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보로노이-테셀레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한 NUI를 위한 비주얼 터치 인식

        김성관(Sung Kwan Kim),주영훈(Young Hoon Joo) 대한전기학회 2015 전기학회논문지 Vol.64 No.3

        This paper presents a visual touch recognition for NUI(Natural User Interface) using Voronoi-tessellation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s are three parts as follows: hand region extraction, hand feature point extraction, visual-touch recognition.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hand region extraction, we propose RGB/HSI color model, Canny edge detection algorithm, and use of spatial frequency information. In addi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cognition of hand feature point extraction, we propose the use of Douglas Peucker algorithm, Also, to recognize the visual touch, we propose the use of the Voronoi-tessellation algorithm. Finally,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s through some experiments.

      • KCI등재

        『진실강요』에서 검토된 승론학파의 행위라는 범주

        김성관(Kim Seong-Kwan)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3 No.-

        본 논문은 적호(寂護, Santaraksita)가 승론학파의 행위라는 범주(Karmapadartha)를 그의 저서 『진실강요(眞實綱要, Tattvasamgraha)』의 제692~707송에서 비판 검토한 내용을 原典解譯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행위라는 범주의 비판은 적호가 『진실강요』 제547송~866송에서 승론학파의 실체(Dravya), 성질(Guna), 행위(Karma), 보편(Samanya), 특수(Visesa), 내재(Samavaya) 등 여섯 범주(Sad-padartha)를 비판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실체라는 범주의 비판과 성질이라는 범주의 비판 다음에 이루어진 것이다. 적호는 『진실강요』 제634송에서 실체라는 범주의 비판에 의해서 성질이라는 범주나 행위라는 범주 등의 비판은 당연하게 따라 나오는 것이라고 보았지만 그럼에도 실체 이외의 범주들에 대해서도 장을 달리해서 각각 세밀하게 비판을 거듭했다. 즉 그는 『진실강요』 제692송에서 승론학파가 주장하는 행위라는 범주가 사물들의 刹那生滅과 모순되기에 존재할 수 없음을 총체적으로 비판한다. 그런 후에 『진실강요』 제693송~695송에서 승론학파에 의해 행위라는 범주가 여섯 찰나 동안 지속된다고 주장됨을 소개한 후 『진실강요』 제696송~707송에서 이러한 주장이 오류임을 비판 검토한다. There have been the whole or partial translations of 『Tattvasamgraha』 from the Sanskrit original text and the studies of Atmavada, Epistemology, Linguistics, Ontology etc. in Tattvasamgraha from many years ago.Although 『Tattvasamgraha』 is such a significant text, Korean Buddhists have not produced any remarkable results on those subjects up to now.Therefore I think that we have to give an survey of Santaraksita and his works(particularly his work, Tattvasamgraha) as soon as possible. From such aspirations, I have studied on this thesis i.e. the Santaraksita’s Examination of the Vaisesika’s Category of ‘Action’ (Karmapadartha). The focus of this thesis is the translation of Sanskrit Text Tattvasamgraha’s 692~707 Hymns into Korean. In the Tattvasamgraha’s 692~707 Hymns, Santaraksita generally sets forth the object against the Vaisesika’s Category of ‘Action’ by the logical view point as “In things that are in a ‘perpetual flux’, any action is impossible ; because it ceases at the very place where it is born, and hence it cannot get at any other place.”

      • KCI등재

        다중 홉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최적 경로에 관한 연구

        김성관(Seongkwan Kim),이옥환(Okhwan Lee),이성주(Sung-Ju Lee),최성현(Sunghyun Choi) 한국통신학회 200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1B

        이 논문은 멀티 홉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적용된 라우팅 metric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얼마나 잘 찾는가에 관한 논문이다. 최근에 제시된 라우팅 metric은 Link Quality (LQ) 를 정확히 나타내도록 설계되어있지만, 많은 metric들은 그것을 기반으로 찾은 경로들이 얼마나 많은 비율로 최적의 경로를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증하지 않았다. 우리는 최근에 잘 디자인된 라우팅 metric들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프로토콜의 다양한 조합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라우팅에서 찾은 경로의 최적 정도를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무선 링크의 비대칭성을 반영한 metric을 위해서 단 방향성을 가지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만들어진 최적 경로의 비율이 살펴본 모든 라우팅 metric 및 프로토콜 그리고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서 네트웍 트래픽 양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many optimal routes can be established in terms of a given wireless mesh routing metric. Although many of routing metrics have been devised to precisely derive the wireless link quality in mesh, most (if not all) metrics have not been evaluated their optimality along with routing protocols. We consider stateof-the-art routing metrics and a widely accepted routing protocol in order to observe the optimality of established routes varying the number of source nodes. Also, we propose a unidirectional routing to deal with possible link asymmetry feature in wireless links. Through comparative simulation evaluations, we show that the portion of optimally established routes becomes less as the network traffic load increases, regardless of employed metrics, network topologies, and routing protocols.

      • KCI등재

        햅틱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나노스케일 가상표면에서의 나노리소그래피

        김성관(Sung-Gaun Kim) 한국표면공학회 2006 한국표면공학회지 Vol.39 No.2

        Nanoscale task such as nanolithography and nanoindenting is a challenging work that is beyond the capabilities of human sensing and precision. Since surface forces and intermolecular forces dominate over gravitational and other more intuitive forces of the macro world at the nanoscale, a user is not familiar with these novel nanoforce effects. In order to overcome this scaling barrier, haptic interfaces that consist of visual and force feedback at the macro world have been used with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as a manipulator at the nanoscale. In this paper, a nanoscale virtual coupling (NSVC) concept is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impedance scaling factors of velocity (or position) and force are explicitly represented.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for nanoindenting and nanolithography with different materials in the nanoscale virtual surface. The interaction forces (non contact and contact nanoforces) between the AFM tip and the nano sample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or through the haptic interface.

      • KCI등재

        연구논문 : 공관론(空觀論)의 무아사상(無我思想) -적호(寂護) 『진실강요(眞實綱要)』의 상주개아론(常住個我論) 비판-

        김성관 ( Seong Kwa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8 No.-

        적호寂護는 A.D. 7-8C 인도의 유가행자립논증파 공관론자로서 유가행(유식)불교와 중관학(공관)불교를 하나의 체계로 연결시킨 최정예 불교철학자이다. 『진실강요』는 인도철학 제학파들을 불교철학과 대비시켜 비판한 인도철학 전반의 백과사전이다. 적호는 『진실강요』에서 수론학파, 정리학파, 승론학파, 성론학파, 베단타 불이론 등 육파철학과 자이나 나의파 및 불교 독자부犢子部가 주장한 개아의 상주성, 단일성, 편재성, 포괄성 등을 비판했지만 대아인 진아의 존재를 적시摘示하여 비판하지 않았다. 붓다(Buddha)의 무아론이 개아(atman)의 상주를 비판한 것인가? 대아인 진아(Atman)의 존재조차 비판한 것인가? 하는 문제는 불교철학사 전반에 관련된 근본문제이다. 필자는 그동안 원전해역原典解譯을 중심으로 『진실강요』에 관해 고찰해 왔는데 이 논문은 이에 기반하여 적호가 『진실강요』에서 육파철학 등의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내용들을 집약集約함으로써 실유불성설이나 여래장설 등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적호가 수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Purusa]의 단일성·편재성·상주성과 근원물질인 원질原質[Prakrti]의 다양성·개별성·생멸성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정리·승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욕구의 기체基體로서의 저장통과 같은 원인이면서 ``상기想起’의 단일한 원인이라는 주장의 논거가 비결정적임과 욕망 등은 계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상주하는 개아 속에는 있을 수 없음을 비판한 것이다. 성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인지하는 자이기 때문에 영원하면서 하나”이며 “생성 소멸하는 고락苦樂 등이 상주개아 속에 혼융된다”.라는 주장의 모순과 “‘내가 안다’라는 관념 속의 ‘나’라는 생각이 인지행위자를 알게 한다”.라는 주장의 ‘나’라는 관념은 업력 때문에 발생한 근거 없는 것임을 비판한 것이다. 베단타 불이론의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의 단일성과 영원성을 비판한 것이고 자이나 나의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포괄과 배제의 두 성질을 모두 지닌 심心이라는 주장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불교 독자부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영혼이 온蘊과 다르다고도 다르지 않다고도 할 수 없다” 는 주장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Santaraksita is a excellent Buddhist-Philosopher as Yogacara-Svatantrika- Madhyamika of Sunyavada who builds a bridge across the Yogacara(Vijnanavada) from the Madhyamika(Sunyavada) in India(A.D.7-8C). Tattvasamgraha is a sort of Encyclopaedia in which Santaraksita criticizes the India-Philosophies of six systems etc. for the truth of Buddhism. Santaraksita criticizes the eternity, uniqueness, omnipresence, inclusion of atman(the individual ego) of Samkhya, Nyaya·Vaishesika, Mimamsa, Vedanta Advaita, Jaina Digambara, Buddhist Vatsiputriya, but does not criticize the true self(Atman) explicitly. The Core-Subject of Buddhist-Philosophy is the question Whether Buddha`s anatmavada criticizes the eternity of the atman(the individual ego) only or criticizes the true self(Atman) together. Because this Subject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Buddhadhatuvada, and tathagatagarbhavada etc. as Mahayana Buddhism is the orthodoxy or the heresy from Buddha`s anatmavada. I have studied on Tattvasamgraha of Santaraksita during that time, now on the basis of the study, I have studied on Santaraksita`s critique of the eternity of the atman(the individual ego) with the hope which this study will develop the study of Buddhadhatuvada, tathagatagarbhavada etc with the relationship of anatmavada. Santaraksita radically confutes Samkhya`s atmavada by the contradiction in Purusa with Prakrti, and Nyaya·Vaishesika`s atmavada by the indetermination of atman as the substance and the unique cause, and Mimamsa`s atmavada by the contradiction of the eternity and uniqueness of atman as the recognizer and the contradiction of the fusion of ``pleasure and pain`` etc. in atman, and Vedanta Advaitavada`s atmavada by the indetermination of the uniqueness and the eternity of atman, and Jaina-Digambara`s atmavada by the contradiction of atman as the inclusive and the exclusive, and Buddhist Vatsiputriya`s atmavada by the contradiction of atman as separation and non-separation from the panca skan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