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교 부문] 한국그리스도교의 토착화 관점에서 비추어 본 토마스 머튼의 영성 - “한국 그리스도 사상 연구소”의 지난 30년간 활동을 되돌아보며 -

        고계영(Ghye Young, Ko)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심상태 몬시뇰을 중심으로 1991년 “한국 그리스도 사상 연구소”가 설립된 이래, 오늘날까지 토착화 및 복음화 활동을 전개하는 가운데, 영성의 토착화를 위하여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의 사상을 함께 연구해 왔다. 그 까닭은 토마스 머튼이 트라피스트 봉쇄 수도원에서 관상 생활을 하면서 동양의 신비적 사상을 그리스도교적으로 수용하여 그리스도교 사상과 동양의 종교적 사상을 조화시키고자 애썼고, 종교 다원적인 특성을 지니는 그러한 그의 영성이 다양한 종교 문화 안에서 그리스도교 영성생활을 하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에게 훌륭한 길잡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 그리스도 사상 연구소”에서 발표한 머튼에 관한 논문은 17편이다. 이를 몇 가지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신비 신학적 관점에서 조명된 논문은 3편이고, 미학적 관점에서 조명된 논문은 2편, 생태 신학적 조명 1편, 종교 심리학적 조명 1편, 동양 사상과의 비교 6편, 성소의 관점 2편, 평화 영성의 관점 1편, 공동체 영성의 관점 1편이다. 이 가운데 영성의 토착화 관점에서 특별히 평가할 수 있는 논문은 머튼의 관상을 연구한 논문 1편과 머튼의 인격을 종교 심리학적으로 연구한 논문 1편, 그리고 머튼의 사상과 머튼의 영성을 비교 종교적인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 6편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 그리스도 사상 연구소”를 중심으로 영성의 토착화를 지향하며 연구되고 발표된 토마스 머튼에 관한 논문들은 이 연구소가 그동안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하여 일구어낸 소중한 영성적 결실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제 그러한 결실을 바탕으로 그리스도교 영성이 한국 교회에서 점차 뿌리 깊게 토착화될 것이고, 이를 위하여 장차 머튼의 관상과 불교의 선 혹은 머튼의 신비체험과 동양의 신비주의 등이 체계적으로 비교 연구되는 가운데 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과학 기술 문명이 극도로 발달하고 물질 문명이 더없이 풍요롭게 발달한다 할지라도, 과학적 및 물질적으로는 해결 불가한 죽음의 문제와 참된 행복의 문제로 말미암아, 인간의 영성적 갈증은 계속될 것이며, 이 갈증은 신앙의 차원이 아니고서는 결코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추어 보아도, 그리스도교 영성의 토착화는 이 시대에 절박하게 요청되는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고, 토착화의 관점에서 전개되는 토마스 머튼의 영성에 대한 연구는 그러한 영성적 갈증에 대한 일종의 응답이 될 것이다. Since Honorary Mons. Sang-Tae Shim has established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1991, while going on the evangelization and inculturation, this institute has been specializing on the thoughts of Thomas Merton (1915~1968) for the deeper spiritual inculturation. Because Thomas Merton (1915-1968) has done his best efforts to embrace the Asian Mysticism into Western Christainy, harmonize the Asian Religious Thoughts and Western Christianism, and suggest the best guidance for Korean Christians how to apply the Christian Spirituality to us in the multicultural religious diversity. During the past 30 years,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has issued 17 papers on Thomas Merton. Let me categorize those papers into following themes: 3 (on Mysticism), 2 (on Esthetics), 1 (on Ecological Theology), 1 (on Religious Psychology), 6 (on the Comparative studies with Asian Thoughts), 2 (on the vocation), 1 (on the Spirituality of Peace), 1 (on the spiritual sense of community). In terms of inculturation, these papers are drawing our attention for evaluating their contributions: 1 (on the Contemplation of Thomas Merton), 1 (on the Religious Psychological Study of Thomas Merton’s persona), 6 (on the Comparative religious study of His Thoughts and Spirituality). So far,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has pursued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at sense, those papers upon specializing the idea of Thomas Merton in various terms/themes beared the abundant spiritual fruits in the Korean Christianity. Now, upon those precious outcomes, I believe in the possibility that the Christian Spirituality could spread deeper root toward the better inculturation. In order to make this goal realize, we need to take a further step to compare systematically Merton’s contemplation with Buddhistic Zen or Merton’s mysticism with Asian Mysticism, etc. Nevertheless, the science and IT could flourish extremely well, the matter of human death and true happiness could not be resolved by scientific, materialistic culture. Moreover, people will not stop yearning for the ‘something-beyond’ with their great spiritual thirst. It is no doubt that the only definite medicine for that desire is our true Christian faith. By that reason,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s absolutely urgent task in perspective with sign of times. In the same time, various studies on Thomas Merton in viewpoint of inculturation could be a reliable answer to those spiritual need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Christians.

      • [토착화 부문] 토착화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 그 성찰과 전망

        황경훈(Kyung Hoon, Hwang)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 논문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지난 30년 동안 『한국그리스도사상』에 발표하고 축적한 신학과 종교학 관련 연구, 특히 그 가운데서도 ‘토착화’ 주제 논문 15편을 다룬다. 이를 평가한다고 함은 그간 연구소가 천착해온 토착화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연구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가늠해보자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논문 15편을 평가하는 데에서 지적된 것처럼 토착화 신학연구가 종교문화 중심으로 쏠려 있는 현실에서 토착화 미래 전망과 관련해 ‘사회적 토착화’라는 개념을 주요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토착화 논의가 주로 종교문화적 토착화에 집중해왔고 또 일정한 성과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포함하지 않은 약점이 지적되었고, 이것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사회적 토착화’라는 용어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토착화의 전망을 사회 경제적 개념의 토착화로 확장해 내면서도, 다른 한편 기존의 종교문화의 토착화도 ‘과거의 종교전통종교이나 문화’로의 뿌리내림이 아니라 현대인과 호흡하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자리잡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먼저 ‘토착화’라는 용어가 갖는 주객이원론적 측면을 발전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문화적 상호성’(inter-culturality)을 바탕으로 두 문화가 주객의 구분없이 공평하고 동등하게 만나는 ‘상호적 종교문화간 신학’(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이 제안될 수 있다. 이는 서구 신학의 산물이자 식민지 시대의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이원론의 극복이면서, 동시에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타자성과 다양성을 적극 포용할 수 있는 후기근대에 적합한 신학의 방향이라고 보인다. 나아가 세상을 향한 교회의 공적 역할을 뒷받침할 할 수 있는 신학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현재의 토착화 신학이 바뀌어야 한다. 공적 신학은 하느님 나라라는 더 큰 지평에서 전 인류의 공통 관심사를 숙고하고 실천하는 문제와 씨름함으로써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포용적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보인다. This paper deals with 15 papers on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published and accumulated by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the past 30 years, especially ‘Inculturation.’ Evaluating this means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studies of Inculturation that the institute has been exploring so far, and envision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institute. As pointed out in evaluating 15 paper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social Inculturation”as a major alternative in relation to the future prospects of Inculturation in the reality that inculturation theology has been much stuck to religious culture. Although discussions on inculturation have focused on religious and cultural inculturation, and even if there have been certain achievements, weaknesses that do not includ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have been pointed out, and the term Social Inculturation symbolically shows in which direction this should go. While expanding the prospect of inculturation to that of socioeconomic concepts, it also suggests that the inculturation of existing religious cultures should not be rooted in traditional religions or cultures of the past” but one of various modern cultures. As a methodology to do this, ‘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 in which the two cultures meet fairly and equally based on inter-culturality, can first be proposed to change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term inculturation. This is a product of Western theology and a relic of the colonial era, overcoming dualism,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be a suitable direction for post-modern theology that can actively embrace ‘otherness’ and ‘diversity’ in a pluralistic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e current theology of inculturation should be changed to emphasize the public nature of theology that can support the churchs public role in the world. Public theology should help build a more inclusive community in a pluralistic society by wrestling with the problem of deliberating and practicing the common interests of all humanity in the greater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seems to be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 [제1주제 토착화 부문]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설립 30주년 기념평가 종합진단 - ‘토착화 부문’

        한창현(Chang-Hyun Han)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2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9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는 설립 30주년 맞이하여 일차로 문헌평가와 델파이 조사의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두 가지 작업의 목적은 그동안 해왔던 작업에 대한 평가와 향후 방향성 재고를 위한 토대 마련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토착화신학에서 공공신학으로 방향을 전환할 것인지, 아니면 토착화 전문기관이라는 이미지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미지 유지에 대한 당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토착화 신학의 위상 자체를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공공신학으로 전환하기 전에 교회의 공적 역할과 관련하여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이바지해 온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공공신학으로 전환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요구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활동에 관한 통시적 연구가 추가로 요구되며, 생태신학을 참고하여 토착화신학에 대한 정체성 설정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celeb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Christian Thought Institute, the first two works were literature evaluation and Delphi research. The purpose of these two works is to evaluate the work that has been done so far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re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To this end,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will change its direction from inculturation theology to public theology, or whether it will maintain its image as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inculturation. In order to verify the justification for maintaining the image, the status of inculturation theology itself should be reviewed fir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relation to the public role of the church before converting to public theology.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at what level the conversion to public theology is specifically required. To this end, additional diachronic research on the activities of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s required, and it will be possible to try to establish an identity for inculturation theology by referring to ecological theology.

      • [종교 부문] 경쟁에서 화쟁으로 :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대화

        최영균(Young-Kyun Choi)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이 연구는 그리스도사상연구소의 토착화 신학연구 작업에 있어 불교와의 종교간 대화를 분석하고, 그것이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하려는 목적성을 갖는다. 1549년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동아시아에 선교의 씨앗을 뿌린 이래, 그리스도교는 현지 문화의 적응을 위해 불교의 문화적 상징과 언어를 적극 수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민중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문화권력을 선점하기 위해 불교와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게다가 그리스도교는 유교가 국가이념이었던 중국과 조선에서는 유교의 인정을 받을 필요가 있었고, 유교와 갈등 관계에 있었던 불교와 대립의 양상을 보여왔다. 그러나 지난 세기 대립과 갈등의 흐름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기점으로 변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에서 그리스도교 신앙과 신학의 토착화를 연구하는 그리스도사상연구소는 불교 및 원불교와 상생적 이해의 대화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종교간 대화는 교리, 영성(수행), 사회적 실천이라는 범주에서 종교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리스도 신앙의 함의에 대해 고찰한다. 끝으로 그리스도교와 불교 및 원불교와의 대화안에서 이루어지는 토착화 신학의 미래전망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토착화 신학의 방법으로써 종교간 대화의 노력은 그리스도교의 현지 적응과 민중들의 삶에 공감을 얻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토착화 신학에서 이루어지는 불교 및 원불교와의 대화는 종교의 공공성 역량 확대에 도움이 된다. 셋째, 종교간 대화에서 이루어지는 토착화 신학은 한국학(Korean Study) 혹은 지역학(Area Study)적 관점이 고려됨으로써 한국 신학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igious dialogue that’s taking plac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in the studies of inculturation theology led by the Korean Christian Thoughts Institute(KCTI). It also aims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 future perspective. Since Francis Xavier sowed the seeds of missionary work in East Asia in 1549, despite Christianity’s willingness to accept Buddhist’s symbolic meanings, its language and embrace the local culture, Christianity had taken a confrontational stance against Buddhism in order to captivate peoples mind with its cultural power. In addition, Christianity needed to be accepted by Confucianism which had been a nationally spread ideology in China and Joseon dynasty at that time. Christianity was in confrontation with Buddhism which was opposed to Confucianism. However,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historical trend of confrontation and turmoil between these religions during the last centurie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took place. In line with the idea of the Council, the KCTI, which academically deals with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has been conducting dialogues of mutual understanding with Won Buddhism as well as Buddhism. This study aims to consider what the implications of inculturation are for the Christian faith by looking in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religions in the categories of doctrine, spirituality(performance), and social practice. In conclusion, three future prospects are drawn regarding the inculturation theology, more specifically on the dialogues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including Won Buddhism. First, putting an effort to lead an inter-religious dialogue as a method of inculturation theology could be a strategy for Christianity to adapt to the local culture and to the lives of the local people. Second,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the inculturation theology could broaden public’s capacity to embrace different religions. Third, inculturation theology can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heology, broaden the scope of Korean Study or Korea’s Area Studies.

      • [델파이조사 부문] 델파이 조사 결과에 나타난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사 평가와 미래 방향

        박문수(Moon-su Park)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고는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이하 한그사연) 30년 역사를 평가하고 향후 30년을 준비하기 위해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를 다루고 있다. 이 조사는 정책 델파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에는 전문가 17명이 패널로 참여하였다. 이 조사 응답자들은 연구소 대표 이미지로 토착화와 심상태 몬시뇰을 들었다. 대표 성과로는 한그사연이 한국교회에서 토착화 전문 연구기관으로 인정받게 된 점을 들었다. 한그사연의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는 토착화에 중점을 두면서 맥락적 연구를 보강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연구 인력과 재정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대체로 응답자들은 한그사연이 이런 방향을 택하고 미비한 점들을 보완하면 10년 후 미래가 밝을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전망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conducted to evaluate the 30 year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below KCTI) and prepare for the next 30 year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a Policy Delphi manner. 17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s a panel. Respondents to this survey cited inculturation and Monsignol Sim as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institute. As a representative achievement, KCTI was recognized as a research institute specializing in inculturation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CTI, it would be best to reinforce contextual study while focusing on inculturation. And for thi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manpower and finance. In general, respondents optimistically predicted that the future will be bright in 10 years if KCTI takes this direction and makes up for weak points.

      • [복음화 부문] 한국 천주교 내적 복음화를 위한 사목적 쇄신 (1993-) - 그리스도사상연구소를 중심으로 -

        이현숙(Hyun?Suk Lee)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그리스도사상연구소에서 30년간 교회 내부의 복음화를 주제로 한국교회의 사목 쇄신의 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이는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 공의회 이후 흐름 발전되고 있는 보편교회의 사목쇄신의 전망(삼위일체적-그리스도론적)인 전망)을 한국교회의 상황에 어떻게 접목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그 중심에는 세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첫째.‘서구식 전통사목의 답습; 경험이 결여된 암기식 교리교육, 전례·성사위주의 사목, 정교분리의 선교; 둘째. 교회의 세속화·대형화; 셋째. 사목자와 평신도의 인식과 태도: 성직중심 사목과 평신도의 수동적인 역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 안에서 평신도의 위치와 역할의 회복, 즉 사목의 대상이 아닌 사목의 주체로서 평신도의 역할 회복 그리고 통합사목이 제시되었다. 이는 네 분야의 사목 쇄신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1) 친교공동체 건설을 위한 교회 구조와 운영 쇄신; 2) 청소년사목의 쇄신; 3) 가정사목의 쇄신; 4) 영성과 치유의 사목. 자기 쇄신을 위한 이러한 노력들은 복음정신과 사회구조적 맥락 안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로써 교회가 지속가능한 복음적 공동체로 거듭나고, 세상에 희망과 용기를 주게 될 것이다. For 30 years, the Korean Institute of Christian Thought has sought ways to evangelize the church itself and renew pastoral ministry from various angles. This is regarding how to incorporate the vision of the pastoral renewal of the universal church (trinitarian-Christian), which has been constantly progressing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At its core, three problems are intertwined. First, the practice of Western-style traditional pastoral; memorizing-oriented catechesis without actual experience, pastoral ministry focused on sacraments and liturgy, and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Second, secularized and enlarged church. Third, clerkship-centered pastoral and passive roles of lai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wo methods were suggested. One was the restoration of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lay people in the church (lay people as leaders, not as passive subjects) and the other was integrated pastoral ministry. This was deemed possible through four areas of pastoral renewal: 1) renewing church structures and operations to build a closer communion; 2) renewal of youth pastoral; 3) pastoral for family; 4) pastoral of spirituality and healing. These efforts must be made with the spirit of gospel and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structure. Then, the church will achieve to be the sustainable evangelical community that can give courage and hope to the world in crisis.

      • [제2주제] 성덕의 소명으로 새롭게 부르심을 듣는 한국의 여성수도자들

        최혜영(Hae-Young Choi)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19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7

        프란치스코 교황의 ‘현대 세계에서 성덕의 소명에 관한 권고’,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는 한국의 여성수도자들이 성덕의 소명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 성찰하도록 초대한다. 각각의 수도자들이 온전한 자기자신이 되어 매일의 삶에서 성덕으로 나아갈 때, 수도자로서 정체성과 사명에 맞갖은 삶을 살 수 있고, 한국 교회의 일원으로서 교회의 쇄신과 예언적 소명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한국의 여성 수도자들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성덕의 소명을 잘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개별 수도회마다 수도공동체의 일원으로 말없이 헌신한 신앙의 선배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함께 사는 공동체 회원 안에서 성덕을 발견하고 각자가 성덕의 소명을 잘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대 세계 안에서 수도자들이 당면하고 있는 유혹은 궁극적으로 예수의 제자됨을 포기하려는 유혹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수도자들이 자신의 부르심의 소중함을 소홀히 하고 이기심이나 거짓 기쁨에 자신을 맡겨 버리거나, 현재의 상태에 안주하려는 것은 큰 유혹이 될 것이다. 우리를 성덕으로 이끄는 기준은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이며, 봉헌생활은 그리스도를 따르고 그분과 같아지라는 끊임없는 부르심이다. 시대가 변화더라도 그리스도인 성덕의 기준은 참행복과 자비행의 실천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하게 된다. 우리나라 수도자들에게 수도자의 청빈 정신은 수도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난한 이를 위한 봉사는 수도자들의 사도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수도자들은 세상의 고통에 연민의 마음을 가지고 공감하는 사람이어야 하며, 수도자의 과업은 공동체 생활을 통하여 하느님에 대한 자비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평화의 장인’이 되라는 요청은 혈연 가족을 넘어 신앙의 가족을 이루는 수도자들이 매일의 생활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이상이기도 하다. 행복선언에서 제시하는 참 행복은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을 통해 드러나야 한다. 현대 세계에서 성덕의 징표로 보여주어야 할 요소들로 제시된 믿음의 인내와 온유, 기쁨과 유머 감각, 담대함과 열정, 공동체, 기도 등은 우리가 수도자로서 잘 살고 있는지 매일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이 될 것이다. 수도생활의 여정 안에 악마의 유혹이 끼어들지 않도록 영적 투쟁에 깨어 있어야 할 것이며, 식별의 지혜를 키워가야 할 것이다. Gaudete et Exsultate (Rejoice and be Glad), the Apostolic Exhortation of the Holy Father Francis on the Call to Holiness in Today’s World, invites Korean women religious to reflect on how they could respond actively to the call to holiness in their daily lives. As each religious woman lives out her holiness in her daily life, she can live a life worthy of her identity and mission as a nun; and also, she will contribute greatly to church renewal and to realizing prophetic calling of the church, as a member of the Korean church. I think Korean women religious have been living out sincerely their holiness, working by actions rather than words. It is easy to meet many good elderly sisters who have faithfully devoted themselves to serving their own congregations. It is also very important for each member to discover other members’ holiness within the community and help each other to live the call to holiness well. I think that a serious temptation the religious are facing in today’s world is to give up on being Jesus disciples. That is to neglect the preciousness of their own calling, to surrender themselves to selfishness or false joys, and to settle for the status quo. The criteria of leading us to the holiness is the words and deeds of Jesus. The consecrated life is a constant call to follow Christ and to become like him. It reminds us once again the criteria of Christian holiness is to practice the Beatitudes and mercy. For the Korean religious women, the spirit of pover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religious life, and the service for the poor is directly connected with apostolate of the sisters. Religious women should be compassionate to the suffering of the world, and their tasks are to become experts in Gods mercy through the community life. The call to become the artisan of peace is also an ideal for the religious who go beyond ties of blood and form families of faith. The true happiness presented in the Beatitude should be revealed through concrete practices, not abstract. Patience and meekness, joy and the sense of humour, boldness and enthusiasm, community and prayer, presented as signs of holiness in today’s world, are the specific criteria for reflecting our daily lives to see if we live well as the religious. We have to stay awake to the spiritual combat so that the temptations of the devil do not interfere in the journey of religious life; and also, we have to cultivate the wisdom of disc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