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지하수의 공공적 관리와 공동자원 개념의 도입

        김선필(Seon-Pil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2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제주 지하수는 80년대 후반 ‘공수’ 개념이 적용되면서 사유화를 지양하고 국가에 의한 공공적 관리가 실시되었다. 하지만 제주 지하수는 2007년 이후 경제재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개발 사업에 노출되었고, 제주도청의 지하수 관리 정책은 보전보다는 개발 친화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국가에의한 개발과 보전 정책 모두를 포괄하는 ‘공수’ 개념은 이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지하수 관리 정책이 개발과 보전 논리 가운데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를 미연에 예방하고, 그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그것을 효과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이론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공수’ 개념을 보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공동자원’ 개념을 제안하며, 제주 지하수를 ‘공수’이면서 동시에 ‘공동자원’으로 정의한다. ‘공동자원’은 ‘일반적 비배제성’과 ‘특정한 비배제성’을 통해 지하수 관리 범위의 한계를 지적하는 비판적 이념으로 작용한다. The development policy of Jeju Underground Water(JUW) was begun in the 1960s. As development project was carried forward on larger scale, Jeju civil society was very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exhaustion and pollution of JUW. Therefore, JUW has been defined ‘Public Water’ by some scholars and the local mass media from the 1980s. Public Water means that some natural resources(=JUW) must be managed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in view of the publicness of JUW. As a result, Jeju Province had publicly managed the exploitation of JUW from the late 1980s. Since 2007, new government of Jeju Province and some developmentalists recognized JUW as a commodity and raised the concept of economic goods. The concept of ‘Public Water’ has covered developmental agendas as well as preservational ones, therefore, it can’t deal with this new situation, government-centered developmental projects. This paper suggests that JUW is both ‘Public Water’ and ‘Common Pool Resource(CPR)’. CPR is some natural resources which have two specific characteristics, ‘general non-excludability’ and ‘special non-excludability’. It could work as a critical idea to the concept of ‘Public Water’, because it is the concept which questions whether extrem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JUW could be justified or not.

      • KCI등재

        한국 천주교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 전개과정과 신학적 함의

        김선필(Kim, Seon-Pi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1

        2017년, 한국 천주교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은 10주년을 맞이했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 천주교회는 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 주체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 천주교회의 반대운동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때문에 해군기지 반대운동 10주년을 넘긴 현 시점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활동과정을 정리하고, 그것의 신학적 함의를 논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회의 해군기지 반대운동 과정을 주요 국면별로 정리하고, 그것이 한국 천주교회에 던진 함의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한국 천주교회가 교계제도와 전례행위 등과 같은 조직적 특성을 통해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수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천주교회의 해군기지 반대운동은 지역사회와의 화해, 사회참여의 지향, 교회 쇄신과 같은 중요한 신학적 함의들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한편 해군기지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의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검토하는 것은 교회의 현재 모습을 글로 기록하고, 앞으로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물론 교회의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정리하고 평가하는 작업은 계속 이루어져야 하고, 그 속에서 또 다른 교훈을 얻어나가야 할 것이다. 본고를 계기로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한국 천주교회의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신학적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The year 2017 marked the 10th anniversary of the Catholic Church’s Anti-Naval Base Campaign in Jeju. Over the past decade, many 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is case have gathered in Gangjeong village. However, there is a subject of study that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It is the activity of the Church leading the Campaign. Anyone who went to the Gangjeong village could have recognized the activities of the Church. But there was no study Compiled of the Church’s activities in the Campaign. Aware of this situation, I recorded the activities of the Church over the past decade in Campaign and from this I drew up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So I used the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interview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orean Church was able to continue the Campaign through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organization such as the hierarchy and it’s liturgical celebrations. Also, through the Campaign, important issues such as reconciliation with the community, the direc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hurch renewal were raised. So this paper is outlineing the process of the Church’s activity and considering the vision of Church as meaningful. Of course, these works should continue. From now on, I hope that various theological discussions about social participation of the Church will be encouraged.

      • KCI등재

        일반논문 : 제주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논쟁과 공공성의 재구성

        김선필 ( Seon Pil Kim ),정영신 ( Young Sin Jeo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의 목적은 2011년 이후 제주도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을 공공성의 관점에서 재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공공성의 개념을 재구성하여, 그 과정 과 절차의 측면에서는 민주적 공공성이라는 이념형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적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공공성의 내용의 측면에서는 국가공공성에서 생활공공성과 지방공공성으로의 전환에 주목하였다. 한편으로, 소규모학교 통폐합을 둘러싼 논쟁에서 도교육청은 공론장을 형성·주도하였으나, 정보의 공개나 관련자들의 제한없고 동등한 참여를 보장하는데 한계를 보임으로써 민주적 공공성을 획득하는데 실패하고 ``도구적`` 단계에 머물고 말았다. 다른 한편으로, 도교육청이 국가 주도의 국가공공성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교육행정을 추진한 반면, 지역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은 학교를 지역사회의 공공의 공간이자 지역공동체 유지에 필수 적인 공동재로 파악하는 생활공공성·지방공공성의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있었다. 현재의 소규모학교와 관련한 교육정책이 민주적 공공성의 성격을 획득 하기 위해서는 규범적 정당성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교 와 교육의 문제가 지닌 지방사회적 맥락에 보다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policy of integrating and abolishing small schools (PIASS) in Jeju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order to analysi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publicness, and focused on change from national publicness to life publicness or local publicness. On the one hand Jeju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JPOE) has led public sphere in the argument of PIASS, but failed to get democratic publicness. So, it ended up being a instrumental stage. On the other hand, local community members thought that School is fundamental common pool resource of local community. Then they looked at PIASS with life publicness or local publicness. Accordingly, in order to get character of democratic publicness, the policy of PIASS must reinforce normative legitimacy, in which have to pay attention to local social context.

      • KCI등재

        학생의 인권감수성 분석과 학교인권교육의 방향 -서귀포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선필 ( Seon Pil Kim ),염미경 ( Mi Gyeung Yeum ) 한국법교육학회 2013 법교육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고등학생의 인권감수성을 통해 학교인권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향후 인권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질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서귀포시 소재 5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88명이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다. 먼저 서귀포시 고등학생들의 인권감수성은 전반적으로 낮았는데, 행동 영역인 책임지각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문계 학생보다는 전문계 학생,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그리고 성적이 중위권 이상인 학생보다는 하위권 학생의 인권감수성 점수가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고, 인권교육의 경험 유무 또한 학생의 인권감수성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권항목별로 인권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 자신과 관련된 인권항목에서는 인권감수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자신과 무관한 인권항목에서는 인권감수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 사이에 다수를 위해 소수가 희생되어도 무방하다는 의식이 팽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에 기반해 향후 학교인권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면, 먼저 인권의 행동적 영역에 대한 교육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전문계 학생과 남학생 그리고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 대한 인권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자신의 권리보다 타인의 권리 그리고 소수자의 권리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그에 맞는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적 영역의 인권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direction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is is based on human rights sensibility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gwipo area, Jeju-do. The subjects were chosen 188 persons in the second-year students in five general high schools in Seogwipo area. This research made analyzed questionnaire, and next analyzed a data from it. The questionnaire made inquiries about variable of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human rights sensibility analysis tools. The analysis used SPSS 12.0 for Windows. To find out this relation, the research questions below were set. The first question is what is the result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f students. The second one is what ar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ensibility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students. The third one is what is the result of human rights sensibility of students depending on each human rights category is included this study. The results in this article are like below. Firstly, there seems to be a little low level about human rights sensibility of students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is Specially low level. Secondly, there seems to be human rights sensi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ower tha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s it, boy students`s it lower than girl students`s it and low graded students`s it lower than middle and high graded student`s it. Additionally, there seems to be high level about human rights sensibility are related to themselves. But there seems to be low level about human rights sensibility aren`t related to themselves. The suggestions in the study are like below.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human rights education, because there seems to be low level about human rights sensibility of students. Specially, according to low level about the perceived perception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be interested in education about an actio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be very sensitive about human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oy students and low graded students are shown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ust learn to recognize and respect rights of others and to act along those.

      • KCI등재후보

        3자유도 구형관절 재활운동기기의 기구학 및 동역학 해석

        김선필(Seon-Pil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09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4

        노인의 평형성 향상과 근력강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기기 개발을 위해 병렬형 구형관절 모듈을 채택하였다. 병렬형 구형관절 모듈은 링크 2개, 회전관절 3개의 조합으로 된 다이애드 3조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모든 회전축은 모듈의 중간 위치에 교차하여 3자 유도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형관절 모듈의 기구학 및 동역학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제어프로그램을 위한 순방향 및 역방향 위치해석에 대한 수학적 해석해를 도출하였다. 속도 및 가속도해석에서는 임의의 다이애드 내의 관절속도 및 가속도에 대한 상판 속도 및 가속도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운동기구로서 사용하기위해서 50대 이상 한국인 표준 남성에 대한 모델을 선정하여 동역학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러한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kinematic and dynamic analysis of a spherical three degree of freedom parallel joint module, which is used in the exercise equipment for balance and leg-strength improvement of aged people. The joint module has three dyads which consist of two links and three revolute joints, and their all joints intersect at the global point located at the module’s center. The paper shows the explicit mathematical procedure for deriving the closed form solutions in the inverse and forward position analysis of this parallel joint module. In velocity and acceleration analysis, we derived relations for joint velocities and accelerations of dyads and rotational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the top plate. For applying this module to rehabilitation exercise, we determined the dynamic model of the Korean males in their 50s and examined the model’s results by dynamic model simulation.

      • KCI등재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의 제주 문화 인식

        김선필(Kim, Seon-Pil),김치완(Kim Chi-W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제주 섬 전체가 개발 광풍에 휩싸여 있는 이유는 제주 사람이 아닌 ‘타자(他者)’에게서 찾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주를 척박한 땅으로 호명했던 것도, 신자유주의가 비껴난 핫플레이스로 호명하고 있는 것도 타자이기 때문이다. 제주 사람은 타자들의 이러한 호명에 충실하게 응답할 뿐 아니라, 스스로를 소외시킨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에서 제주사회에 서구적 근대성이 침투하기 시작한 한말시기에 주목하려고 한다.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주 사람의 인식은 서구적 근대성에 기초한 한국사회의 근대화, 산업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가 제주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통해서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려고 한다.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는 천주교 신앙과 서구식 교육을 통해 서양적 가치관과 지식을 내면화한 인물이라는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점을 밝히기 위해, 우선 한말 천주교회의 선교지 인식과 제주사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당시 서양인선교사들의 눈에 비친 조선과 제주가 계몽과 구원의 대상이었다는 점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조선인 성직자들에게서 이런 인식이 좀 더 강화된 형태로 드러난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조선인 성직자들의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양성된 조선인 성직자들 가운데서 특히 1899년에 제주도에 최초로 파견된 김원영 신부의 저서인 『수신영약(修身靈藥)』을 분석하였다. 이 책에서는 제주의 풍습과 민간신앙을 다루고 있는데, 서양인보다도 오히려 더 계몽주의적 태도로 조국 조선을 평가하면서 조선의 변방인 제주를 이해하는 조선인 성직자의 태도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이를 통해 중심부로부터 제주사회에 이식된 타자의 시선의 실체와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whole Jeju island is overwhelmed by development craze should be found not by Jeju residents but by ‘others.’ It is because others had been calling Jeju a barren land and a hot place where neoliberalism deviated. Jeju residents not only sincerely respond to the call of others but also estrange themselves. From the critical mind, this study is going to pay attention to the late period of Joseon when western modernization infiltrated. It is because the cognition of Jeju residents that development is required was creat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based on wester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of Jeju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It was because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the last Joseon has a unique identity that they internalized western values and knowledge through the Catholic religion and western education. In order to disclose this point, this study reviewed the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and the Juju society. At that time, it was not new at all that Joseon and Jeju considered by the western missionary were the objects for enlightenment and salvation. However, it examined the training course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this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became reinforced, In particular, Susinyeongyak(修身靈藥) written by priest, Wonyeong Kim(金元永, 1869-1936), who was dispatched for the first time to Jeju in 1899 was analyzed among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trained in this way. This book handled the customs and folk beliefs of Jeju, evaluated Joseon in a more enlightened attitude than Westerners, and clearly described the attitude of a Catholic priest of Joseon, who understood Jeju, a backwater of Joseon. Through this, the actual conditions and contents of other’s viewpoint implanted into the Jeju society from the center can be guessed.

      • KCI등재

        일반논문 :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최현 ( Hyun Choe ),김선필 ( Seon Pil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이 논문은 바람이라는 공동자원이 제주에서 사유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반작용이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고, 제주의 바람과 공동자원론 간의 상호관계를 검토했다. 이를 통해 공동자원론에 입각한 제주 바람의 공공적 관리방식을 모색하려고 했다. 예로부터 바람은 제주도민들에게 고난과 역경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오늘날에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경제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제주도에 풍력발전단지가 들어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풍력발전개발과정 가운데 불거진 여러 가지 사회적 갈등은 제주사회가 제주의 바람이 지닌 공동자원적 속성에 주목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는 제주의 바람을 공공의 자원으로 규정하는 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풍력발전에 관해 독점적인 권한을 갖게 된 제주도청은 풍력발전지구 선정과정 가운데 자본에 유리한 행정적 조치들을 빈번하게 시행하고, 풍력발전개발에 따른 이익을 도민사회에 환원할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제주사회 전반에 바람자원의 사유화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공동자원론이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논리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또한 제주의 바람 사례가 공동자원론에 주는 함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검토했다. 이를 통해 공동자원론은 제주의 바람의 공공적관리가 정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공동자원 개념은 제주의 바람과 제주도민의 역사적.지리적 관련성을 수용하고 바람에 의해 제주도민들이 겪는 피해에 따른 도민들의 특별한 권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제주의 바람 사례는 공동자원 관리가 왜 반드시 협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보여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sses of privatization of the wind as a common pool resource(CPR) and the countermovement in Jeju. It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d in Jeju and the CPR theory, in order to seek a way to manage publicly the wind in Jeju. The people have regarded the strong wind harmful from old times in Jeju. Today, however, they start to recognize that the wind is an economic good to generate electric power. However, there are various social conflict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wind farms are built. Therefore, the people made the rule that defines the wind as a CPR and let the Provincial Government manage it in Jeju. However, Jeju Provincial Government unfairly assignes the rights to build wind farms to big companies and invokes public discontent. This situation suggests as the followings. (1) The CRP Theory is applicable to the wind in Jeju. (2) The concept of CRPs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allow the privilege to the local people who suffer from the CRP like the wind. (3) It is necessary to connect CPR Theory to governanc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