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일본망명자 김옥균 송환을 둘러싼조,일 양국의 대응

        김성혜 ( Sung Hy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1884년 12월, 갑신정변이 실패한 직후 김옥균 등의 주도세력은 곧바로 일본으로 망명했다. 그 중 김옥균은 1886년 7월 오가사와라(小笠原)로 유폐될 때까지 쿠데타를 시도하는 등 조선의 정치현실을 바꾸려는 활동을 펼쳤고, 1891년에 홋카이도(北海道)의 유폐에서 벗어난 후에 또다시 정치활동을 재개하며 조선의 정치문제에 개입하고자 했다. 이러한 김옥균은 고종을 비롯한 측근세력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따라서 고종은 비밀리에 암살자를 파견해 김옥균 살해를 시도하거나 정부관료와 외국인 고문 등을 활용해 정식 송환을 요구하는 등, 음양으로 김옥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조선정부는 갑신정변 직후 조선에 파견된 특명전권대사 이노우에(井上馨)에게 즉각적인 김옥균 등의 송환을 촉구했고, 서상우와 묄렌도르프(Paul George von Mollendorf)를 특사로 일본에 파견해 일본정부에 공식적으로 김옥균 송환을 의뢰했다. 이때 서상우는 외무대보(外務大輔) 요시다(吉田淸成)와 담판하고 이노우에에게 조회해 난을 일으켜 조·일 인민에게 상해를 입힌 후 도망간 난적 김옥균, 박영효 등을 체포·송환해 양국의 우의를 돈독히 해 줄 것을 요청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정부에 김옥균 송환에 대한 협조를 구하거나 서울주재 각국공사를 초대해 김옥균 송환의 정당성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정부와 열강은 조선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당시 일본정부는 일본에서 망명자들에 대한 범죄 유무의 판정이 쉽지 않고, 판정한다 해도 조·일 양국에 범죄인인도조약이 없으며 국사범의 체포·송환이 만국공법의 예가 아니라면서 김옥균의 송환을 거부했다. 여기에 열강들은 일본측 입장에 동조하거나 확실한 입장 표명을 유보하는 등, 조선정부에 협조하지 않았다. 이처럼 일본정부와 열강들이 김옥균 송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자, 조선정부는 김옥균문제 해결을 위해 다른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 중 하나가 김옥균을 꾀어내 귀국시키려는 방안이었고, 이로 인해 발발한 것이 1885년 12월 김옥균의 쿠데타 사건이었다. 당시 조선정부는 김옥균이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사촌형인 이재원을 이용해 김옥균을 움직일 계획을 세웠고, 장은규를 보내 김옥균에게 접근시겼다. 그리고 장은규로 하여금 김옥균의 신임을 얻게 한 후, 그를 통해 이재원의 서신을 전달함으로써 김옥균 스스로 어떤 계획을 세우고 있는지 폭로하도록 유도했다. 그 결과 김옥균은 자신이 일본인 조력자와 함께 군사나 낭인 천 명을 모집해 서울진격을 준비중이라면서 이재원에게 총 천 자루 구매를 청하는 서간을 보내게 되었다. 김옥균 서간을 접수한 조선정부는 이를 증거로 일본에게 김옥균에 대한 추방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것이 김옥균을 이용해 일본의 주권에 개입하려 한다고 판단한 일본정부는 서간에 포함된 고종과 민씨세력에 관련된 불온한 내용이 조선의 체면을 해친다며 반환했다. 그리고 김옥균 서신이 일방적인 심정의 토로에 불과하고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심리(心理)를 처벌할 법이 없다는 이유로 조선측의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일본정부는 김옥균이 쿠데타계획을 털어놓고 협조를 요청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김옥균의 체포·송환에 부정적 입장을 굽히지 않은 것이었다. 이에 따라 쿠데타 음모를 조장해 김옥균을 일본으로부터 추방당하게 만들고자 했던 조선정부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정부가 직접 암살자를 파견해 살해를 시도하는 쪽으로 김옥균문제의 해결 방침을 선회해 가면서 일본에 암살자가 잠입하고 일본 국내에서도 김옥균과 협력해 조선정벌을 꾀하는 세력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김옥균의 일본체류가 조·일 양국관계를 악화시키고, 일본 국내 치안을 어지럽힌다고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그 결과 김옥균의 해외 이주나 일본 내 특정지역으로의 유폐를 결정·추진해 나갔다고 하겠다. In December 1884, shortly after the failed Gapsin Coup(갑신정변), led forces such as Kim Ok-gyun(김옥균) was immediately asylum to Japan. Until he was confined to the Ogasawara(小笠原), Kim Ok-gyun had expanded the activities to change the political reality of Choseon Dynasty. Because of this, the aides forces including King Gojong(고종) was thinking that Kim Ok-gyun threaten the regime, so they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Kim Ok-gyun, such as required a formal repatriation to the Japanese government or dispatched an assassin to try to kill Kim Ok-gyun. Korean government``s activities for the repatriation of Kim Ok-gyun and response of the Japanese Government can be summarized the following four kinds of content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tinued diplomatic efforts towards the Japanese government for repatriation of Kim Ok-gyun.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sought to cooperate with the Russian government or invited to consuls of the country of residence in Seoul in order to appeal to the legitimacy of the repatriation of Kim Ok-gyun. Second, King Gojong and his aides were planning a coup plot of Kim Ok-gyun for voluntary return of Kim or deportation on Kim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at the time, Kim was made fun of a resurgence over the coup. This coup plot of Kim Ok-gyun was caused by matching the interests of King Gojong and Kim both sides. As a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the evidence of Kim``s coup in hand, so Korean government was out to strengthen the demands of deportation on Kim Ok-gyun towards the Japanese government by emphasizing the risk of Kim. Third,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raised this issue a few months later, after they get the evidence of coup plot of Kim Ok-gyu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aken a lukewarm attitude toward repatriation of Kim Ok-gyun. Did Korean government was forced to postpone despite got a conclusive proof that Kim``s letter because of favorable attitude of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e Kim Ok-gyun. Thus, Korean government was looking for a good opportunity, raised the relevance of the Osaka incident and Kim and went out to persuade the necessity of deportation on Kim for security of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Fourth, the Japanese government had refused Korean government``s demand of repatriation on Kim Ok-gyun because there was no extradition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lso it was contrary to the example of public law of all n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 had also deci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to intervene in the sovereignty of Japan. So they had denied the credibility and legitimacy of letter of Kim and testimony of Jang Eun-kyu(장은규) utilized as evidence of coup plo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emphasized that there is no law to punish the human min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Japan and had actively questioned the reliability of Jang Eun-kyu.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to fail that Korean government``s plan was encouraging a coup plot to want to let Kim Ok-guyn was expelled from Japan. Since as Korean government was turning a policy of solving the problem on Kim Ok-gyun in the direction of attempting murder by the assassin who was sneaking in Japan, And in Japan, the forces had appeared to occupy Korea government in cooperation with the Kim. After all, the Japanese government was concerned about the stay of Kim in Japan that worsen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unhinge the security of Japan.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promoted the migration abroad or confinement in a particular area in Japan of Kim Ok-gyun.

      • KCI등재

        1886년 일본망명자 김옥균 유폐의 전말과 그 원인

        김성혜(Kim, Sung-hya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5 亞細亞硏究 Vol.58 No.3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망명한 이후, 조선정부는 이들을 역적으로 간주하고 김옥균의 본국 송환을 위해 노력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정부와 달리, 일본정부는 국사범을 보호해 일본의 인도적 행동을 드러내고 조선과의 협상카드로 김옥균을 이용하고자 했다. 따라서 번번이 일본국내법과 만국공법, 그리고 조일간 범죄인인도조약의 부재를 이유로 조선정부의 김옥균 송환 요구를 거절했다. 그렇지만 일본정부의 김옥균 비호 방침은 오사카사건 관련자들의 김옥균에 대한 회유 모색이 발각되고 조선정부가 장은규와 지운영을 파견해 김옥균을 암살하려 하면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김옥균의 일본체류가 일본국내 치안을 불안하게 만들고 외교 분쟁의 빌미를 제공한다는 사실이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김옥균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했는데, 공교롭게도 이때 스스로를 지키고자 한 김옥균의 행동이 일본정부를 더욱 자극했다. 일본정부는 1885년까지 망명 국사범의 보호라는 명분과 대조선 정책에서의 활용이라는 실리를 모두 얻고자 김옥균의 일본체류를 묵인했다. 그렇지만 점차 조?청 양국의 반복적인 송환 요구와 일본내 반정부세력과의 연계, 암살자들의 도일 등으로 김옥균을 내치외교의 걸림돌로 판단하게 되었다. 결국 일본정부는 김옥균의 공식적인 신변보호 요청을 계기로 추방을 결정해 오가사라와에 유폐시켰다고 하겠다.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stant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political asylum in Japan like Kim Ok-kyun(金玉均) who led a failed coup and fled to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Kim was a threat to the regime and made the feelings of the people disturb.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oppos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y permitted Kim’s residence in Japan. By the way,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had chang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Osaka plot(大阪事件) with Kim Ok-kyun and an assassin dispatc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o prevent a coup by the opposition with Kim Ok-kyun or the assassins would kill Kim in Japan.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had decided on Kim’s deportation from Japan because of the obstacles in diplomacy and sedition. Then Kim had consulted his personal problems with an Englishman belonging to the judiciary of Japan and moved to a hostel of France concession in Yokohama, leaving Tokyo. Kim then sued Ji un-yeong(池運永) in court. In addition, Kim asked for personal protection and asylum in Russia from the Speyer of Russian consul in Japan. However, Kim Ok-kyun’s formal request for personal protection antagonized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ade his expulsion one of force. As a result, Kim Ok-kyun was confined to Ogasawara(小笠原) Island.

      • KCI등재
      • KCI등재

        1890년대 고종의 통치권력 강화 논리에 대한 일고찰

        김성혜(Kim Sung-Hyae)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8 No.-

        본고는 1890년대 이후 고종이 군주의 어버이와 스승으로서의 지위와 역할 수행의 정통성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군주의 통치권 장악ㆍ행사를 정당화시켜 나갔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고종은 즉위 이후 본격적으로 실시된 제왕교육을 통해 군주란 어떤 존재이며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가르침을 받으며 군주관을 형성해 나갔다. 당시에는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전통적인 중화세계의 균열이 초래되고 있었으나 고종은 여전히 유교전통적인 교육을 바탕으로 군주의 지위와 책임ㆍ의무 등이 포함된 군주관을 키워 갔다. 고종 군주관의 핵심인 군부론과 군사론은 군주가 곧 백성의 어버이이자 스승이라는 군사부일체를 완성시키는 논리체제였다. 군부론에서 군주는 만백성의 어버이로서 백성을 친 자식처럼 돌봐야 하는 존재였고, 이에 대가로 백성들로부터 부모를 향한 절대적인 효가 전환된 형태인 충을 요구하며 군주권의 정통성 확보와 안정적 수행을 보장받으려 했다. 여기에 만백성을 바르게 교화하고 인도해야 할 스승과 같은 존재인 군주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고종의 군주관은 그가 1890년대 이후 통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으로 자신의 지위가 위태롭다고 판단하연서 보다 강력히 표출되기 시작했다. 고종은 전제군주를 표방하면서 자신을 보도하고 군주와 백성을 이어주는 관료들을 통치 대상으로 한정시켜 갔다. 또한 백성들의 정치 개입이 군주권의 안정ㆍ강화에 저해된다며 군주의 적자에 대한 일방적인 보호와 적자들의 군주를 향한 절대적인 복종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방침 제시와 실시를 통해 국가와 황실에 충성하는 신민으로 육성, 또는 재탄생시키려 했다. 다시 말해 고종은 군부론과 군사론을 군민 상호간의 협력과 조화보다는 군주의 일방적인 보호ㆍ교화와 신민들의 복종으로 규정하고, 이것이 군주와 신민의 의무이자 도리라 주장하며 군주의 모든 통치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려 한 것이었다. 이처럼 1890년대 군주권이 직접적인 위협과 제한을 받는 상황 속에서 군주의 통치권 회복 명분으로 군주의 신민에 대한 부모나 스승과 같은 지위와 책임 완수라는 정통성을 내세운 고종은 결국 대한제국 선포에 이어 대한국국제로 군주의 전제권력을 성문화시켰다고 하겠다. In December 1863, 12-year-old Kojong(高宗) rose as the 26th monarch. And until 1873, Kojong continued to concentrate on autocratic education while partaking in and collaborating with Daewongun(大院君) in his policy-making decisions and progress. During this period, this allowed Kojong to devote himself to imbibing the qualities of an emperor amidst a relatively open and safe political power structure and to form Confucian democracy ideologies and autocratic perspective. So Kojong had become recognize that monarch was father and teacher to entire people. The logic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equal to that of father(君父論) meant monarch had to care for all his people like a father. If he did, monarch could rightfully demand loyalty from his people. Such people's loyalty to their monarch became basis of monarch's sovereignty. Also the logic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equal to that of teacher(君師論) meant monarch had a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of their people. And this logic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was a point of Kojong's grip of power. These logics started to strongly expressed in the 1890's because Kojong judge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東學農民運動) and Kabo Reform(甲午改革) incurred danger to his status. Then Kojong proclaimed that he took the leadership in state management and emphasized that he was father and teacher for his people. Due to full powers of Kojong, government official became to retinue from political partner. And Kojong realized that his people's political movement was dangerous to sovereignty, so he suppressed their political movement and demanded return to monarch's children. This meant his people were considered as a subject of obedience. At this time Kojong emphasized to take responsibility tor education, enlightenment, religion for his people. Also he pursued that his subjects was devoted to their nation and their monarch. Finally he succeeded to grip of power by proclamation of the Great Han Empire(大韓帝國) and enactment of Constitution of the Daehan Empire(大韓國制).

      • KCI등재

        『독립신문』에 드러난 군주의 표상과 고종의 실체

        김성혜 ( Sung Hy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8 No.-

        『독립신문』은 당시 정세를 올바로 전달하고 백성들을 계몽함과 동시에 민간과 정부 사이의 소통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하며 창간되었다. 그들은 먼저 일반 백성과 지식인 계층인 자신들을 분리해 계몽을 선도할 스스로의 입지를 정당화하고, 국내외 상황의 자세한 보도, 시대에 필요한 일들의 개진, 정부를 향한 민간 고충의 전달 등을 실천해 나갔다. 당시 조선(대한제국)은 총체적인 국가 위기에 빠져 있었다. 『독립신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민을 단결시키고 충군·애국을 이끌어낼 국가 통합의 구심점인 초월적 존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군주는 이러한 정통성을 가진 유일한 대상이었고, 그들은 군주를 부각시켜 신민으로부터의 충성을 이끌어내고자 했다. 따라서 고종이 문명진보와 자주독립을 추구하는 현군이라는 사실을 선전해 군주를 향한 충성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군주가 각국과 대등한 권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신민의 단결과 정치로의 관심을 유발시키려 했다. 또한 『독립신문』은 실질 정치에서 철저한 궁정 분리를 시도했다. 그들은 군주와 정부와의 차별화를 통해 당시 실정의 책임을 정부에 전가시키고 국가를 대표할 군주의 신성함을 유지해 나갔다. 『독립신문』은 군주의 지위·역할을 충성의 대상, 타국과 대등한 권위 확보, 국정의 총괄자로 표상화시키고, 정부만을 정책 비판과 요구 상대로 규정한 것이었다. 이는 『독립신문』이 나라의 상징인 군주의 절대성과 신성함을 중시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큰 원인은 국정을 운영하는 군주 고종의 자질에 있었다. 그들의 눈에 비친 고종은 유약해서 간신들에게 좌우될 뿐만 아니라, 우유부단해서 단호한 인사 행정과 정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약속을 수행하지 않고 사적이고 편중된 이해관계 속에서 정국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 통합에 군주가 지닌 상징성이 필요하면서도 군주에게 통치권을 부여할 수 없다는 딜레마를 야기시켰고, 『독립신문』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상징적 군주를 강조해 갔다. 그러나 『독립신문』의 지향과는 달리 고종은 실질적인 권력 행사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대한제국 선포와 황제 등극으로 군주의 국정장악력을 한층 강화시켰다. 이러한 현실은 고종이 가진 군주권 강화 의지와 실질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그와의 직접 소통을 중시해야할 필요성을 가져왔다. 그럼에도 『독립신문』은 애민하고 자애로우며 타국과 대등한 권위를 가져야 할 군주 표상에 집중하며 고종을 현실 정치에서 제외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갑신정변·갑오개혁 세력들이 군주의 실질적인 통치권 제한을 시도하다가 고종의 반발로 정계에서 도태된 것과 같은 전철을 밟게 되었다. 다시 말해 『독립신문』이 제시한 군주 표상과 고종 실체와의 괴리가 심각한 상황에서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에 따라 양측의 정치적 이해관계는 극한 대립 국면에 봉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겠다. In the late 1890s, Korea was plunged into a catastrophic national crisis. To overcome the critical situation, 『The Independent獨立新聞』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 pivotal figure which can unite the Korean people and generate loyalty and patriotism. 『The Independent』 judged that only the Monarch had such a legitimacy. In order to secure the appropriateness of loyalty to the monarch, 『The Independent』 advertised that Kojong pursued the independence and civilization. Also in order to try to band Korean people together and to arouse interest in politics, 『The Independent』 emphasized Kojong`s authority which is equal to that of monarchs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Kojong was symbolized for the head of state affairs, target of allegiance, equal authority with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Independent』 claimed the symbol of the country only to Kojong. But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Independent』, Kojong continued to pursue the practical exercise of power and strengthened domination by himself. This reality led to the need to admit Kojong who will strengthen the sovereignty and practical role and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him and had to be oriented. Nevertheless, 『The Independent』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monarch, and sought to exclude Kojong from actual politics. Therefore 『The Independent』 faced the backlash from Kojong. Eventually there came to exist a serious discrepancy between the role model of a monarch proposed by 『The Independent』and the real substance of Kojong. Then 『The Independent』 failed to solve this problem, a serious confrontation occurred between 『The Independent』 and Kojong in political interests of both sides.

      • KCI등재

        1873년 고종의 통치권 장악 과정에 대한 일고찰

        김성혜 ( Sung Hy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1863년 12월, 고종은 12세의 나이로 신정왕후의 지명에 의해 조선의 제26대 군주에 올랐다. 즉위할 당시, 고종은 아직 유약하고 제왕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전례에 따라 신정왕후의 수렴청정이 행해지게 되었다. 1866년 2월에 수렴청정이 끝나자, 이번에는 실부인 대원군에게 정권이 위임되고, 고종은 성학에 힘을 쏟는 한편 대원군의 정책 결정과 추진 과정에 관여, 협력하게 되었다. 그러나 1870년대에 들어서 더욱 강화된 대원군의 권력 집중과 독점은 고종에게 위기 의식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고종은 대원군의 여러 가지 통치 활동이 군주 권력의 안정과 확립에 기여한다고 믿고, 권력을 위임해 협력하고 있었지만, 대원군은 고종에게 통치권을 돌려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권력을 확대해 갔다. 그러자 고종은 대원군의 행동에 의구심을 품고 군권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어, 주변에 외척 중심의 측근을 배치하고 반대원군적인 여론의 형성과 분위기를 조성해 갔다. 이때, 청에 파견되었던 사신으로부터 청황제의 친정과 친정에 대한 백성의 큰 기대에 대한 소식은, 고종에게 자신의 친정에 대한 포부를 키우고, 1873년 10월 최익현의 상소를 계기로, 고종은 실질적인 친정을 선포했다. 고종의 친정 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은 그의 최익현 처벌에 대한 정부 관료의 반대가 컸기 때문에 고종과 정부 관료, 또는 친대원군 세력 간의 권력 쟁탈로 전개되었다. 정부 관료가 고종의 최익현 처벌에 반대한 표면적인 이유는 국청을 설치해 최익현의 불순한 의도를 상세하게 조사하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원군의 퇴진을 저지하고 정권을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대원군을 퇴진시켜서 통치권을 회복하려고 하는 고종과 현 정권의 정당성을 주장해 자신들의 지위를 지키려고 하는 정부 관료의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정쟁이었고, 양쪽은 서로의 입장을 양보하려고 하지 않았다. 결국 고종은 계속해서 최익현의 국문을 통한 조사를 요구하는 영중추부사 홍순목, 좌의정 강로, 우의정 한계원을 파면시키고, 의정부를 영의정 이유원과 우의정 박규수로 새롭게 구성했다. 이것으로 1873년 10월에서 11월에 걸쳐 일어난 고종과 정부 관료 간의 갈등 국면이 진정되고, 대원군이 정계에서 은퇴해, 고종의 친정 체제 구축 작업이 일단락되었다. In December 1863, 12-year-old Kojong(高宗) rose as the 26th monarch under the nomination of Shinjeongwanghu(神貞王后). Because Kojong was still young, fragile, and has yet to receive training and education on becoming an emperor at the time of his enthronement, regency by the queen mother commenced, also based on precedent. With the end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February 1866, political power was transferred over to Daewongun(大院君), Kojong`s real father, and Kojong continued to concentrate on autocratic education while partaking in and collaborating with Daewongun in his policy-making decisions and progress. During the 1870s, however, Kojong began to see Daewongun`s increased convergence of power and monopoly as a threat. Kojong believed that Daewongun`s numerous political activities served the stability and security of sovereign authority and even entrusted Daewongun with authority of the monarch. Daewongun, however, refused to return sovereignty to Kojong and instead focused on expanding his own power base. Kojong then became apprehensive about Daewongun`s actions and sought to restore his own sovereign power. Kojong surrounded himself with relatives, mostly from his maternal side, and worked on creating anti-Daewongun sentiments and atmosphere. At this point, Kojong received a private message from China, stating the Chinese Emperor`s return to power and the Chinese people`s great anticipation for the emperor`s return. This message served as an inspiration for Kojong, who in October 1873 took advantage of Choi Ik-hyeon(崔益鉉)`s appeal and announced his actual rule. The formation of Kojong`s ruling system led to power struggles between Kojong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opposed Choi`s punishment and between Kojong and pro-Daewongun forces. On the surface, government officials claimed they opposed Kojong`s punishment of Choi Ik-hyeon because a state tribunal needed to be installed to conduct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Choi`s rebellious intentions but, in actuality, the officials wanted to deter Daewongun`s withdrawal and maintain their hold on the government. This was a war between Kojong, who wished to relieve Daewongun and restore the sovereignty,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claiming the validity of the incumbent government in an attempt to protect their positions. In this struggle over national leadership, neither side gave way to the other. In the end, Kojong dismissed those officials who kept on insisting a trial for Choi Ik-hyeon and a newly structured Uijeongbu(議政府). With this, the conflict between Kojong and government officials that transpired throughout October and November 1873 was subdued and Daewongun retired from politics to complete the first phase in the buildup of Kojong`s rule.

      • KCI등재

        논문(論文) : 고종 즉위 초기 군주관 형성과 그 내용

        김성혜 ( Sung Hyae Kim ) 이화사학연구소 2011 梨花史學硏究 Vol.0 No.42

        In December 1863, 12-year-old Kojong(高宗) rose as the 26th monarch. And until 1873, Kojong continued to concentrate on autocratic education while partaking in and collaborating with Daewongun(大院君) in his policy-making decisions and progress. During this period, this allowed Kojong to devote himself to imbibing the qualities of an emperor amidst a relatively open and safe political power structure and to form Confucian democracy ideologies and autocratic perspective. The key of ideas of monarch was the logic of a proxy for providence and public sentiment(天命論), the logic of the only successor to the royal ancestors(祖宗繼承論), the logic of all people`s lord and father(君父論), the logic of all people`s lord and teacher(君師論). The logic of a proxy for providence and public sentiment(天命論) meant monarch had to reflect providence and public sentiment to state management. Especially, Kojong had to take a serious view of the logic of a proxy for providence and public sentiment for legitimizing accession. In a situation like this, Kojong revealed his talent of quality as a monarch through expression about performing of providence and public sentiment. The logic of the only successor to the royal ancestors(祖宗繼承論) meant monarch had to succeed to the rights and duties of tradition of the royal ancestors. It was applied to emphasize lineal descent of royalty of succession to the throne of Kojong and to control state administration of Kojong. Also Kojong mentioned it very often because it was easiest to show his conduct and speech was right. Therefore he was going to take the justifiability of his policies by presenting precedents or traditions of ancestors. The logic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equal to that of father(君父論) meant monarch had to care for all his people like a father. If he did, monarch could rightfully demand loyalty from his people. Such people`s loyalty to their monarch became basis of monarch`s sovereignty. Also the logic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equal to that of teacher(君師論) meant monarch had a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of his people. And these logics behind status and power of a monarch was a point of Kojong`s grip of power. These ideas of monarch gave sacred status and power to monarch and urged active role of monarch. Under these circumstances, Kojong became to recognize how much monarch meant to his people and nation. And Kojong pursued and consolidated state management under monarch`s hegemony based on these ideas of monarch.

      • 고종 친정 직후 淸錢 관련 정책과 그 특징

        김성혜(Kim, Sung-Hyae) 역사학연구소 2012 역사연구 Vol.- No.22

        After restoring sovereignty, Kojong began to reform Daewongun’s power basis and policies. In addition, Kojong retained those policies that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family’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But he abolished taxes established under Daewongun’s rule, and prohibited the circulation of Chinese currency(淸錢/Cheongjeon) to shut out Daewongun’s financial resources and to strengthen the sovereignty of the monarch. These economic policies of King Kojong was emphasized more welfare of people than state finances. However, abolition of Chinese currency reduced the national budget, because King Kojong did not take actions on funding and financial management properly. Also abolition of Chinese currency caused national defense penalty and deteriorating livelihood, because tax collectors forced tax payment to people, for compensation of the lack of financial management. After all, Kojong’s prohibition the circulation of Chinese currency policy increased the burden laid on the people, by double taxation, rising taxes, imposing taxes, etc.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