_SSE was some effective to the side of employer and health manager, but had a limitation about change of communication culture useful to the laborers. We suggested the laborer-centered health training programs or the empowerment-based health training programs for effective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n the work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