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극성 프로젝트 : 한국 저널리즘의 정체성 복원과 원칙의 탐색

        김성해(Sungh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1 언론과 사회 Vol.29 No.2

        국내 언론의 위기는 기저질환에 가깝다. 냉정한 진단을 토대로 온갖 처방이 적용되었지만, 병은 오히려 깊어진다. 뭐가 문제일까? 이 논문은 그간 제기된 ‘진단’ 자체에 논리적 모순이 있으며, 언론이 지향해야 할 ‘좌표’가 명확하지 않았고, 한국적 ‘맥락’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길 잃은 나그네는 북극성을 보면서 방향을 찾는다. 한국언론에도 필요하다. 국민은 언론이 언론답지 않다고 비판하지만, ‘언론다움’의 기준에 대한 최소한의 공감대도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북극성을 찾아가는 ‘준비’ 단계로 기존의 위기 담론을 분석했다. 언론의 정파성, 독립성 및 뉴스의 품질 저하 등이 내포한 논리적 모순이 분석대상이었다. 본격적인 ‘탐사’ 단계에서는 북극성을 찾기 위한 전략으로 세 갈래의 항로를 잡았다. 그중 첫 번째는 역사 속에 자취를 감춘 언론사의 창간사 등을 통해 규범적 가치를 파악하는 통시적 접근이다. 구한말에 등장한 《한성주보》와 《독립신문》을 비롯해 해방 후 발간된 《매일신보》, 《자유신문》 등의 발간사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공시적 접근이 두 번째다. 2020년 현재 시점에서 각양각색의 언론사가 내세우는 창간 목표와 윤리강령을 비롯해 신문, 방송, 뉴스통신, 인터넷, 정기간행물 등으로 분화되어 온 언론 관련 법을 살폈다. 전문가의 ‘언론다움’에 관한 담론은 세 번째 항로다. 언론의 역할, 좋은 뉴스의 조건, 신뢰도 회복 방안 등에 대한 권위자의 주장을 다뤘다. 탐사 결과를 보고하는 ‘마무리’단계에서는 한국형 저널리즘 정체성을 구성하는 전제조건을 제시했다. 항해 과정에서 확인된 ‘공담장의 관리자, 계약직 상징 권력자, 장인정신의 실천자, 시대정신의 대변자, 직업적 소통자’ 등에 대한 설명이 이 단계에 포함되어 있다. 언론위기에 대한 진실은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한국 저널리즘이 좌표로 설정해야 할 ‘북극성’을 개략적이나마 파악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저널리즘의 복원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다. 그간 학계에서 외면받았던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함으로써 국민이 원하는 언론다움의 실체에 대해서도 성찰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저널리즘의 북극성에 대한 공감대가 마련된다면 이를 통해 전문직 언론(professional journalism)에 대한 지원, 평가 및 개혁 등에 대한 방향성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journalism in South Korea suffers from a chronic disease which defies a variety of diagnosis and remedies. What went wrong then? This paper starts with the following three assumptions. Those discourse related to journalism crisis lack logical clarification is the first. Secondly, Korean society has been failing in establishing consensus over purposes, norms, and practices for journalism. It claims in addition that absence of Korean contex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makes it difficult for journalists to find a true identify. What should be done? The author believes that identifying a guiding post for professional journalism equals to a possible solution. For this purpose, it takes three steps composed of dissecting crisis discourse, exploring coherent principles, and suggesting an identify of Korean journalism. Such myths as media’s independence from national community, partisanship and focusing solely on news in way of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were criticized at the outset. Then, it traces three potential paths with which Korean journalism lives along. While articulating historical statements published by those newspapers in 19th century, it looks into the impact of traditional journalism on the current laws and ethical codes. Related discourses proposed by media experts for the purpose of media reform were visited as well. As a final stage, it suggests five characteristics believed to be incarcerated by Korean journalism. Those definitions such as journalists as a manager for public sphere, advocate for spirit of age and practitioner of professionalism belong to this.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 pays a way not only for evaluating performance but articulating strategies for journalism.

      • KCI우수등재

        국제공론장과 민주적 정보질서

        김성해(Sunghae Kim) 한국언론학회 2007 한국언론학보 Vol.51 No.2

        Undoubtedly,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Iran drew different international reaction from that of Israel and Pakistan believed to be strategic allies of U. S. Such division of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may be caused by these two countries' unreliable state-behaviors. However, in finding similarities between the current situation and such concerns generated during the New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Debate, this paper senses that undemocratic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dominated by U. S.-led global news media has never been properly addressed since the debate. For this, the author first reviews historical backgrounds of NIIO and then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weaknesses of MacBride Commission Report by adopting U. S. hegemony view. After putting the report into critical reassessment,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possible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public sphere' as well as to envision 'democratic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helped by international civic sector.

      • KCI등재

        관습적 오류 혹은 의도적 프로파간다: 북한관련 `의혹`의 실체적 진실과 담론 왜곡의 구조

        김성해 ( Kim Sunghae ),류로 ( Lu Liu ),동규 ( Kim Tongkyu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7 의정연구 Vol.23 No.1

        한국 사회에서 유통되고 있는 지배적인 북한담론은 의혹투성이다. 특정한 정치적 목적과 이해관계는 물론 집단기억과 정서 등에 의해 상당부분 왜곡되어 있다. 물론 일부는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근거를 둔 `진실`도 있지만, 부분적인진실 또는 때로 `명백한 허위`에 가까운 내용도 많다. 국내 언론은 북한에 관한 `진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려고 노력하지 않을뿐더러 한번 잘못 전해진 `허위` 사실 조차도 `팩트`에 대한 교정이 없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일그러진 북한담론이 초래할 수 있는 위협은 실질적이며 돌이킬 수 없는 대가를 요구한다. 북한의 정책을 잘못 판단할 수도 있으며, 국민의 정서적 반발을 부추길 수 있고, 무엇보다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정책 형성에 방해가 된다. 본 연구는 이런 우려에서 출발했으며 2002년 불거진 HEU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의혹, 방코델타아시아(BDA)를 통한 위조지폐 의혹 및 제네바협상 파기 등을 분석했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는 이들 3개의 의혹에 대한 실체적 진실은 무엇인가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미국 정부, 학계와 싱크탱크 및 언론 등의 관련 자료는 물론 중국과 국내의 2차 자료도 분석했다. 또 다른 연구문제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혹`의 실체가 밝혀지는 가운데 국내 언론이 이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로 정했다. 국내 언론에 등장하는 원인과 대책에 대한 주요 주장을 정리하고 `프레임`을 귀납적으로 재구성했다. 끝으로, 국내 언론은 어떤 구조적 요인에 의해 `의혹`을 재생산하고 있는가를 질문했다. 2017년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는 상당 부분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측면이 강하다. 현실을 재창조하는 것으로 알려진 관련 담론을 해체함으로써 평화를 위한 작은 디딤돌을 놓고자 하는 것이 연구자들의 소망이다. North Korea discourse is doubtful. A considerable portion is distorted under political objectives, group identity, and interests. Surely, there are facts based on North Korea`s conducts. Apparent deceptions commonly exist as well though. Korean media does not endeavor to set the records straight and there are no revision towards mislead information. This is substantially dangerous as it can misjudge North Korean policies, beget national antipathy, and interferes with rational and constructive policy making. This study stems from such concerns and takes such cases as HEU(Highly Enriched Uranium) suspicion of 2002, dispute covering BDA(Banco Delta Asia)`s counterfeiting, and the abandonment of the Geneva Agreed Framework into consideration. The first part concentrates on fathoming the truth of the three cases. References from US government, academia, think tanks, media were inquired with an addition of secondary material from Korea and China. Secondly it examines whether domestic news properly reflects the precedent facts along the process of discovery. The cause and solution suggested by domestic media were organized and inductively reconstituted to frames. The last study questions the structural factors that reproduces suspicion analogs. Today`s dangers facing Korean society are essentially not natural but artificial. This research hopes to foster peace by analyzing related discourses that are infamous to reinterpret reality.

      • KCI등재

        미국 패권의 후퇴, 국제정보질서 그리고 국가이익

        김성해(Sungh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4

        1945년 이래 구축된 미국의 패권이 저물고 있다. 미국의 군사적 우위는 중국과 러시아의 연합전선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경제적 우위는 유럽연합과 브릭스에 잠식되고 있다. 잇따른 전쟁과 경제위기에 따른 재정 및 무역적자로 인해 미국 달러에 대한 불신도 확산되고 있다. 미국이 누리던 정보의 독점적 지위 또한 디지털 혁명을 계기로 무너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패권질서에 대한 한국의 의존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국제정보질서의 구조적 불평등과 정보주권에 대한 관심과 논의도 별로 없다. 그간 이러한 문제를 제대로 성찰할 기회가 없었고 문제 해결을 위한 의지와 역량이 부족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19세기 이래 국제정보질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정보질서의 본질로 볼 수 있는 정보주권의 실질적 내용이 무엇이며, 국제사회의 변화에 따라 정보주권의 강조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등을 분석했다. 문헌조사 및 2차 자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특히 정보주권의 개념도를 위해 연구자의 이론적 상상력을 발휘했다. 먼저 국제정보질서의 패러다임을 크게 제국주의, 프로파간다, 민족주의, 신자유주의 및 패권후퇴기로 분류했다. 정보질서에 개입하는 주요 목적, 핵심 테크놀로지, 행위자 및 쟁점을 패러다임별로 정리했다. 그 다음,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개념도를 통해 정보주권의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X축은 정보의 종류에 대한 분류로 정치적, 도구적 및 감성적 정보를 담았고, Y축은 정보의 활용 단계에 따라 본원적 보호, 독립적 생산, 선택적 활용, 주체적발신과 합법적기여 등으로 분류했다. 끝으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정보주권의 어떤 차원이 강조되었는가를 설명한 다음, 중견국 한국에 필요한 정보주권 전략을 제안했다. Growing evidences shows that the U.S. hegemony established since 1945 is retreating. Not only U.S. dollar is under pressure in the global asset markets, but U.S. military bogs down in the middle east while fighting against a variety of terror networks. The expansion of discourse war through 24 hours news channels also push U.S. dominance into defensive. Unfortunately though South Korea fails to adopt to the shift of international society as well as prepare for independent foreign policies including information sovereignty. Such striking ignorance and indifference owes a lot to habitual dependence on U.S. intellectual leadership and lack of contemplation in way of protecting national interest. This paper in this regard attempts to unravel the essence of information order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society along with information sovereignty by utilizing a theoretical analysis. On the first hand, it sheds light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dividing into five paradigms such as imperialism, propaganda, nationalism, neo-liberalism and hegemony retreat. Each paradigm was known to have many distinctive features in terms of technology, major players, priority of concerns and related agreements. The graph for describing information sovereignty was presented on the second hand as well. While dividing information into political, instrumental and cultural one, it clarified five dimensions like Essential Protection, Independent Production, Selective Consumption, Autonomous Expression and Legal Contribution. Historical shift of priority determined by political and technical contexts was also explored on the last hand. South Korea is not a developing country any more. Both the huge size of Gross Domestic Product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technology, science and culture makes it inevitable for South Korea to pursue self-reliant strategies for national interests. The author hopes Korean society to pay additional attention to such issues as information order and sovereignty and provide a chance to articulate possible strategies fit with a middle power country.

      • KCI등재

        위선과 무례함 그리고 사악함의 변주곡 : 북한 관련 '가짜뉴스'를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민낯

        김성해 ( Kim Sunghae ),란희 ( Kim Ranhee ),이주현 ( Lee juhyeun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2

        한국 사회에서 북한은 독특한 존재다. 민족공동체의 반쪽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전쟁 중인 적대국이라는 정체성이 혼합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뉴스는 국내 언론의 단골메뉴 중 하나며,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상에서 접하는 북한뉴스는 문제가 많다. 대부분 부정적이며, 진실이 아닌 경우가 많고, 공정성과 균형성과 같은 언론 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 명백한 오보로 밝혀진 때에도 제대로 된 정정 보도가 없다. 연구진은 이런 배경에서 신 냉전이 다시 한반도에 뿌리를 내리고, 북한의 안보위협은 높아지고, 남북 간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과 북한뉴스(특히 오보)의 관련성에 주목했다. 분석 대상을 주요 일간지에 등장한 북한과 관련한 오보 666건으로 설정한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분석 시기는 1993년부터 2020년까지로 설정했다. 관찰 지점은 두 가지다. 북한에 대한 오보가 주로 무엇과 관련된 것인지를 살폈다. 북한 지도부에 관한 것인지, 핵실험과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특정인의 망명이나 인권탄압 사례인지에 대한 분석이다. 다른 한편으로, 특정 오보의 최초 발신자가 누구인가를 밝혔다. 국내 뉴스와 마찬가지로 언론의 정상적인 취재인지 아니면 특정 의도를 가진 ‘누군가’에 의한 허위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게 목표였다. 북한 오보의 특성을 분석한 후 연구문제를 추가했다. 진보와 보수 정권에서 오보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는지, 배경은 무엇인지 살폈다. 다른 하나는 언론의 정파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이었다. 한 예로, 반공주의와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조선일보>와 민족통일을 사시로 내세우는 <한겨레>에서 오보를 대하는 방식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분석을 통해 몇몇 흥미로운 점이 밝혀졌다. 북한 오보가 우연이 아니라 미국의 대외정책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 첫 번째다. 또한, 북한에 관한 잘못된 정보가 특정 의도에서 유통되는 ‘가짜뉴스’일 가능성과 미국의 프로파간다와 관련이 깊다는 점도 드러났다. 끝으로, 북한 뉴스의 제약요인으로는 북한에 대한 정보부족, 국내 언론의 취약한 전문성 및 미국에 대한 높은 정보의존성 등이 확인됐다. North Korea lies in between ‘public enemy’ and the half of family. Korean media pay particular attention to North Korean news which has many things to do with public opinion, foreign policies, and collective identity accordingly. What deserves academic scrutiny is such a point that quite a lot of those news related to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false or myths interwoven with political agenda however. Taking the possible impact of such a wide rang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r, this paper thus attempts to analyze those fake news related to North Korea in terms of themes, sources and political contexts. The potential impacts of not only political regimes but also partisanship of the media were another point of inquiry. For this, total 666 articles published by major newspaper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from the year of 1993 to 2020.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f all, US foreign policy took a critical part in generating North Korean fake news varied by human rights violation, leadership collapse, and illegal activities like money laundering. It was found secondly that large portion of sources came from US, and its anti-communism allies including British, Australia, Taiwan, and Japan. This finding in particular sheds a light on possible existence of ongoing propaganda believed to be active during the Cold War. Finally, such factors a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 poo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geopolitics, and extremely high degree of knowledge dependency on US were called into play in media performance.

      • KCI등재

        전시작전권을 둘러싼 언론의 이미지 전쟁: 적과 아군의 정체성과 근거 프레임을 중심으로

        김성해 ( Sunghae Kim ),홍하은 ( Haeun Hong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1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시기가 기약 없이 연기되었다. 군사주권의 정상화를 요구하는 진보진영과 북한의 위협에 맞서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보수진영은 충돌을 이어간다. 언론 역시 공정한 중재자가 아닌 이해관계의 당사자라는 정황이 짙다. 본 연구는 이에 전작권을 둘러싼 언론의 개입 양상을 분석했다.『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및 『한국일보』 등 5개 신문사의 사설과 칼럼을 대상으로 분석기간은 2006년과 2010년으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언론의 담론 경쟁은 논리적 설득을 목표로 하는 프레임과 감성적 공감을 겨냥하는 이항대립의 이미지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정 주장과 낙인찍기를 활용한 언론의 정파성도 뚜렷했다. 언론의 역할은 무엇일까에 대한 질문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편협한 정파성을 넘어 보다 품격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언론의 길을 묻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South Korea and U.S. made a decision on postponing the due date fo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Fierce debate over the issue prevails among those experts who have revealed conflict of viewpoints. The potential costs charged to Korean society remains unknown. Given the reality of ‘Cui Bono,’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such discursive competitions mediated by the media. For the benefit of articulating image war, it first analyzed uses of languages employed to divide the friend and the enemy. Such media frames as ‘security defaulter, tax waster, security tout and flunkyism follower’ were adopted in addition. Final samples draw on five prestigious newspapers including Chosunilbo, Joongangilbo, Dongailbo, Hangyere and Hankookilbo by differing time span. Research reveals that the media take an active role not only in making identities but placing emphasis on selected frames. Both supporters and opponents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ir arguments equipped with reliable data as well. The reality that neither national interests nor public policies are immune from discursive war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디지털혁명과 전공학문의 진화

        김성해(Sunghae Kim),진민정(Minjung Jin)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1

        뉴스가 팽창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의 확산과 더불어 뉴스는 마침내 매체의 장벽을 넘었다. 텍스트 중심의 뉴스 포맷은 영상, 오디오와 인포그래픽이 통합된 형태로 발전했다. 뉴스 플랫폼이 다양해짐에 따라 각 플랫폼에 적합한 뉴스 포맷들이 등장했고, 뉴스의 형식이나 내용도 파격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이제 언제 어디서나 뉴스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학문은 특정한 시기, 사회적 필요성, 기존 연구성과의 축적 및 꾸준한 이론적 정교화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디지털혁명을 통해 뉴스의 일상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뉴스에 특화된, 뉴스와 관련한 제반 현상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뉴스학(newsology)을 제기하는 까닭이다. 그러나 기존의 학문이 아닌 뉴스학을 굳이 말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 뉴스학에서 동원할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자원은 무엇일까? 또한 뉴스학이 비전 있는 학문이 될 것이라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과거 심리학, 경제학 및 사회학 등과 마찬가지로 ‘뉴스’라는 공공재를 둘러싼 생태계, 이해관계자, 현상 및 확장 가능성 등이 성숙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그다음으로, 기존의 언론학, 커뮤니케이션학 그리고 정보커뮤니케이션학과 뉴스학의 차별성과 특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뉴스학이 전공학문으로 정착할 만한 학문적 자원을 갖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이 학문을 구성하는 주요 주제들을 살펴봄으로써 뉴스학의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탐색을 시도하고자 한다. Expansion of news is undeniable. The news breaks through all kinds of physical barriers with the help of digital revolution. News format represented by textual one has evolved into such integrated ones as hypertext, infographics, and digital writings. Also is it virtually impossible not to expose into news and its impact regardless of location, time and preference. This paper in this context projects the idea of ‘Newsology’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Modern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psychology and sociology owe much to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resulted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Unprecedented needs for making sense of and applying for transformations made it happen. The same logic can be employed to the news. Both lack of specialty and mingling with various fields also help to the emergence of newsology as a systematic and inclusive discipline. It is the reason why the second step attempts to sorting ou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mong related fields. On the last part, it explores possible sub-fields like news security, news diplomacy and news literacy in way of articulating. Until the mid 20th century, even psychology was not fully considered as systematic department in university. The evolution of academics shows, however, the power of imagination which drives vision into reality. Lots of steps along with difficulties are inevitable in the road for newsology. This paper will be likely to be a crucial bridge for it. The authors hope this essay to spur further discussion with insights.

      • KCI등재

        Professor Cho Kook’s Controversy and Discursive Politics of Witch Hunting

        김성해(Kim, Sunghae),성욱(Kim, Sungwoo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2

        전직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논쟁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한편에서는 정의실현으로 보지만, 다른 쪽에서는 마녀사냥으로 본다. 진실은 무엇일까? 본 논문은 이 사태를 언론에 의한 담론정치의 결과물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해 그 실체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문제는 두 개로 잡았다. 첫째는, 애초 별로 호응하지 않았던 대중이 조국에 대한 비판 담론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게 된 배경과 이 상황을 주도한 세력을 밝히는 작업이다. 둘째는, 배후세력 확인 과정에서 드러난 관련 언론사가 구사한 담론전략을 파헤쳤다. 관련 자료도 두 갈래로 구분된다. 담론주체를 밝히는 작업에는 인터넷 검색, 언론 보도, 각종 성명서, 학술적 논문과 저술 등이 활용되었다. 텍스트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표본으로 선정된 언론사에 실린 칼럼, 사설, 인터뷰, 분석기사 등에서 모았다. 분석결과, 첫째, 조국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공명할 수 있었던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추론되었다. 반공주의, 한미동맹, 발전주의 및 불공정 사회에 대한 집단적 거부감 등이다. 둘째, 담론정치를 주도한 세력으로는 <조선일보>를 축으로 하는 언론복합체가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그들은 한편으로는 동맹세력을 위해 자신의 상징광장을 대여해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뉴스라는 담론을 통해 직접 선수로 뛰었다. 그들이 활용한 담론전략은 셋째 ‘천사와 악마’ 낙인찍기로 밝혀졌다. 조국과 그의 가족,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를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한편, 특정한 프레임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끝으로, 보수언론은 이 과정에서 독립성과 전문성이 의심스러운 정보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했다. 반공주의와 한미동맹을 신성하게 생각하는 정보원이 특히 많았다. The controversy surrounding Cho Kook, a professor and former Minister of Justice, is still underway. While some argues he deserves such a series of mishaps, the others believe that he was victimized by Witch Hunting heralded by the conservative media. The truth remains at large. The authors sense, however, that the case can be the product of discourse politics cooperated by those who want the status quo in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authors explore two questions related to this controversial debate. First, this study explores to reveal why the public, which initially did not respond much to criticism discourse about its homeland, actively responded and the forces that led the situation. Secondly,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deciphering discursive strategies adopted by the media believed to collaborate with Christians, anti-Communists, North Korea fugitives, and U.S. government. With regard to the first topic, analysis shows at first that four factors including anti-communism, flunkyism toward America, development mentality, and collective feeling against unfair society were called into play while responding to target audience. It did also reveal that those beneficiaries of national division have taken a critical part either by participating in public demonstration or signing on statements. Final discovery lies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Angel and Devil’ elaborated seamlessly by logical, emotional and ethical arguments. Such tactics as agenda setting, framing, and sourcing were found in addition. The authors insist thus that what matters is not improving journalism quality but exposing the reality of discourse politics which stands in the way toward a peaceful unified nation.

      • KCI등재

        중앙정치의 능동적 해설자 혹은 수동적 전달자

        김성해(Sunghae Kim),이병욱(Byungwook Le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1

        국정원 개입논란은 지난 17대 대통령선거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재판은 진행 중이지만 불법 관권선거 의혹은 사실로 드러났고 국기 문란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전국을 무대로 하는 종합지들은 이런 배경에서 상당한 분량의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과 달리 지역지는 국가적 현안을 어떻게 보도할까? 단순히 중계자의 역할일까? 반대로 보다 적극적인 개입자의 역할일까?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국정원 선거개입 사건을 중심으로 지역 일간지의 공론장 역할을 평가했다. 공론장의 평가 항목으로는 의제의 공공성, 공적지식의 제공, 관점의 다양성과 집단정체성 역할 등을 설정했다. 분석대상은 주요광역시에 위치한 대표적 일간지인〈부산일보〉〈매일신문〉〈경인일보〉〈광주일보〉〈대전일보〉등을 선정했다. 국정원 사건이 처음 보도된 2012년 12월 11일부터 2014년 1월 17일까지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공론장 평가 결과, 지역언론들의 의제 공공성 부분은 미흡했다. 보도유형은 단순 스트레이트 기사가 대부분이었고 사설과 칼럼, 기획, 해설기사의 비중은 낮았다. 공적지식 전달에도 문제점을 보였다. 국정원사건 전달시 맥락정보가 많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정치적논쟁, 국정정상화 등 프레임은 다양했지만 보편적 가치의 전달 노력은 부족했다. 공론장 평가 기준의 자의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지역지의 공론장 품격을 평가함으로써 공론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The public can"t afford to be a public without the press which takes in charge of operating public sphere.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local newspapers in way of mediating national affairs such as illegal interferences into general election by the National Information Agency(NIA). This paper in this regard attempts to evaluate journalistic performance of five local newspapers including Maiel, Busan, Kwangjoo, Daejeon, and Kyungin-ilbo. While divid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sphere into public agenda, public knowledge, media frame and normative value, this paper analyzed column and editorials related to NIA scandal. Results showed not only the lack of attention to the subject but political biases along with poor quality of informa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most of local papers were inclined to be more a passive deliver than a positive interpreter.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status of local journalism, the authors urge to contemplate on possible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phere. It is believed that local journalists" professionalism helped by local expertise will be a good starting point.

      • KCI우수등재

        국제통화질서와 이지적 리더십

        김성해(Sunghae Kim)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보 Vol.52 No.3

        Not only is the current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based upon U.S. dollar an artificial one but it also embodies a set of problems such as deepening indebtedness of U.S. economy and repetitive currency crises. However, most of middle and small size countries largely fail to shed a critical light on structural dilemma of the system and instead pay primary attention to fixing domestic rules. This paper thus starts with the sense that such a phenomenon had much to do with an hegemonic order maintained by intellectual and moral authority of the ruling bloc. While proposing an intellectual leadership model, then,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adoptability of the model by looking at reproducing mechanism of dominant discourses across the international societies. For this purpose, total 300 articles related to the euro and dollar crisis have been analyzed in term of fram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U.S. news media as a part of the ruling bloc have been actively engaging in discursive battles not only for preserving dollar system but also blocking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onetary order. In acting an alternative bloc, instead, European and East Asian media attempted to challenge the status quo by pinpointing structural problems and proposing unorthodox remedies. South Korean media have reproduced hegemonic discourses though and resulted in helping U.S. media to reach out indirectly to Korean society. Putting these results into perspective, the author claims that U.S. intellectual leadership takes an essential part in successfully managing the curr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