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주족과 인삼

        김선민,Kim, Seonmin 고려인삼학회 2019 인삼문화 Vol.1 No.-

        만주족의 선조인 여진족은 그들이 거주하는 만주의 자연환경에 따라 채집과 수렵활동을 주된 생계수단으로 삼았다. 여진족의 거주지는 대부분 삼림이 울창하고 하천이 발달하여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는 적합했지만 농경에는 맞지 않았다. 여진족 사회조직 역시 채집과 수렵활동에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되었고 그것은 이후 청나라 고유의 사회 군사조직인 팔기제도로 발전했다. 한편 채집과 수렵으로 획득한 자연자원을 주변의 농경사회과 교환하는 일은 여진 사회의 발전에 절대적으로 중요했다. 인삼을 비롯한 만주의 자연자원을 중원의 한인들과 교역하는 일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대외무역이 여진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할 만큼 확대된 것은 16세기의 현상이었다. 당시 외부에서 유입된 은은 중국 내지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만주를 비롯한 명의 변경지역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만주의 자연환경에 기초한 수렵 채집활동이 16세기에 이르러 중원에서 유입된 은과 조우하여 변경 사회를 자극했고, 분산되어 있던 여진 부락은 경쟁과 통일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만주족으로 변모하여 1636년 청나라를 건설하기에 이르렀다. 1644년 만주족은 중원 정복에 성공하고 북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중원으로 들어간 후에도 청황실의 만주족은 만주 인삼의 가치를 잊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7세기 말까지 만주 인삼은 만주족의 제도인 팔기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만주에 주둔한 팔기 병사들은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여 인삼의 생산지를 한인의 접근으로부터 보호했다. 만주 인삼의 채취는 황실 내무부, 부트하 울라 총관, 성경상삼기 등 황제에게 직속된 기구에서 담당했다. 이들은 부트하 병정이나 팔기 병정을 파견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정해진 액수의 인삼을 채취하여 납부하게 했다. 황실의 귀족만이 만주에 사람을 보내 인삼을 채취할 수 있는 특권을 누렸고, 그조차 엄격히 제한되었다. 18세기도 만주의 인삼은 여전히 국가에 의해 독점적으로 관리되었다. 청의 인삼 정책은 황실의 발상지인 만주와 그 자연자원을 민간인의 침탈로부터 보호하고 만주족 고유의 전통을 유지한다는 원칙에 따라 운영되었다. 동시에 만주의 인삼은 국가의 중요한 재정 수입원으로 개발되었다. 국가가 필요한 만큼의 수입을 징수하기 위해서는 인삼을 대량으로 채취해야 했는데, 부트하 병정이나 팔기 병정을 파견하는 것만으로는 안정적인 인삼세수를 기대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상인들이 인삼업에 개입하기 시작했고 청의 인삼 정책은 이후 점점 더 상인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갔다. 청대 인삼의 국가 독점은 1853년에 공식적으로 중단되었지만, 부유한 상인이 채삼인을 고용하고 인삼을 대신 납부하는 현상은 18세기에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청대 만주족의 인삼 독점은 사실상 한인 상인의 참여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Jurchens, the ancestors of the Qing Manchus, had lived scattered in Manchuria and had made their living mostly on ginseng gathering and animal hunting. Their residential areas, rich with deep forest and numerous rivers, provided great habitation for all kinds of flora and fauna, but not so proper for agriculture. Based on their activities of foraging and hunting, the Jurchens developed a unique social organization that was later transformed into the Banner System, the most distinctive Qing military institution. By the sixteenth century, that the external trade brought considerable changes to Jurchen society. A huge amount of foreign silver, imported from Japan and South America to China, first invigorated commercial economy in China proper, and later caused a huge influence on Ming frontier regions, including Manchuria.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when the tradition of foraging and hunting encountered with silver economy, the Jurchen tribes became unified after years of competition and transformed themselves into the Manchus to build the Qing empire in 1636. In 1644 the Manchus succeeded in conquering the China Proper and moved into Beijing. Even after that, the Manchu imperial court never forgot the value of Manchurii ginseng; instead, they paid great efforts to monopolize this profitable root. Until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Qing court used the Banner System to manage Manchurian ginseng. The banner soldiers stationed in Manchuria checked unauthorized civilian entrances in this frontier and protected its ginseng producing mountains from the Han Chinese people. All the process of ginseng gathering was managed by the institution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imperial court, such as the Imperial Household Department, the Butha Ula Office, and the Three Upper Banner in Shengjing. Banner soldiers were dispatched to the given mountains, collect the given amount of ginseng, and send them to the imperial court in Beijing. The state monopoly of ginseng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under the principle that Manchuria and its natural resources should be guarded from civilian encroachment. At the same time, Manchurian ginseng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ource of state revenue. The imperial court and financial bureau wanted to collect ginseng as much as they needed. By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as the ginseng management by the banner soldiers failed in securing the ginseng tax, the Qing court began to invite civil merchants to ginseng business.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he Qing ginseng policy became more dependent on civil merchants, both their money and management. In 1853 the Qing finally ended the ginseng monopoly, but it was before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that wealthy merchants hired ginseng gatherers and paid ginseng tax to the state. The Qing monopoly of ginseng was in fact maintained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vil merchants in the ginseng business.

      • KCI등재

        1812년 홍경래(洪景來)의 난(亂)으로 본 조청(朝淸)관계

        김선민 ( Kim Seonmin ) 한국중국학회 2019 중국학보 Vol.90 No.-

        본고는 평안도에서 발생한 홍경래의 난이 청측 자료에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 사건이 단순히 조선의 국내 사건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청조가 예민하게 반응한 조청 관계의 주요 현안이었음을 설명한다. 홍경래의 난에 대한 청조와 조선의 대응은 양국의 관계를 규정하는 두 가지 관건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첫째, 청과 조선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었다. 조선의 변경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은 청의 동북 통치에 직접·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 변경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은 곧 청의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였다. 둘째, 양국의 관계는 종주국과 조공국사이의 비대칭적이고 불평등한 질서에 기반하고 있었다. 청조는 조선의 국내 상황이 자국의 영토와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판단하면 군사를 파견하여 경계를 방어하는 등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청조는 경계 방어를 위한 군사적 조치를 조선에 대한 황제의 은덕으로 포장하여 설명함으로써 양국 사이의 상하관계를 강조했다. 조선은 역시 청이 요구하는 의례에 따라 청군을 접대하고 황제에게 감사했다. 청과 조선 사이의 모든 사건은 양국의 지리적 인접성과 정치적 상하관계라는 두 가지 전제에 따라 논의되고 처리되었다. 홍경래의 난에 대한 청의 반응과 조선의 대응은 지리적 인접성과 정치적 비대칭성이 양국 관계에서 서로 영향을 끼치며 작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Qing and Choson courts responded to the 1812 rebellion of Hong Kyongnae, which took place in a northwestern province of Choson. When the rebellion was reported to Beijing, Emperor Jiaqing rushed to send the Qing soldiers to the Yalu River and strengthen the patrol along the border. Behind his immediate reaction to the Choson rebellion, there were two reasons - military and political. First, the Qing emperor wanted to prevent possible threats to his country from the Choson rebels who might be able to cross the river and trespass the Qing territory. Second, as the suzerain court, the Qing was obliged to protect the tributary state which had long served for them with loyalty. Emperor Jiaqing went further to order his local officials, including Shengjing and Jilin Generals, to increase military alert on all the boundary regions near at the Yalu and Tumen Rivers, even though the Hong Kyongnae rebellion took place only in the northwestern border near the Yalu River. Due to such an imperial order, a series of the reports on the rebellion in Choson was continuously reached up to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Jilin Generals and Ningguta Lieutenant General repeatedly sent their letters to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strengthen the patrol along the Tumen River and check the possible trespassing of the Choson criminals. The rebellion within Choson eventually led to increasing patrols both in Shengjing and Jilin. The responses of the Qing and Choson courts to the Hong Kyongnae rebellion show the two defining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eighbors. First, they were geographically adjacent, and second, their relations relied on the asymmetrical hierarchy between the suzerain and tributary courts. The Qing government made a quick and immediate response - military action, if necessary - to an event taking place within Choson, if it could possibly make an effect on maintaining order in the Qing territory. At the same time, the Qing disguised such a military action as an imperial kindness to help out the Choson, often with an emphasis on the unequal hierarchy between them. The Choson followed all the ritual protocol and expressed the gratitude to the emperor as the hierarchy of the tributary relationship required. All the events between the Qing and Choson courts were discussed and processed on the premise of their geographical adjacency and political hierarchy. The Hong Kyongnae rebellion provides us with a good example to demonstrate in detail how these premises had actually worked.

      • KCI등재

        청 제국의 지배이념과 지배체제

        김선민 ( Seonmin K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8 No.-

        본고는 최근 국내외 학계의 제국 담론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청제국의 지배체제와 지배이념을 분석한다. 제국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중화제국, 특히 청제국은 중국에서 등장한 최후의 제국이자 동시에 가장 넓은 지역을 지배했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19세기 말 청제국의 기반이 해체되면서 중국과 동아시아 주변국가에서 근대 국민국가가 등장했다는 점, 나아가 오늘날 중국이 직면하고 있는 변강의 민족문제는 20세기 초 새로운 국민국가 중국이 제국의 영토를 계승하면서 물려받은 유산이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청제국에 주목해 왔다. 본고는 여러 연구 가운데 특히 일본학계와 미국학계의 연구성과에 주목한다. 20세기 초부터 일본의 많은 연구자들은 몽골제국의 유산이나 티베트 불교의 문화적 영향 등 내륙아시아 세계와 청제국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해왔다. 한편 1990년대 말 이래 미국학계에서는 중국의 민족주의적 서사에 깃든 한화이론을 비판하면서 청의 다민족 다문화적 특징을 강조하는 연구성과가 다수 발표되었다. 본고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먼저 여러 제국의 사례에 대한통시사적 분석을 간단히 소개하여 청이 지닌 제국으로서의 특징을 분명히 한다. 청이 제국의 다양한 구성원을 통합하는 지배이념으로 작용한 몽골제국의 유산과 티베트 불교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청대 황제권의 특징을 설명한다. 또한 팽창하는 영토와 신민을 지배하기 위해 제국이 고안해낸 번부와 이번원을 살펴보고, 아울러 황제와 제국의 관리들이 다양한 변강의 거주민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신강 무슬림묘족의 사례를 통해 검토한다. 끝으로 19세기 중반 이래 변강에 대한 인식과 지배방식이 변모하는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제국의 해체과정을 요약한다. By addressing that today China’s territorial boundaries and ethnic composition were largely built on the historical legacy of the imperial China,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uling structure and ideology that had sustained the complex and diverse aspects of the Qing empire.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recent studies published in Japan and the US.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Japanese scholarship has paid special attentions to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Mongols and Manchus, further highlighting the Inner Asian tradition and the Tibetan Buddhism in the Qing rule. Notably, since the late 1990s, the so-called New Qing History in the US has questioned the conventional assumptions about sinicization and raised a new concern with the Manchus and their relationship to China, as well as that of other non-Han groups under the Qing rule. Through introducing the scholarly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and English, this paper explores the various elements of Qing government structures and ruling ideology, and rediscovers the Qing as an Inner Asian, as well as a Chinese, empire. By so doing, it shows that given the persistent difficultie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faces in extending its Chinese national vision to Tibet, Xinjiang, and Inner Mongolia, the revelation of features of the Qing imperial ruling can retain a great significance today.

      • KCI등재

        19세기 압록강 유역의 환경과 개발

        김선민 ( Kim Seon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건국 초기부터 청 황실은 압록강 유역을 포함하여 만주 일대에서 생산되는 인삼·초피·진주 등 동북의 자연자원을 독점적으로 장악하고 이를 통해 만주족의 특권을 보호하기 위해 청 황실은 한인의 만주 출입을 통제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얻으려는 사람들의 욕망을 봉금이라는 국가정책으로 통제하려 했던 것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인삼·초피·진주가 황실 주도의 지속적인 채취로 고갈된 후 사람들의 갈망의 대상은 오랫동안 비워져 있었던 만주의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삼림으로 바뀌었다. 토지와 목재가 인삼과 초피를 대신하여 만주의 핵심적인 자연자원이 될 무렵, 청 황실의 권위는 이미 약화되었고 더 이상 강력한 봉금을 강제할 힘이 없었다. 만주의 자연자원에 대한 한인의 갈망과 만주족 특권의 약화가 결합하면서 만주 일대에서 불법적인 토지 개간과 벌목이 만연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청 정부는 압록강 유역에 확산된 한인의 이주와 개간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확인하고, 마침내 봉금을 해제하고 관청을 설치하여 세금을 징수하기로 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하고자 했던 이주민들이 국가를 압박하여 봉금을 해제하고 移民實邊을 추진하게 했던 것이다. 봉금이 해제되기 전부터 압록강 유역에서 개간과 벌목은 계속 확산되고 있었다. 불법개간과 벌목을 막기 위해 청은 단속을 강화하고 조선과 공동 수색을 정례화하는 등 봉금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그러나 한인 유민의 이주와 개간이 확대되자 청 정부는 결국 봉금을 해제하고 압록강 유역의 거주민을 합법화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압록강 상류의 남쪽에 위치한 조선의 폐사군에도 이주민의 유입이 계속 확대되면서 조선 정부에서도 북방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압록강 북안에 거주하는 청인이 증가하자 이들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조선의 북방 개발은 필요했다. 한인의 이주와 개발의 압력에 밀려 청이 압록강 유역의 봉금을 해제한 것과 같은 시기에 조선 역시 폐사군을 복설함으로써 양국이 수백년간 유지해온 완충지대는 마침내 사라졌다. 국가에 의해 강제되어 온 봉금이 해제되자 압록강 유역의 자연자원을 둘러싼 사람들의 경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특히 이 지역의 풍부한 삼림자원을 통해 이익을 얻고자 하는 벌목업자들은 국가의 단속에 반발하며 스스로 무장집단으로 발전해갔다. 이 과정에서 청인 벌목업자들이 조선인 이주민과 합세하여 조선의 관청을 습격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은 19세기 말 압록강 유역에서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국가의 상호작용이 청과 조선의 경계를 넘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벌목과 개간의 확대는 만주의 자연환경을 인식하고 이용하는 방식이 19세기에 이르러 만주족의 방식에서 한인의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The Qing court imposed restrictions on Manchuria and the Yalu River region for the purpose of monopolizing profits from natural resources -ginseng, sable, and pearls- and protecting Manchu privileges from the Han Chinese majority. By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ginseng, sable, and pearls became scarce due to centuries of “imperial foraging.”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in Manchuria corresponded with the influx of Han Chinese farmers in the restricted margins of the empir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onward, the Qing prohibition on civilian settlements in the northeast gradually broke down; the growing number of Chinese immigrants effectively invalidated the state`s restrictions. By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illegal land clearance and timber logging became widespread in the Yalu River region, the Qing court decided to lift the nominal principle of restrictions and legalize the presence of the immigrants. Concurrent to the Qing court`s authorization of settlements and development north of the Yalu River, the Choson court was also forced to address the issue of increasing numbers of settlers in the Four Closed Counties. For the Choson court, urgent development of the southern side of the Yalu River was necessary to defend Korean residents against increasing numbers of Chinese settler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ver. Under strong pressure from both sides of the Yalu River, the Qing and the Choson governments came to legalize settlements and development on both sides of the Yalu River. This paper explains the ways in which settlements and development in the Yalu Rive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led to intense competition for natural resources among local residents. Timber loggers, in particular, militarized themselves to protect their paths to mountain forests and resisted local Qing and Choson authorities who attempted to rein in their illegal activities. Most notably, Korean immigrants north of the river joined these armed Chinese timber loggers and raided local Choson offices when their encroachment on mountain forests in Choson territory was stopped. By pointing out these violent incidents caused by timber logging in the Yalu River region in the 1870s, this paper explains the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culture which took place across the Qing and Choson boundar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18세기 후반 훈춘 협령의 지역관리와 인삼행정

        김선민 ( Kim Seon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3 No.-

        본 논문은 『琿春副都統衙門?』에 수록된 훈춘 협령의 보고문을 분석하여 18세기 후반 청의 동북 변경에서 팔기주방이 담당하고 있었던 역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청조가 이 지역을 통치한 방식의 특징을 파악한다. 협령은 청이 중원을 정복하고 제국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팔기의 관원이었다. 이 가운데 훈춘에 주둔한 협령은 길림장군과 닝구타 부도통의 관할 하에 있으면서 자신의 관할지역에 있는 모든 팔기 관병과 그들의 가속을 총관하는 위치에 있었다. 팔기주방이란 원래 청조가 추진하는 다양한 전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군사기지로 설립된 것이었으나 청의 통치가 공고해지고 팔기가 특징지역에 영구적으로 주둔하게 되면서 팔기주방은 현지에서 일종의 지역 행정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훈춘 협령의 업무 내용은 카룬 설치와 지역 순찰에서부터 토지 경작, 의창 관리, 은량 대출, 무기 관리에 이르기까지 극도로 다양해졌다. 이는 별도의 통치조직이 없는 동북의 변방에서는 팔기주방이 실질적으로 지역을 통치하는 행정기구로 기능했음을 잘 보여준다. 훈춘 협령의 업무는 특히 인삼행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청조는 북경으로 이주하여 인삼의 생산지로부터 멀어진 후에도 인삼을 국가의 중요한 세원으로 여기고 이를 독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성경에 유조변을 설치하고 길림 일대에 카룬을 설치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이 지역의 팔기주방에게 불법채삼인의 단속 임무를 부여한 것은 모두 청대 인삼이 황실과 국가 재정에 중요한 자원이었음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황제·장군·부도통·협령의 의도와는 달리 훈춘에 거주하는 팔기관병과 그들의 가속들은 인삼의 경제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연루되어갔다. 어떤 이들은 삼표를 사서 직접 채삼에 나서기도 하고, 삼표의 보증인이 되어 채삼의 이익을 나누기도 하는 등 합법적인 방식으로 인삼의 경제에 참여했다. 또 다른 이들은 불법채삼인의 통행을 묵인하는 대가로 뇌물을 받기도 하고, 금령을 어기고 채삼인들에게 말이나 곡식을 팔기도 했다. 훈춘에서 만주족의 문화적·경제적 상징인 인삼과 그들의 군사적·정치적 핵심인 팔기는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Hunchun Regiment Colonel was the head of the banner garrison stationed in Hunchun under the supervision of senior commanders such as Jilin General and Ningguta Lieutenant General. His primary responsibility was to manage the affairs relevant to banne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in his jurisdiction.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banner garrisons had been built as a military facility for Qing army to wage wars throughout the empire. As the Qing rule became consolidated in China and banner soldiers were permanently stationed in their dispatched locations, some banner garrisons in Manchuria, where other ruling organizations were not available, such as Hunchun, gradually took the role of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 A report made by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in 1748, for example, shows that he was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tasks, including building guard posts and dispatching soldiers, patrolling mountains and rivers in his jurisdiction, managing land cultivation, reporting the amount of rainfall and snowfall on a regular base, taking care of the public granary, loaning silver to banner soldiers, and checking weapon management. Among these various duties, the ginseng managemen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 the Hunchun Regiment Colonel. Largely available around the Hunchun region, ginseng was both the cultural symbol of the Manchus and the important income source for the Qing imperial court. The emperor imposed a strict order upon his banner officials to protect ginseng mountains in Manchuria. In order to come up to the imperial expectations, Jilin General, Ningguta Lieutenant General and Hunchun Regiment Colonel all endeavored to station banner soldiers in key locations and prevent illegal traffickers to access the ginseng mountains. Against all the efforts made by banner officials, howeve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in Hunchun were involved in the ginseng business in many ways. Some of them joined the ginseng business in a legal route by purchasing legitimate ginseng licenses themselves or being a guarantor of ginseng poachers to share the taxes as well as profit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ultiple ways to gain ginseng profits against state regulations. Soldiers at the guard posts were supposed to arrest illegal poachers if they did not possess a legitimate pass, but instead they received bribes and allowed the criminals to sneak into the ginseng mountains. Other soldiers traded food and horses with ginseng hunters, a practice that were clearly against the regulation. By doing so, banner soldiers and ginseng, two key symbols of the Manchus, were closely intertwined in this remote corner of the Qing empire.

      • KCI등재

        청대 길림의 팔기 관병과 호랑이 진공

        김선민 ( Kim Seon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청대 길림의 주방팔기와 주둔 관병에 대한 설명은 중국 동북지역에 관한 대부분의 개설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성경·길림·흑룡강 지역에 순차적으로 장군아문이 설치되고, 각지에 주방이 세워지고 관병이 주둔하게 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다. 청대 동북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체로 한인과 기인의 관계, 기인의 토지 경작, 한인 문화의 확산 등 한인의 시각에서 팔기제도와 기인을 분석해왔다. 특히 청대 동북의 팔기 주방이 이 지역의 부족민을 통합하여 “청조의 다민족 통일국가의 발전”에 기여했음을 부각시키고, 길림과 흑룡강의 팔기 주방이 러시아의 침입을 방어하고 동북 변강을 보호했으며 이 지역을 내지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주방 팔기가 지역 사회를 안정시킴에 따라 동북에서 인구와 개간 토지가 증가하고 상업이 발전하게 되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길림의 주방에서 팔기 관병이 구체적으로 어떤 임무를 어떻게 수행했는지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아직 많지 않다. 『琿春副都統衙門檔』의 만문 사료에는 길림의 팔기 관병들에게 토지경작 뿐만 아니라 활쏘기와 말타기가 특별히 중시되었음을 보여주는 내용이 무수히 많다. 길림장군, 닝구타부도통, 훈춘협령이 주고 받은 공문에 따르면, 19세기까지 길림의 팔기 관병에게 동물을 사냥하여 황실에 진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임무였다. 내지의 직성과 달리 길림의 주방 팔기 관병들에게는 사냥의 의무가 더해져 있었다. 이들은 사냥을 통해 활쏘기와 말타기를 연마하고, 동시에 사냥 실력을 바탕으로 길림의 자연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잡아서 황실에 바쳐야 했다. 국가는 활쏘기와 말타기에 익숙한 길림의 거주민들을 팔기로 편제하여 이들을 통제하고, 다시 이들의 활쏘기와 말타기 실력을 이용하여 길림의 자연을 통제했다. 팔기는 청이 길림의 인적자원과 자연자원을 이용하고 통제하는 핵심 기구였다. Most books on Qing Manchuria pay great attention to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banner garrisons and stationing of banner soldiers in Jilin. They have discussed the ways in which the office of the Jilin military general was built and how many soldiers were stationed in various places, first in Ningguta and Girin Ula, and later Bedune, Ilan Hala, Alcuka, Lalin and Hunchun. Previous studies have large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ner soldiers and Han Chinese civilians by discussing topics such as Chinese settlement and land cultivation and the growing influence of Han Chinese culture on the Manchus in the northeast region. In particular, many Chinese scholars of Qing Manchuria highlighted that Qing banner garrison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o-called “development of a united multiethnic state” during the Qing period, in the sense that they succeeded in unifying various tribal people living in Manchuria, protecting the northeastern frontier from the Russian expansion, connecting this northeastern frontier to China proper, and bringing increases in civilian population and cultivable land. Yet, there are still few detailed analyses on the various activities and duties that the banner soldiers in Manchuria conducted for their emperors and state. Unlike other Qing documents written in Chinese, Manchu documents in the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Lieutenant Governor of Hunchun include many entries about the banner soldiers who were given official duties related to hunting. The Jilin military general and his lieutenant governors exchanged numerous letters to discuss how to select soldiers capable of archery and horseback riding, train the selected soldiers to improve their military prowess, and dispatch them to Jilin to join battue hunting endeavors led by the military general. The practice of regular battue hunting had two purposes: first, it was mainly military training for the soldiers combined with hunting activities, and second, it was a chance to hunt wild animals that would be paid to the Qing imperial court as tribute. These Manchu documents show that until the 19th century, battue hunting and animal payments were considered an important duty for banner soldiers to carry out. The hunting duties imposed on the banner soldiers demonstrate that the Qing state controlled tribal residents in Manchuria who were capable of archery and horseback riding by incorporating them into the Eight Banner system and simultaneously used the military skills of the banner soldiers to control Manchuria. In this sense, the Eight Banners were a crucial institution by which the Qing state controlled and exploited people as well as natural resources in Manchuria.

      • KCI등재후보

        청대 만주의 봉금과 개발

        김선민(Seonmin Kim)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3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0

        본고는 청조가 만주의 자연을 이용하고 개발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이는 국가가 주도하여 기인의 토지 경작을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과정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났음을 설명한다. 만주를 만주족을 위한 영토로 보호하고 이곳의 토지와 자연자원을 황실과 주방 팔기의 배타적인 재산으로 만들기 위해 청황실은 한인 민인의 만주 출입을 통제했다. 18세기 중반에 이르러 황제와 관리들은 제국의 변경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를 발전시켰고, 이 과정에서 만주에서 토지자원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정책이 논의되었다. 한편 기인의 주둔은 이들을 부양할 민인의 농업노동력을 필요로 했지만, 민인의 지속적인 유입은 만주를 기인의 근본지지로 보호하려는 국가의 정책을 크게 위협했다. 19세기 초에 이르러 국가는 기인의 생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을 만주로 이주시켰는데, 변경의 토지를 개간하여 기인에게 경작하게 한다는 청의 만주 정책은 결과적으로 수렵과 채집에 기반한 만주의 환경관계를 농경 중심으로 변화시켰다. 만주를 기인의 근본지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이 바로 만주의 자연환경을 변화시킨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국가의 목표를 추구한 결과 만주의 자연환경은 달라져갔고,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청조는 다시 만주와 기인에 대한 정책을 수정했다. 민인의 봉금이나 경사기인의 이주는 청대 만주 정책이 자연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계속 수정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Qing court’s priority on developing natural resources in Manchuria and how its policy was best revealed in the state-initiated project of supporting the cultivation of land by bannermen. By imposing strict controls on the settlement of Han commoners in Manchuria, the Qing state aimed to preserve Manchuria for the Manchus and protect land and natural resources as exclusive properties of the imperial court and bannermen in Manchuria. By the mid-eighteenth century, the Qianlong emperor and his officials shared the idea that the empire’s frontie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fertile land in Manchuria should be made available to bannermen. The banner garrisons established in Manchuria required the agricultural labor of Han commoners, but the constant influx of Han commoners from China proper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policy of designating Manchuria as the land of the Manchus. By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Qing court decided to relocate metropolitan bannermen to Manchuria in order to address a fiscal crisis surrounding the support of the banner population. However, this plan of allowing the bannermen to cultivate wasteland in Manchuria reflected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environmental relations, one which shifted from hunting and foraging to agriculture. In other words, it was the state policy of preserving Manchuria for the Manchus that eventually resulted in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Manchuria. Both the prohibition on immigration by Han commoners and the relocation of metropolitan bannermen show that the Qing court continued to revise its Manchurian policy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Manchuria.

      • KCI등재

        창조경영 발현을 위한 환경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민(Seonmin Kim),지유정(You jeong Ji),김영대(Young-dae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1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창조경영을 수행하기 위한 토양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에 창조 경영이 체계적으로 뿌리내리는데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창조경영을 발현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 신뢰, 도전, 아이디어 지원, 유우머, 개방성, 위험감수 등 6가지 요인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 관리자들이 창조 경영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종업원 수의 변화, 연간 매출액 규모, 연구개발 부서의 규모에 따라 환경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 맞는 중소기업의 창조경영에 대한 인식정도와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측정하고 국내 기업들이 기업 상황의 변화에 따라 창조경영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길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nvironment factors that will help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o execute creativity management and support internal operations of firms to enable efficient and effective action for creativity. To the end, empirical analysis is employed to explore environmental factors for creativity management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n the Korean SME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key environment factors for creativity management in Korean SMEs consist of 6 factors, which are trust, challenge, idea support, humor, openness, risk-taking. Furthermore, our empirical tests support that when managers in SMEs put creativity management into ac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re varying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employees, the level of annual sales, and the number of R&D personnel. Thus, this paper has a meaning in that it derives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al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