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췌관내 유두상 점액종양으로 오인된 췌장의 신경내분비종양

        손성범 ( Sung Birm Sohn ),김효정 ( Hyo Jung Kim ),김재선 ( Jae Seon Kim ),김백희 ( Baek Hui Kim ),김상훈 ( Sang Hun Kim ),김지형 ( Ji Hyoung Kim ),송지영 ( Ji Young Song ),김태현 ( Tae Hyu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2014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9 No.4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pancreas are exremely rare tumors, but recent imaging examination advances, diagnostic frequency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re is difficulty of diagnosis of pancreatic serotonin producing neuroendocrine tumors, because tumors grow slowly and clinical symptoms are not significant. A 60-year-old male patient with pancreatic duct dilatation progresses gradually during the seven years without obstructing lesion in imaging studies, we suspected the mass as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However, we diagnosed his case as neuroendocrine tumor after surgery and report here with literature review. Korean J Pancreatobiliary 2014;19(4):210-214

      • KCI등재

        간 농양으로 오인 된 담도 확장 유발 담관내 유두 종양 1예

        정상윤 ( Sang Yoon Chung ),김효정 ( Hyo Jung Kim ),김재선 ( Jae Seon Kim ),김백희 ( Baek Hui Kim ),이연호 ( Yun Ho Lee ),유양재 ( Yang Jae Yoo ),정용 ( Yong Jeong ),박영태 ( Young Tae Bak ) 대한췌담도학회 201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8 No.4

        담관내 유두 종양은 미세한 섬유혈관 중심을 감싸는 수많은 엽상의 유두상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종양자체나 혹은 종양의 잔해로 인한 폐쇄 혹은 과도하게 분비되는 점액으로 인해 담관이 막혀, 간내 담관이 확장되는 다발성의 종양으로, 췌관내 점액 유두 종양과 개념적으로 대척되어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 중이다. 최근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복부초음파에서 간농양이 의심되어, 간농양의 원인을 찾고자 시행한 추가적 영상 검사에서 담관내 유두 종양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한 결과, 고도의 이형성을 동반한 점액 분비하는 간내 담관내 유두 종양으로 진단되었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IPN) of bile duct presents the tumor of a papillary surface comprising innumerable frondlike infolding of proliferation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surroudings slender fibrovascular stalks. Neoplasm in the bile ducts which are dilated due to obstruction by a tumor itself, sloughed tumor debris, and excessive mucin. There are some researches of IPN of bile duct because they have same embryonic origin between IPN of bile duct and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 of pancreas. Patient with fever was suspected liver abscess in abdominal ultrasonography.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IPN) of bile duct was suspected in additional imaging study. We experienced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with high grade intraepithelial neoplasia after surgical resection. Here we report a case with the review of the reported literature.

      • SCOPUSKCI등재

        Q열로 진단된 발열을 동반한 급성 간염 4예

        이현정 ( Hyun Jung Lee ),김지훈 ( Ji Hoon Kim ),윤아일린 ( Eileen L. Yoon ),이영선 ( Young Sun Lee ),연종은 ( Jong Eun Yeon ),변관수 ( Kwan Soo Byun ),김백희 ( Baek Hui Kim ),류영준 ( Young Joon Ryu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7 No.3

        Q fever is a zoonotic infection caused by Coxiella burnetti, which has been previously regarded as an uncommon infectious disease in Korea but is sporadically reported recently. Common manifestations of acute Q fever usually present as influenza-like illness, pneumonia and occasionally hepatitis. Herein, we report 4 cases of acute Q fever as a cause of acute hepatitis and fever. All patients had fever and non-specific symptoms, and laboratory test showed acute hepatitis. Antibody surveys for many virus infections and bacterial cultures were negative. Finally, they were diagnosed acute Q fever by an indirect microimmunofluorescence test. Liver biopsy in 3 patients revealed granuloma including one with typical fibrin-ring. All patients had complete resolution of symptoms and signs with doxycycline treatment. Q fev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fever of unknown origin with acute hepatitis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189-193)

      • KCI등재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병리학적 음성으로 판명된 증례에 대한 고찰

        권민정 ( Min Jung Kwon ),박종재 ( Jong Jae Park ),윤재원 ( Jae Won Yun ),노혜진 ( Hye Jin Noh ),윤대웅 ( Dae Woon Yoon ),장원진 ( Won Jin Chang ),오하영 ( Ha Young Oh ),김백희 ( Baek Hui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주문경 ( Moon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3

        목적: 위선종 혹은 조기위암에 대한 치료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술 전 조직소견과시술 후 최종 진단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에서는 시술 후 음성소견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이연구는 ESD 시행 후 병리학적 음성으로 판명된 환자를 대상으로 이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위선종, 조기위암으로 ESD를 시행받은 환자 중시술 후 조직학적 음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ESD를 시행받은 환자 792명 중 27명(3.4%)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대상환자의 시술 전 진단은 조기위암 11예 (40.8%), 저이형성 선종 13예(48.1%), 고이형성 선종 3예 (11.1%)였다. 병리학적 음성 예의 원인 분류에 따른 빈도는 국소적 병변이 13예(48.2%)로 가장 흔하였고, 병리학적 불일치가 11예(40.7%), 시술자 오류는 3예(11.1%)였다. 원인에 따른 시술 전 병리소견은 병리학적 불일치 11예에서는 모두 저이형성 선종이었고, 국소적 병변에 의한 13예에서는 11예 (84.6%)가 선암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시술자 오류에 의한 경우는 주로 전정부 융기성 병변에서 특히 주변에 장상피화생이 동반된 경우였다. 병리학적 불일치가 원인인 11예 중 10예(90.9%)가 타 병원에서 전원된 경우였고, 장상피화생은 시술자 오류가 원인이 된 경우가 100%였다. 결론: ESD 후 병리학적 음성예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저이형성 선종의 경우 시술 전 병리의사와의 긴밀한 협조와 충분한 의사소통이, 장상피화생이 동반된 전정부의 융기성 병변에서는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 후의 신중한 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다 흔하게는 병변이 너무 작아 조직검사로 제거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ccepted as a standard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gastric adenoma, occasionally, tumorous lesion is not found and pathologic discrepancies can occur after ES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after ES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from all patients with gastric neoplasm (276 EGC and 516 gastric adenomas) who were treated with ESD during past 3 years and enrolled the patients who had negative pathologic results. Results: Out of 792 patients treated with ESD, 27 patients (3.4%) were eligible for inclusion. Among the 27 patients, factors affecting th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were, most commonly, the focal lesion (n=13, 48.2%) which was small enough to be removed completely during pre-ESD biopsy, followed by pathologic discrepancies (n=11, 40.7%) between pathologists and lastly the operator factor (n=3, 11.1%) dissecting incorrect lesions. Of the focal lesions, the initial pathologic diagnoses were adenocarcinoma in 11 cases (84.6%). In cases with pathologic discrepancies, all the pretreatment diagnoses were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In cases caused by operator factors, intestinal metaplasia was accompanied by elevated adenoma in all cases. Conclusions: To decreas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after ESD, an endoscopist should perform ESD after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pathologists, especially for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and choose correct lesion, especially located at the antrum and associated with intestinal metaplasia. The possibility of total removal of small lesions even by forcep biopsy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