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 특성 연구

        김민화 ( Minhwa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인의 제2의 생활공간인 사무공간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지식이 노동의 가치를 좌우하고 장소, 시간의 개념이 무너진 무한 경쟁의 시대에 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은 남들과 다른 혁신적이고 창의적 사고와 서로의 생각을 함께 공유하는 소통과 협업이 되었다. 이제 사회의 주요 조직공간인 사무공간은 업무의 유형과 프로세스가 바뀌고 기업과 업무자의 인식 변화에 따라 공간의 경계가 사라지거나 범위가 달라지고 기능이 다각화 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IT산업의 발달로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언제 어디서나 따로 또 같이 활발한 활동이 가 능해졌다. 이에 사회가 요구하는 흐름과 맞물려 사무공간은 수직적 조직 중심에서 업무자 중심의 수평적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는 협업공간, 즉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의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게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사무공간의 혁신적 디자인을 보인 기업 분야 중 IT분야, 그 중에서도 수많은 콘텐츠 개발에 다양한 업무형태를 보이는 국 ·내외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아직까지도 시작에 불과한 개방, 공유, 참여를 위한 효율적이고 조화로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포털사이트 사무공간과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포털사이트 기업의 사무공간 내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구성 특성을 기능적 경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해 낸다. 각 사례의 영역별 점유면적을 캐드 구적으로 산출하여 공간의 비율을 도출하고, 분석된 영역별 관계를 기준으로 기능적 경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사무공간의 형태에 따라 차이점은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무공간 내 코워킹 스페이스는 대등한 면적 비 율로 집중업무공간과의 독립적 영역을 형성하여 집중과 이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메인 출입구를 중심으로 업무자들의 동선이 밀집되는 공간이 코워킹 스페이스의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협업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집약으로 복합적 공간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공간은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형태와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연스러운 소통, 협업을 위해 의도적으로 계획되어진 코워킹 스페이스는 활발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근무자 개개인의 효율과 근무자 서로간의 응집력이 잠재된, 힘있는 공간이 된다. (결론)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는 단순한 오픈 스페이스나 공용공간이 아니라 또 하나 의 업무 공간으로 함께 조화롭게 구성된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다. 창의적 사고와 협업, 소통이 필요한 현대의 사무공간이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화로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에 대한 적극적인 도입과 효과를 기대 해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Workplaces, which function as a second living space for modern people, have transformed with the times. Not only creative thinking bu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sharing ideas have become leading powers in this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in which the concepts of time and place have been destroyed and intelligence determines labor value. In response to changes in recognition of companies/workers and transitions in types and processes of work, the workplace has been modified in the following ways: the boundaries of the workplace have been adjusted or even destroyed, and its functions have been diversified.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migrating from place to place has become much easier, and various new communication methods have appeared. Thus, people can work more actively, either together or separately, from anywhere and at any tim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co-working space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as the workspace structure has evolved from vertical and organization-centric to the horizontal and worker-centric. Of all areas presenting innovative office space designs, web portal companies`` workplace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s they have demonstrated diverse work types in order to develop various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composition in foreign and Korean web portal companies from 2000 on and to extract effective and harmonious co-working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to promote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Method) Based on systematic review of advanced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driving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and web portal company workplaces. Furthermore, case studies are used to discuss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s composition into aspects of functional boundaries, communication, and networks. The ratio of space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occupation area in the study cases using C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 between those areas are analyzed. (Results) Although some differences exist depending on type of workplace, co-working space balances concentration and openness by presenting an independent area equal in area to space for concentrated work. Workers`` traffic flow accumulates in the center of the co-working space, in which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take place. Thanks to integration of a variety of programs, non-territorial workplaces have become multi-functional spaces consisting of variable components. Co-working space, which is intentionally planned to encourage fre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comes a powerful place where high job concentration and strong cohesiveness among workers are realized. (Conclusions) Co-working space is not simply open, public space. As a new type of workplace, it is focused intensively on workers. Transient introduction of co-working space and its effects are expected based on this research.

      • 기계수확을 위한 무대재배 조생종 복숭아 ‘미홍’, ‘미황’ 과실의 수확기 품질예측지표 탐색

        김진국(Jin Gook Kim),장경은(Kyeong Eun Jang),김경호(Gyeong Ho Kim),김민화(Minhwa Kim),박정인(Jung In Park),이은진(Eun Jin Lee),신해인(Hae In Shin),한가람(Ga Ram Han),이근재(Geun Jae Lee),이슬기(Seul Ki Lee)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최근들어 농업생산 현장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외국 노동력 부족 등으로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동력 절감을 위한 기계수확과 안정생산을 위한 스마트 노지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로봇을 이용한 과실의 기계수확 시 정확한 수확시기 결정을 위한 모델개발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재료는 무대재배 조생종 복숭아 ‘미홍’과 ‘미황’ 과실을 대상으로 만개 후 71일부터 90일까지의 과실 발육 기간 중 품질조사를 통하여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의 숙도지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조사항목은 과중, 종경, 횡경, 가용성 고형물 함량, 산함량, 경도, 과피색도 L<SUP>*</SUP>, a<SUP>*</SUP>, b<SUP>*</SUP>, a<SUP>*</SUP>/b<SUP>*</SUP>, Chroma, Hue, IAD, 에틸렌 생합성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확일까지 과중과 과실의 크기는 두 품종 모두 단일S자형 생장곡선을 보이며 발육하였다. 두 품종간 비대 양상 차이는 ‘미홍’ 과실은 횡경 비대가 컸으며, ‘미황’ 과실은 종경의 비대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만개후 90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산함량은 수확기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 경도는 만개후 두 품종 모두 만개 후 82일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 ‒ 3일간 정체후 낮은 경도 값을 보였다. 만개 후 90일경은 두 품종 모두 식미감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피색도의 변화는 L<SUP>*</SUP>값은 초기에 증가하다가 만개 후 78일을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하였고, a<SUP>*</SUP>( ‒녹색값 / +적색값)값은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두품종 모두 증가하였다. b<SUP>*</SUP>값과 Chroma값은 두 폼종 간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며, Hue 값은 두품종 모두 성숙과 더불어 감소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한 다양한 숙기 판정 지표 중 복숭아 ‘미홍’, ‘미황’ 과실에 적용 가능한 수확 판정용 지표로 색도값 a<SUP>*</SUP>와 Hue값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만개 후 80일 정도에서 기계수확을 개시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집된 품질특성에 대하여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확지표선발이 필요하고, 더불어 연차반복 조사를 통하여 정밀한 모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 VNIR 초분광 분석을 이용한 복숭아 ‘마도카’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

        장경은(Kyeong Eun Jang),김경호(Gyeong Ho Kim),김민화(Minhwa Kim),박정인(Jung In Park),이은진(Eun Jin Lee),신해인(Hae In Shin),한가람(Ga Ram Han),이근재(Geun Jae Lee),조정건(Jung Gun Cho),정재훈(Jae Hoon Jeong),이슬기(Seul Ki Lee),김진국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지구온난화 및 병충해 발생 증가 등의 환경적인 요인은 안정적인 과실생산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많은 과수 작물 중에서도 복숭아는 숙기 예측이 어렵고 쉽게 물러지는 특징이 있다. 특히 자연재해에 약하며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개화기와 수확기의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받고 있다. 최근 농업 현장에서는 비파괴 센싱 기술 중에서도 초분광 영상 기술을 과실 생육 과정에 활용하여 수확 적기와 품질 예측을 통해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복숭아 ‘마도카’ 과실의 수확기를 예측하고 수확 후 생육특징과 초분광 영상과의 상관관계와 그에 따른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초분광영상 취득은 SPECIM-IQ(SPECIM, SPECTRAL IMAGING LTD., Oulu, Finland)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수확 시기별 과실 30개씩을 7월 13일부터 3 ~ 5일 간격으로 6번 수확 후 180개 복숭아 과실에 대한 스펙트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복숭아 ‘마도카’를 필드, 마도카 전체 과실, 마도카 정중앙 과실의 과피와 과육 부분의 초분광 영상 스펙트럼(400 ‒ 1000nm)을 수집하고 영상을 분석한 결과, Core 과피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 모델의 정밀도는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 R² = 0.74, 평활화처리, 1차 미분, 2차 미분시 정밀도는 R² = 0.56 ~ 0.88로 나타났다. 복숭아 Core 과피의 고형물 함량 모델의 validation 결과,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96을 보였고, 평활화처리, 1차 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² = 0.93 ~ 0.97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복숭아 과실 전체의 고형물 함량에 대한 모델은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65를 보였고, 평활화, 1차 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2 = 0.73 ~ 0.88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복숭아 과실 전체의 고형물 함량 모델의 validation 결과, 전처리 전의 정밀도는 R² = 0.96을 보였고, 평활화, 1차미분, 2차 미분시 예측 정밀도는 R² = 0.97 ~ 0.98의 예측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VNIR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복숭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복숭아 숙도 선정에 필요한 다양한 수확 지표들에 대한 초분광 영상 적용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