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를 이용한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김병선,Kim, Byeongsu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미시적 수준에서 교통현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이 GIS 도로 중심선 자료를 차선, 이동속도 등이 반영된 도로 네트워크 자료로 인식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운전자의 주행 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환경인식모형, 차두시간분포모형, 차량추종모형 및 차로변경모형으로 행태모형을 설계 및 구현했다. 모형의 정확도 평가는 종로구의 자하문길을 대상으로 관측자료와 예측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시간대별 이동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GIS 기반의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은 교통 탄소 배출량 분석, 교통류 평가 및 도시기반시설 입지 계획등의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a traffic model that can simulate the traffic behavior on the microscopic level by using the GIS. In the design of the model, the vehicle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recognizes the GIS road centerline data as road network data reflecting number of lanes, speed limit and so on. In addition, the behavior model was designed by dividing functions into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model, time headway distribution model, car following model, and lane changing model. The implemented model was applied to Jahamun-road of Jongno-gu distric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odel. As a result, the simulation results on the Jahamun-road had no great error compared with the actual observation data. In the aspect of usability of model, it is judged that this model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analysis of amount of carbon emission by traffic, evaluation of traffic flow, plans for loc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and so on.

      •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선,안종욱,신동빈,Kim, Byeongsun,Ahn, Jong Wook,Shin, Dong B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공간정보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ngle Point Access 플랫폼 연계 모델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중심의 플랫폼 정부 구현,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 및 국가 정보화 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NGIPs). For this, the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NGIPs connection and extracts the issues related to the connection among NGIPs through Industrial-University-Institute experts surve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constructs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for NGIPs, so called Single Point Access model and proposes the policy and technological counterplan to realize this model. This study result can be applied to establish a platform government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policy for NGIP,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plan.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리공간정보의 글로벌 연구 동향 분석

        김병선,정민우,전상은,신동빈,Kim, Byeongsun,Jeong, Minwoo,Jeon, Sangeum,Shin, Dongb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3년까지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연구 논문에 대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글로벌 차원에서 지리공간정보 연구의 흐름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 학술 자료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논문과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해 키워드 네트워크 자료를 구축하고 시기별 키워드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공간정보가 활용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관련된 기술의 연구 동향을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정책과 연구 개발 계획을 과학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global scientific produ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GI) papers from 1998 to 2013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constructed keyword network model through papers and keywords related to GI research retrieved from the Web of Science DB and performed keyword network analysis such as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e results show that GI has been steadily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also the research trends of GI techniques could be quantitatively characteriz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result can be applied to establish the policies and the national R&D planning of geospatial information.

      • KCI등재

        디지털 트윈 국토 참조 모델 및 데이터 모델 표준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김병선,유재준,홍상기,Kim, Byeongsun,Yoo, Jaejun,Hong, Sangki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21 지적과 국토정보 Vol.51 No.1

        디지털 트윈 국토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국가 프로젝트이나 이에 대한 표준이나 기술 기준 등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국토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한 공간정보 표준 기반의 참조 모델과 데이터 모델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트윈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을 검토하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트윈 국토에 대한 정의, 도메인별 특징을 도출하는 등 디지털 트윈 국토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RM-ODP를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국토 참조 모델 구축 방안과 3단계 디지털 트윈 국토 데이터 모델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데이터 모델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모델 레지스트리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책 방안은 향후 디지털 트윈 국토 표준 체계 구축의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Digital Twin for Land(DTL) is one of the national work projects in the Korean New Deal but there aren't still any standards and technical guides which would need to construct the DTL. This study presents the policies to develop reference model and data model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to ensure interoperability for the DTL. In this paper, we first extract the implications through reviewing definitions of Digital Twin used in various literatures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s on Digital Twi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DTL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defining the DTL and characterizing DTL domains. Finally, we propose three polic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DTS: (1) DTS reference model by using RM-ODP, (2) three-steps hierarchical data models, and (3) model registry to manage the data models efficiently. The proposed policies of the study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 a way for DTS's standards development over the coming years.

      • KCI등재

        한국의 3차원 도시 모델 이슈와 정책적 개선 방안 연구

        김병선 ( Byeongsun Kim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3차원 도시 모델의 주요 이슈를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국내·외 3차원 도시 모델과 활용 사례를 검토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이슈 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슈를 개선하기 위한 공간정보의 기술과 제도적 측면에서의 정책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CityGML 표준의 적극적인 도입, 3차원 도시 모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제 표준 활동 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3차원 도시 모델 작업 규정과 지식 재산권법 개정, 그리고 3차원 도시 모델 활성화를 위한 보안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 방안은 한국판 뉴딜 정책에 따른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트윈 국토 구축 및 중앙과 지자체 등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3차원 공간정보 정책 수립에 초석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jor issues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for 3-Dimension City Models in Korea. First, it reviewed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s of 3-Dimension City Models which are the framework for the storage and exchange of 3D geospatial data, and compar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3-Dimension City Models and their applications. Then, major issues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3-Dimension City Models were elicited, and finally, policy improvements focused on institutions and technologies were proposed. The results could be useful to construct the smart city and the digital twins triggered by the Korean New Deal policy and establish the policies involved in 3D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가상현실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배리어 프리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김병선(Byeongsun Kim),전해찬(Haechan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배리어 프리는 보행 약자들이 시설물의 접근이나 이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공간을 계획, 설계, 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공간정보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배리어 프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인 요소를 식별하고 자유로운 이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배리어 프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인 장애 요소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도출한다. 그리고 실험 지역을 대상으로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3차원 공간정보와 가상현실 서비스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험 콘텐츠에서 개발된 주요 기능의 유용성과 활용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보행 약자를 위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 콘텐츠는 공공 시설물 구축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rrier-free is defined as inclusive design of built environments such as building and its facilities that can be approached, entered and us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develops the content that can identify the physical barriers in the way of movement and prov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arrier-free by using both Geospatial Information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thi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to find the tackling barriers in terms of barrier-free access and extracted main functions to construct the content. Then, the prototype model which composed of VR engine and 3D geospatial data was implemented, and finally the utilization of the prototype was checked in accordance with barrier-free scenario. The developed prototype model of this study would be contributed to design the barrier-free of public places and access to public buildings for the mobility-disabled people.

      • KCI등재

        체계적인 공간정보표준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황병주,황정래,김병선,Hwang, Byungju,Hwang, Jungrae,Kim, Byeongsu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2

        최근 들어 공간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정책 동향은 개방과 공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동향에 맞춰서 개별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공간정보표준을 준수할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가독성, 정보처리 및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간정보사업자들은 표준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표준 제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공간정보표준이 갖는 표준의 중복성, 버전 간 불일치, 유사 표준 제정 등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에서 공간정보표준의 관리 운영, 조직 구성, 법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policy trends related to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have changed to openness and sh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geospatial standards to ensure a high level interoperability across heterogeneou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These geospatial standards are essential to advancing data access, query, management, processing and interoperability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However, geo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which provide GIS software and service or construct geospatial data have been many difficulties to implement and adopt geospatial standards, because the geospatial standards of Korea were not systematically managed. So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ndancy, version-mismatch and similarity of domestic geospatial standards through reviewing the present status of domestic geospatial standard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Moreover, it is judg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omestic policy on geospatial standards fo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laws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혼합현실 기반의 스마트시티 가상 공간 체험 서비스 시나리오 도출+

        전해찬(Haechan Jeon),김병선(Byeongsun Kim),이희석(Heeseok Lee),홍상기(Sangki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혼합현실은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혼합하여 두 공간이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혼합현실 스마트시티 테스트 베드의 공간적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가상 공간 체험 서비스 요소를 선정하고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테스트 베드의 특성을 검토하여 스마트시티 가상 공간 체험에 필요한 서비스 요소를 선정한다. 이후, 서비스 요소를 반영하여 테스트 베드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시티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기반 연구로써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