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실코의 『죽은자의연감』에 나타난 반복으로서의 서사

        김성옥(Kim, Sung-o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주민 작가 실코(Leslie Marmon Silko)의 『죽은 자의 연감』(Almanac of the Dead)에 밀러(J. Hillis Miller)의 반복 개념과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스토리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밀러는 『픽션과 반복』(Fiction and Repetition)에서 모든 반복형식은 두 종류의 것이 모순적으로 서로 얽혀있다는 가설을 세운다. 즉 서구사상에는 두 가지 형식의 반복 –플라톤식 반복과 니체식 반복-이 있다. 플라톤식 반복은 통일성(unity)을 강조하는 것이며 니체식 반복은 차이(difference)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 두 반복은 서로 얽혀있고 이 정 반은 뗄 수 없이 교차하며 (이야기를) 다르게 반복한다. 밀러는 이 반복 개념을 통해 의미 찾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양한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인정하므로 비폭력적이고 끊임없는 소통을 하려는 것이 밀러의 반복이며 이것이 그의 윤리적 읽기이다. 『죽은 자의 연감』에서 지도와 욤(Yoeme)의 연감을 통한 스토리텔링은 밀러의 반복 개념과 같은 맥락에서 미국원주민들의 개인적 이야기, 역사적 이야기, 그리고 과거로부터 전달된 신화들을 다르게 반복한다. 밀러의 다시 읽기인 반복 개념과 실코의 스토리텔링은 단성적인 맹목을 드러내는 소통의 장을 찾는 윤리적 읽기이다. 본 연구는 밀러의 다시 읽기인 반복 개념과 실코의 스토리텔링이 저항보다는 차이의 인정을 통한 공존의 장을 지향하는 문학으로서의 글쓰기임을 분석함으로 윤리적 읽기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Oral tradition and storytelling are among the key characteristics alighted upon in Leslie Marmon Silko’s Almanac of the Dead. Together with J. Hillis Miller’s repetition as storytelling, through this study I seek to discuss the meaning of oral tradition and storytelling and the ethics of reading as represented in Almanac of the Dead. Miller’s main analytic device is the two kinds of repetition which he finds in the literary text. They are related to one another in a system of mutual implication and mutual contradiction. Each calls up the other, but it does not make sense to have more than one of them. Miller’s repetition leads to a time and space through which he reveals and explores human thought and personal,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rough the endless transfer of meaning. This study analyzes the repetition of Miller and the storytelling of Silko as an interaction between a literary work and criticism theory that can coexist through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rather than resistance.

      • KCI등재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에 대한 불교적 해석

        김성옥(Kim Seong oc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4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는 일반적으로 불교소설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이 소설이 과연 불교적인가에 관해서는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에는 기독교인으로서 정신적 세계에 일찍 눈 떴던 헤세가 ‘인도에서 불교로, 불교에서 중국으로’ 그의 관심을 옮겨갔던 종교적 편력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싯다르타』에 나타나는 불교적 특징을 고대 인도의 전통과 묶어서 설명하거나, 중국적 전통과 함께 동양의 지혜로 간주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의 작품세계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 『싯다르타』는 정신적 세계와 세속적 세계, 그리고 깨달음의 세계로 가는 3단계로 구성된다. 1부와 2부 사이에는 소설의 내용적 차이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져 있는데, 여기에는 세속의 번뇌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과 달리, ‘세속적 번뇌가 곧 깨달음’이라고 말하는 대승불교의 흔적을 뚜렷이 찾아볼 수 있다.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를 바라본다면, 아트만을 추구하던 싯다르타가 자아의 소멸을 위해 고행하며 자아를 부정하는 것에서 불교의 무아사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라는 중도적 관점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싯다르타의 궁극적 깨달음이 새로운 자아의 탄생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자아에 대한 관념 자체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는 불교적 관점과는 차이가 있다. 강가의 깨달음에서 싯다르타는 하나의 돌멩이에서 삼라만상의 모든 것이 걸림 없이 존재하는 단일성의 세계를 경험한다. 그가 말하는 단일성의 세계는 사물과 사물이 상입하고 상즉하는 사사무애(事事無碍)의 화엄법계에 닿아 있음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a Buddhist analysis on Hermann Hesse s novel Siddhārtha. It s difficult to ascertai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with one thing, because of his wanderings from India to Buddhism and from Buddhism to China . Therefore it needs to examine closely through the Buddhist doctrine. Siddhārtha is composed with three stages; the spiritual world, secular world and enlightenment world. Between part 1 and part 2, there exists a significant gap in the viewpoint on the mundane world. Unlike the teaching of Early Buddhism, Mahāyāna Buddhism says that the anguish is not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 It seems that this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provide mental stimulation to Hermann Hesse, who concerned about the reality of Europe and wanted to find utopia. First as a son of brahman Siddhārtha pursues the self, namely ātman. But he joins with śramaṇa and takes asceticism for the self extinction. Here we can find the doctrine of Buddhism, namely anātman. However his ultimate enlightenment is concluded to the rebirth of self. In this point there is a distinction from Buddhism, saying that it should be rid of the concept of self. Finally Siddhārtha attains an enlightenment, he experiences the world of unity. When he sees a stone in the river, he becomes to penetrate the everything of the universe. It means the realm of unhindered mutual inter-penetration of phenomenon and phenomenon, namely the universe of Huayen.

      • KCI등재
      • KCI등재

        개화기 한글 간찰의 음운론적 고찰

        김성옥(Kim Seong-ok),정태(Kim Jeong-tae)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10

        이 글은 동춘당 송 준길가 한글 간찰 중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간찰 80여 편을 분석하여, 개화기 한글 간찰에서의 음운론적 특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두 ‘ㄹ’이 ‘ㄴ’으로 변동되고, 어두 ‘ㄴ’은 i/y 앞에서 대부분 유지되는 가운데, 소수이지만 ‘량식→양식’과 과도 교정형 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개화기 한글 간찰에서의 어두 ‘ㄹ’ 탈락 현상은 일반화되었음을, 어두 ‘ㄴ’ 탈락 현상은 일반화되어 가는 단계임을 추정하였다. 둘째, ‘파열음+ㄹ’ 연쇄에서의 ‘ㄹ’비음화는 ‘파열음+ㄹ→파열음+ㄴ→[비음+ㄴ]’의 중간과정인 ‘파열음+ㄴ형’으로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는 어중의 음절 초 ‘ㄹ’을 ‘ㄴ’으로 표기하려는 당시의 표기경향에 따른 것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가 미실현형과 실현형으로 혼기됨을 확인하면서, 미실현형은 표기의 보수성으로 인한 이전 시기의 형태를 보인 것이고, 실현형은 당시의 실제 음운현상이 반영된 것임을 논의하였다. 그 외에 평파열음화, 어간말 ‘ㅎ’탈락현상, 반모음 첨가현상 등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개화기 한글 간찰에서는 실제의 언어 사실을 보여주기도 하였지만, 표기의 보수적 경향에 가려 있는 음운론적 사실 또한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bout 80 ganchals written in Dongchoondang Song Junkil’s family from the end of the 19<SUP>th</SUP> to the beginning og 20<SUP>th</SUP> century and consider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during enlightenment period. Its major contents ara as follow; First, it confirmed that though these Korean ganchals had the generalization that ‘ㄹ’ in anlaut changes to ‘ㄴ’. And through ‘량식→양식(1137)’ and interim correction form; ‘닐(事 1138), 니후(以後 1150)’ and etc., it was guessed that those days were an process of change where ‘ㄴ’ before i/y was shifting from being kept to being dropped out. Second, ‘ㄹ’-nasalization in ‘sibilant +ㄹ’ was not written as its actual phonetic form; [비음+ㄴ] but as ‘sibilant+ㄴ’ type, which is a middle stage of ‘sibilant+ㄹ→ sibilant+ㄴ→[nasal sound+ㄴ].’ Accordingly, it was discussed that ‘ㄹ’nasalization came in due to the then tendency to write ‘ㄹ’ amid a word as ‘ㄴ.’ Third, in vowel rounding and y-half vowel being dropped out behind sibilants, unrealized types and realized types were intermixed. Subsequently, unrealized types like ‘블의(不意 1066) and 셔모(1148)’ showed types used in their foregoing days due to the conservativeness of marking while realized types like ‘불분명(1151) and 서모(1189)’ showed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ose days. Besides, it analyzed flat plosiveness, ‘ㅎ’ being dropped out at stem end, half-vowel formation, half-vowel being added and etc. were analyzed.

      • KCI등재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에 관한 연구

        김성옥(Sung Ok Kim),정지숙(Ji-Suk Jeong),최영현(Yung Hyu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9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 쑥부쟁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쑥부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EEAY)의 항산화 효능이 항염증 효능과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AY는 H₂O₂ 처리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세포 독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Nrf2 및 HO-1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EEAY는 H₂O₂에 의한 apoptosis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caspase-3의 활성억제에 따른 PARP의 분해 차단과 연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EEAY는 대표적인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발현 및 생산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TLR-4 및 Myd88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아울러 EEAY는 LPS에 의한 염증성 매개인자인 NO의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EEAY에 의한 NO 생성의 억제 효과는 HO-1 유도제인 hemin에 의해 더욱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EEAY에 의한 산화적 및 염증성 스트레스에 대한 RAW 264.7 대식세포의 보호 효과에 최소한 Nrf2/HO-1 신호 경로의 활성화가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ster yomena (Kitam.) Honda is an edible vegetable and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Asteraceae family, an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lthough leaf extracts of A. yomena are known to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ccurate efficacy assessments are still inadequat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antioxidant efficacy of ethanol extract of A. yomena leaf (EEAY) is correlated with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RAW 264.7 macrophages. The results showed that EEAY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ydrogen peroxide (H₂O₂)-induced growth inhibition in RAW 264.7 cells, whic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EEAY pretreatment also effectively prevented H₂O₂-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nd apoptosis through inhibition of caspase-3 activation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degradation. Additionally, EE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interleukin-10, a representative anti-inflammatory cytokine, whic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4 and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 at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levels. Furthermore, the increas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by lipopolysaccharide was markedly abolished under the condition of EEAY pretreatment,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NO production by EEAY was further increased by hemin, an HO-1 inducer.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EEAY is able to activate the Nrf2/HO-1 signaling pathway to protect RAW 264.7 macrophages from oxidative and inflammatory stress.

      • KCI등재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저해 효과

        김성옥(Sung-Ok Kim),미려(Mi-Ryeo Kim),황경아(Kyung-A Hwang),박노진(No-Jin Park),정지숙(Ji-Suk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SP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및 축적 저해 효능을 조사하였다.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은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 fibroblast) 유래 지방세포인 3T3-L1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PPARγ, C/EBPα, SREBP-1c, pACC, pAMPK, CPT-1, 지방산 합성효소(FAS, fatty acid synthase)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효소(HSL, hormone sensitivity lipase)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SPE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대사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 및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활용한 비만 개선을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alvia plebeia R. Br. (Lamiaceae) has been used in folk medicines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The focus of our research was on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SPE) in 3T3-L1 adipocytes. This study investigated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upon SPE treatment in 3T3-L1 cells. The results reveal that SPE at non-cytotoxic concentration significantly suppressed triglyceride accumulation and reduced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as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 3T3-L1 adipocytes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cells. Inducible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etyl CoA carboxylase, and hormone-sensitive lipase as well as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mRNA expression increased upon SPE treatment, which suppressed expression of fatty acid synthas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PE can inhibit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in 3T3-L1 adipocytes. Our study suggests that SPE has potential anti-obesity effects and is a novel therapeutic functional agent with anti-adipogenic activity via reduction of lipogene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투고 논문 : “kesa :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비유에 관한 고찰

        김성옥 ( Seong Ock Kim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kesa’란 머리카락이나 털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교문헌에서 이것은 실재하지 않는 것이 실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 로 사용되고 있다. 즉 비실재의 현현, 허망분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유식이십론』에서 “이것은 오직 식일 뿐이다. 실재하지 않는 대상이 현현하기 때문에. 마치 눈병에 걸린 자에게 실재하지 않는 머리카락이나 [두 개의] 달 등이 보이는 것과 같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쁘라마나바르띠까』에서도 유식학파의 견해를 언급하는 경우, 눈병에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의 비유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인식방법과 인식대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 비유는 약간의 내용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즉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등은 대상이 아니며, 그 이유는 대상으로서 信解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기술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나아가 다르마끼르띠는 그것을 無分別似現量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른 類似現量이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有分別似現量임에 반하여, 특히 그것은 분별이 없는 것이지만 감관의 손상으로 인해 생겨나는 착오의 한 가지로 설명된다. 불교논리학파에서 ‘kesa’의 비유를 유식학파에서 말하는 ‘허망분별’의 의미와 달리 ‘착오’의 문제에 한정하여 언급하고 있는 것은 이 비유의 의미에 관해 진전된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의미상의 변화를 가져 온 학파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보다 면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etaphor `kesadi appearing to the taimirika`. It appears like hairs, flies etc. to the man(taimirika) who has the ocular disease. It alludes something to appear that does not have a real existence. The first eulogy in Twenty Verses(Vimsatika vijnaptimatratasiddhi) insists "the three realms are mind only. When internal consciousness is born, it appears resembling external objects of perception. Like the hairs, flies etc. that one sees nonexistent because of the diseased eye. And the first eulogy in Pramanavarttika, the representative writing in the Buddhistlogic written by Dharmak?rti, insists "instumental cognitions are of two kinds. Because there are two kinds of objects in accordance with having the capability of telic function(arthakriya) or not. Illusion such as the hairs that appear in the perception of a person who has an ocular disease are not objects(artha)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as the objects." The former, Vijnaptimatra school, insists that our empirical world is the mind only like the metaphor of the hair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not exist throughly. We can not help saying that it exists as aphenomenon of confusion(bhranti). When we understand them truthfully and they are disappeared, persons can obtain the emancipation from the life of ignorance(avidya). The latter, Buddhistlogic school, insists that the hairs are not the objects(artha) to be grasped. But in the perception it can be the object(visya) to be perceived. Namely they are the objects in particulars which are the nature of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such as "These are hairs" have the universals as their objects. Nevertheless, there is no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appearance of hairs does not have any object. They regard the hairs as a perceptional illusion which is caused by the defect of sense org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