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유조건이 옥로차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장현(Jang Hyun Park),조덕봉(Duk-Bong Cho),김석언(Suk-Wean Kim),임근철(Keun-Cheol Lim),최형국(Hong-Koog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1

        옥로차 제조에 쓰인 차나무 잎은 백아중이 29.4 g, 출개도 77.8%, 엽수분이 79.5%였다. 75℃, 30분 처리가 다른 처리 조건에 비해 완제품의 수율이 높았으며, 총질소, theanine, glutamic acid, arginine 엽록소 함량이 많았고, 탄닌함량이 낮았다. 또한 75℃, 30분 정유처리가 관능평가에서 타처리보다 6~12점 더 높아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75℃, 30분 정유처리가 제다품질 및 관능평가에서 우수하여 가장 양호한 정유조건이었다. Moisture content was 79.5%, banjhi shoot was 77.8% of the total and the weight was 29.4 g/100 buds in the harvested plant leaves used for manufacturing Okro tea. Okro tea heated at 75℃ for 30 min showed the best quality among all the treatmants. Chemical components such as total nitrogen, theanine, arginine and chlorophyll were high in the tea treated at 75℃ for 30 min compare with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 sensory evalution test in terms of appearance, shape, color, and taste showed greater preferences in Okro tea treated at 75℃ for 30 min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heat treatment at 75℃ for 30 min was the best condition for the final rolling process in manutacturing of Okro tea.

      • 담수표면 직파재배 펠렛종자의 파종 및 초기생육 특성

        김석언,유수남,김용재,박태동,이인,최영수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2001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6 No.-

        In spite of labor saving in rice cultivation, the main factors preventing the enlargement of the direct wet seeding culture are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and greater susceptibility to lodg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developed rice-seed pellets were investigated on sowing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seed pellet. Seed shifting, flooding seedling, and lodging of seeding percentage of pellet seed were lover than pregerminated or dry seed. Soil thickness covering seed of pellet seed was 2 ㎜ and shifting width of seed of that was 1.5 ㎝. Establishment percentage of pellet seed was the highest in 0 ㎝ of seeding depth. Early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f and root of pellet seed with seeding time were similar to those of dry seed.

      • KCI등재후보

        수도 밭 재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이인,김석언,민경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2

        원곡통의 양토인 밭에서 벼 재배시 수도 품종들 중에서 밭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을 선정하고자 2000년에 농림나 1호와 상남밭벼 2품종과 금오벼, 진부찰벼. 삼천벼, 상주찰벼, 화영벼, 신선찰벼, 남평벼. 동진찰벼 등 수도 8품종.2001년에는 2000년 시험품종에 수도 품종 10개를 추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1.출아소요일수는 4월 20일 파종에서 29일, 5월 15일은 20일.6월 10일은 12일로 파종기가 늦을수록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하여 빨라졌다. 품종별 출아기간은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평균 출아소요일수와 비슷하였으나 상주찰벼의 경우 평균 출아 소요일수 보다 1~2일 늦었다. 품종별 입모수는 상주찰벼를 제외하고는 ㎡당 100개 이상의 입모수를 확보하였다. 2. 출수기는 시험품종 모두가 4월 20일과 5월 15일 파종에서 안전출수한계기 이내에 출수되었다. 수전일수는 파종시기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조생종인 금오벼, 진부찰벼, 삼천벼 및 상주찰벼는 1~8일, 중생종인 화영벼와 신선찰벼는 9~10일, 중만생종인 남평벼와 동진찰벼는 10~12일, 밭벼인 농림나 1호와 상남밭벼는 8일이었다. 3.유효경비율은 4월 20일, 5월 15일 파종에서 수도 품종이 밭벼 품종보다 10%정도 높았다. 간장은 밭벼 품종보다 수도 품종이 현저히 작았고, 수도 품종 중에서는 찰벼 품종보다 메벼 품종에서 더 작아졌다. 포장도복은 4월 20일 파종에서 밭벼 품종인 농림나 1호와 상남밭벼는 각각 9와 7정도 심하게 발생하였으나 금오벼, 진부찰벼, 신선찰벼가 3정도 발생하였다. 5월 15일 파종에서도 4월 20일과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당 수수는 수토 품종이 254~272개로 밭벼 품종의 217~239개 보다 높았고 4월 20일 파종시기가 5월 15일 파종 시기 보다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파종시기에 따른 수당 입수는 수도 품종인 경우 4월 20일 파종이 84개로 5월 15일 파종 80개 보다 많았으나 밭벼 품종인 경우 4월 20일 파종이 116개로 5월 15일 파종 129개 보다 적었다. 둥숙율은 수도 품종이 67.5~74.5%로 밭벼 품종의 60.7~67.6%보다 높았고 수도·밭 벼 품종에 관계없이 4월 20일 파종이 5월 15일 파종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현미 천립중은 수도 품종인 경우 4월 20일 파종이 20.1g으로 5월 15일 파종의 19.7g보다 다소 무거웠으나 밭벼 품종의 경우 수도 품종과 반대의 경향이었다. 10a당 수량은 4월 20일 파종에서 수도 품종이 252㎏으로 밭벼 품종 277㎏보다 다소 적었고 5월 15일 파종에서도 같은 경향 이었다. 5. 현미의 완전미 비율은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약간 증가하였고 청미의 비율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현미의 장폭비는 논·밭 재배조건에서 대부분의 품종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알칼리 붕괴도는 메벼의 경우 밭 재배가 논 재배보다 낮았으나 찰벼의 경우 반대의 경향이었다. 식미지수는 전반적으로는 밭 재배가 논 재배보다 낮아 식미가 떨어졌다. 6. 내도복, 수량, 현미의 품위, 알칼리 붕괴도 및 식미지수 등을 고려할 때 밭에 적응성이 높은 수도품종은 조생종인 상주찰벼, 중생종인 화영벼, 신선찰벼, 중만생종인 남평벼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addy rice cultivars suited upland soil. Soil series was Weonkog loam. We used ten rice cultivars such as Nonglimna 1, Jinbuchalbyeo, Sangjuchalbyeo, Hwayeongbyeo, and Nampyeongbyeo, etc in year 2000. Here, ten rice varieties such as Daesanbyeo and llmibyeo, etc were added in year 2001. The necessary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in seeding time at April 20, May 15, and June 10 were 29, 20, and 12 days, respectively. The necessary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was faster because of rising average temperature according to seeding time late. Emergence period by rice cultivars was similar to the average necessary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regardless of seeding time but Sangjuchalbyeo was later about 1~2 days than the others. The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 was over 100 in rice cultivars except Sangjuchalbyeo. All experiment cultivars had been heading within threshold heading date in the seeding at April 20 and May 15. The days from heading initiation to hill heading had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seeding time. The days from heading initiation to full heading was generally 7~8 days in Keumobyeo, Jinbuchalbyeo, Samcheonbyeo, and Sangjuchalbyeo as early maturing rice, 9~10days in Hwayeongbyeo and Shinseonchalbyeo as middle maturing rice, 10~12days in Nampyeongbyeo and Dongjinchalbyeo as middle and late maturing rice, also, 8days in Nonglimna 1 and Sangnambapbyeo as upland rice. The percentage of effective tillers of paddy rice was higher over 10% than that of upland rice in seeding at April 20 and May 15. The culm length in paddy rice was more shorter than that in upland rice. Also, the culm length in non-glutinous rice was more shorter than that in glutinous rice. Field lodging degree in Hwayeongbyeo, Shinseonchalbyeo, Nampyeongbyeo, Nonglimna 1, and Sangnambapbyeo was 1, 3, 0, 9, and 7, respectively in the seeding at April 20. And field lodging degree in seeding at May 15 showed the same trends as April 20. The panicle number per m² was 254~272 in paddy rice and 217~239 in upland rice. The panicle number per m² in seeding at April 20 was higher than that at May 15. The grain number per panicle was 84 in seeding at April 20 and 80 in seeding at May 15 in paddy rice and also, 116 in seeding at April 20 and 129 in seeding at May 15 in upland rice. The percent ripened grain was 67.5~74.5% in paddy rice and 60.7~67.6% in upland rice. The percent ripened grain in seeding at April 20 was higher trends than that at May 15 regardless of paddy rice and upland rice.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20.1g in seeding at April and 19.7g in seeding at May 15 in paddy rice, but that in upland rice was reverse tendency as paddy rice. Yield per 10a was 252 ㎏ in paddy rice and 277 ㎏ in upland rice in seeding at April 20, and that in seeding at May 15 showed the same tendency as April 20. Head kernel ratio in brown rice was a little increased as seeding time late and green kernel ratio was same tendency as head kernel ratio. The length-width ratio of brown rice was not different in almost cultivars under lowland and upland cultivation condition. Alkali digestion value in upland cultivation was lower than that of lowland cultivation in non-glutinous rice, but reverse tendency in glutinous rice. Eating quality index in upland cultivation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lowland cultivation. Considering lodging tolerance, rice yield, milling properties, alkali digestion, and eating quality value, etc, paddy rice cultivars suited upland soil were Sangjuchalbyeo as early maturing rice, Hwayeongbyeo and Shinseonchalbyeo as middle maturing rice, and Nampyeongbyeo as middle and late maturing rice.

      • KCI등재후보

        수도 밭 재배에서 파종방법 및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이인,신해룡,김석언,박흥규,권오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3

        밭에서 수도 품종을 재배할 때 적정 파종방법 및 재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 농가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시험품종은 수도품종인 상주찰벼와 화영벼를 사용하였고, 파종방법은 인력점파, 기계점파, 조파, 산파 등이었고 파종방법별 재식거리는 조파의 경우 30×5, 25×5, 20×5㎝등 3조건, 인력점파의 경우 40×12, 40×24, 20×12, 20×24㎝등 4조건으로 파종하였다. 1. 파종방법별 입모수는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산파가 가장 많았다. 2. ㎡당 수수는 4월 20일 파종이 5월 20일 파종보다 약간 많았고 과종방법 중에는 가장 산파가 많았다. 수당입수는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파봉방법 중에서는 산파가 가장 적었다. 등숙율은 상주찰벼가 70.3~72.9%이고 화영벼는 75.6~77-8%로 현저히 낮았다. 3. Ha당 쌀 수량은 상주찰벼의 경우 파종방법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화영벼의 경우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인력점파와 조파가 기계점파와 산파 보다 높았다. 4. 수도 기계이앙 재배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험한 결과, 어린모가 중묘 보다 모 도복 및 결주율이 낮고 활착이 빨리 이루어져 포기생육이 좋았다. 수량은 중묘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5. 입모수는 파종방법에 관계없이 재식밀도가 작을수록 약간 많았다. 상주찰벼를 20×5㎝로 처리한 구만 제외하고 모든 처리 구에서 ㎡당 입모수가 100개 이상이었다. 6. ㎡당 수수는 재식밀도가 클수록 많았으나 수당입수, 등숙비율 및 현미천립중은 ㎡당 수수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10a당 수량은 조파의 경우 상주찰벼에서 재식거리 30×5㎝가 다 른 처리 보다 많았고, 인력점파의 경우 재식거리 40×24㎝를 제외하고는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proper seeding method and planting density for paddy rice cultivated on upland soil. Four seeding methods such as hand-hill seeding, machine-hill seeding, dr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were used. The planting density consisted of three levels(30×5, 25×5, 20×5㎝) in drill seeding and four levels(40×12, 40×24, 20×12, 20×24㎝) in hand-hill seeding. Of the four seeding methods, broadcast seeding had the highest seedling stand per ㎡ regardless of seeding times. The panicle number per ㎡ in the April 20 seeding higher than that at the May 20 seeding. The percent ripened grain was 70.3~72.9% in Sangjuchalbyeo and 75.6~77.8% in Hwayeongbyeo. Yield of 10a in Sangjuchalbye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eding methods but yield of hand-hill seeding and drill seeding was higher than that of machine-hill seeding and broadcast seeding in Hwayeongbyeo. Also, thi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easibility in machine transplanting on upland soil. Seedling lodging degree and missing hill of 10-day old seedling was lower than that of 30-day old seedling. Yield per l0a was no difference between 10-day old seedling and 30-day old seedling. The number of seedling stand was a little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decreased regardless of seeding method. The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 was above 100 in all treatment plot except for the 20×5㎝ planting density in Sangjuchalbyeo. The panicle number per ㎡ was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increased but grain number per panicle, percent ripened grain and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reverse tendency as panicle number per ㎡. In drill seeding, yield of l0a in 30×5㎝ planting density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s in Sangjuchalbyeo. Yield of all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for the 40×24㎝ planting density in hand-hill see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