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김미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affect the form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values of infant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teachers' effectiveness on the actual environmental teaching system.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rms of environmental knowledge, teaching effectiveness, and practice?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infant teachers?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teaching? 4.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teachers' effectiveness on the actual environmental profess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5 infant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si, Gyeongsangbuk-do and Y-si, Gyeongsangnam-do In this study, the tools of support (2020) were modified and used to measure environmental knowledge of infant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Kim Yeon-ha and Kim Yang-eun used Kim Jin-mi (2017), who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tools developed by Kim Yeon-ha and Kim Yang-eun (2008). The tools of Park Jung-mi (2011)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measure the actual environmental teaching system.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ne-way ANOVA),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environmental skil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and the averag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skills, teacher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Second, only differences in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teaching based on environmental training experience were significant among the general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teaching was noted, respectively. Fourth, it was show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significant definition impact on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in the order of environmental function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mong teachers'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knowledge. In conclusion,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so that teachers can recognize and practice the role of environmental functions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actions.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와 가치관 형성에 유아교사의 심리, 행동적 특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 및 환경교수실제의 일반적 경향 성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환경교수실제의 차이는 어떠 한가? 3.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 및 환경교수실제 간의 상관관계 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 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상북도 G시와 경상남도 Y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1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환경소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지원(2020)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연하・김양은(2008)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김진미(2017)의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환경교수실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정미(2011)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제지원(2020)의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 및 환경교수실제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바, 유아교사의 환경소양, 교사효능감, 환경교수실제 순으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환경관련 직무연수 경험에 따른 환경교수실제의 차이만이 유의미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교사효능감 및 환경교수실제 간의 상관성이 각각 유의하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환경소양 중 환경기능과 책임있는 환경행동 순으로 환경교수실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환경교수실제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일과 함께 환경기능의 역할과 책임있는 환경행동의 중요성을 교사 스스로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 및 관련 연구 제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The clinical studies of Borage oil and Probiotics for skin health improvement

        김미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Acidic skin pH is an indicator of skin health. It is maintained mainly by the combined level of epidermal lactate, free fatty acid (FFA) and free amino acid (FAA), and it becomes less acidic in various skin disorder. We investigated dietary of borage oil (BO) only or together with moisturizer applica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treat skin disorder restores acidic skin pH. In addition, hydration and skin sensitivity, which are biomarkers of skin health, were also confirmed in human study. Subjects aged 30~59y were assigned into group placebo (n=10) with intake 1.5 g soybean oil/ a day, group BO (n=17) with intake 1.5 g BO/ a day (corresponding to gamma-linolenic acid 300 mg) or group BO+M (n=12) with intake 1.5 g BO/ a day + apply moisturizer/ 2.5g/ spatula/ to forearm twice a day for 10 wk. Skin pH, hydration and sebum were measured in the forearm at 0 wk (baseline) and 10 wk. The levels of skin pH-related biomarkers such as lactate, FFA and FAA as well as of a hydration-related biomarker, the levels of skin surface ceramides (Cer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10 wk. Also, skin sensitivity was determined on the forearm area of the subjects, using the Neurometer® CPT/C. In 10 wk, skin pH was improved (more acidic) in the group BO and group BO+M, accompanied with increased levels of lactate and FAA. However, while hydration remained unchanged, the level of major Ceramide 2 (Cer 2) in the Cers decreased, especially in the group BO, and hydration was maintained as the natural moisturizing factor amino acid level increased. Skin sensitivity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reshold at a low frequency of 5 Hz in the group BO and group BO+M at 10 wk.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a moisturizer did not induce synergistic effects with BO intake and ultimately did not improve skin health. Therefore, dietary of BO only or applying with moisturizer together has been shown to improve acidic skin pH, and skin sensitivity was relieved when applied low-frequency. Also, acidic skin pH was accompanied with increased levels of lactate and total FAA. Lactobacillus plantarum CJLP55 (L. plantarum CJLP55) is specific probiotics abundantly present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Kimchi, and effects on various inflammatory skin diseases in vivo have been suggested. The objective was to confirm ingestion effects of L. plantarum CJLP55 on patients with acne vulgaris (acne), an inflammatory skin disease. Subjects 18~39 y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ingestion of L. plantarum CJLP55 at a dosage 1.0 × 1010 colony forming units (CFU)/ 2 g a day (group CJLP55, n=14) or control products (group placebo, n=14) were double-blinded for 12 wk. Clinical assessment of facial acne was performed by the dermatologist at 0 wk (baseline) and 12 wk. Also, the condition of the skin sebum, hydration, skin pH and skin surface lipid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12 wk. Acne showed improvement in the group CJLP55 by significant decreases in inflammatory lesion count (ILC) by 61.10%, total lesion count (TLC) by 64.26%, and acne grade by 24.30% compared with the group placebo at 12 wk. Furthermore, sebum levels in the group CJLP55 was decreased by 26.22% compared with the group placeb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otal skin surface lipids between groups, but amount of triglyceride (TG) which is one of the major lip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CJLP55 at 12 wk. One of the major Ceramides (Cers) species, Ceramide 2 (Cer 2) which is the most abundant in epidermis was found to improve the hydration of acne skin by increasing the levels of Cer 2 when consuming L. plantarum CJLP55 for 12 wk. The ingestion of L. plantarum CJLP55 probiotics selectively increase the inhibition of TG secretion in sebaceous glands and the production of Cer 2 in epidermis, which ultimately means improved acne severity.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담화 분석

        김미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학 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활용은 학생들의 학습동기, 상상력, 수학적 태도 등을 신장시킨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의 인지적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 과정에서의 담화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수학 학습 수준의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발전과정에서의 스토리텔링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권오남 등(2013)이 개발한 『고등학교 수학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중 확률단원을 수업자료로 사용하여 2013년 7월 중 매일 2시간씩, 총 3일간 수업을 실시하였다. 16명의 자원한 학생들이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은 모델교과서의 스토리를 통하여 제시된 과제에 대한 모둠별 논의와 전체 토의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크게 ‘조건부 확률’, ‘독립과 종속’을 학습하였다. 『고등학교 수학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는 실제적인 상황을 통해 학생들의 비형식적인 해결 전략을 활발한 스토리텔링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형식화해간다는 측면에서 RME와 유사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발전 단계를 발생모델에 따라 학생들의 상황적 수준, 참조적 수준, 일반적 수준, 형식적 수준으로 수준화 하였다. 발생모델은 학생들이 이전 단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수준을 상승시키며 비형식적 수학활동의 기호모델을 창조한다고 본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스토리텔러가 되어 자신의 사고를 언어로 표출하도록 기대된다. 따라서 발생모델에서 제시하는 각 발전단계에 학생들의 학습 수준이 부합하는지의 여부는 학생들의 담화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담화 분석 단계에서는 Sfard(2008)의 커머그너티브 관점을 취하였다. Sfard(2008)는 수학적 담화를 수학적 단어, 시각적 매개체, 루틴, 사실적 서술을 포함한 이야기로 본다. 서로 다른 수준의 담화 참여자들 사이에, 혹은 수준 상승과정의 개인 내부에서는 커머그너티브 갈등이 발생한다. 갈등의 해소는 이전 수준까지의 담화에 대한 성찰, 의사소통 참여자들 사이의 더 높은 수준으로의 합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를 통하여 수학적 담화는 메타수준에서 발전한다. 이 연구에서는 발생모델의 상황적 수준, 참조적 수준, 일반적 수준, 형식적 수준에 대한 수학적 단어, 시각적 매개체의 사용 용법, 루틴, 사실적 서술의 성격에 따라 각 담화의 수준을 판별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에서 조건부 확률에 대한 담화는 상황적 수준, 참조적 수준, 일반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공존 수준으로 발전함을, 독립과 종속에 대한 담화는 상황적 수준과 참조적 수준의 공존 수준, 일반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공존 수준으로 발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토리텔링에 활용된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교과서와 수업의 전개방식은 직접적, 간접적으로 커머그너티브 갈등을 유발하였다. 모델교과서의 개발 원리인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를 통해 학생들은 점진적으로 의례적 루틴을 탐색적 루틴으로 발전시키고 학습 내용을 내면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학습 수준을 메타수준에서 발전시켰음을 시사한다. 또한 플롯을 갖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소통의 원리는 학생들의 내러티브 사고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중에 그들의 커머그니션을 실제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 소멸위기 농촌지역의 청년 취업 결정요인 분석

        김미주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Aging popul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yout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roblem of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in the non-metropolitan area is gradually getting serious due to the low birth rate. Precedent study on the constant outflow of the youth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inflow of the youth into non-capital area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non-capital areas has mainly been analyzed in relevant to economic factors including the gap in wage level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s well as non-economic factors including culture, welfare, and vocational value. In most precedent studies, the factors of the employment routes of the youth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capital area, the southeastern region (Busan, Ulsan, Gyeongnam), Daegu and Gyeongbuk,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raw data of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used. In this study, the same GOMS raw data used in the preceding study were used, but the analysis targets were not limited to particular areas as in the preceding study, and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areas where they came from, the analysis targets were distinguished as the most vulnerable young people in rural areas which have extinction crisis and non-extinciton areas among non-capital area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 the respondents' high school and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of the current workplace were set as the rural area with extinction crisis, and the youth in the rural area with extinction crisis and the youth in the non-extinction a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 based on precedent study, the explanatory variables were set as economic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v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non-economic variables (job paths and job value prior to employment), and the impact of variables was confirmed via binary regression analysi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ment decisions in rural area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samples of the youth at extinction crisis in rural areas and samples of the youth in non-extinction areas, and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flux of youth population in rural areas. The primary results were derived from employment, credits, the number of certificates,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ccupations in cities and counties where the youth in rural areas at extinction crisis affected employment in rural areas at risk of extinction, and the primary factors that the employment of the youth in non-extinction areas influencing the rural areas with extinction crisis were derived from major fields (education, nature, and medicine fields), employee status (regular workers), and development value (employment safety) among pre-employment vocational valu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youth in rural areas with extinction crisis tend to stay in their own areas as implications for the influx of the youth in rural areas with extinction crisis,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dditional support to induce them to settle in their own areas,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it is crucial to discover youth-friendly regional occupations by expanding the influx of young females in the childbirth age group via a policy-related demand survey to induce females to settle in their regions, and the discovery and support of small and medium-sized (promising) companies in rural areas to create high-quality occupations according to external values including company size and job stability. 저출산·고령화·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등의 현상으로 비수도권의 지방소멸 위기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청년층의 지속적인 수도권 집중 유출 현상과 비수도권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비수도권의 청년 유입 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임금수준·취업기회 격차 등의 경제적 요인과 문화·복지·직업가치 등의 비경제적 요인과 관련하여 분석되어져 왔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동남권(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등의 지역을 구분지어 청년층의 취업이동경로 요인을 분석 하였으며 이용자료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에서 이용한 자료와 동일한 GOMS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나 선행연구과 같이 분석대상을 특정지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출신고교 지역을 기준으로 비수도권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소멸위기 농촌지역과 비소멸 지역 청년으로 분석대상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응답자의 출신고교 시·군·구 지역과 현 직장 사업체 위치의 시·군·구 지역을 소멸위기 농촌지역으로 설정하고 소멸위기 농촌지역 청년과 비소멸 지역 청년을 상호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설명변수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경제적변수(개인특성·직업특성)와 비경제적 변수(구직경로·취업 전 직업가치)로 설정하였으며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멸위기 농촌지역의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멸위기 농촌지역 청년 표본과 비소멸 지역 청년 표본으로 구분하여 각각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소멸위기 농촌지역의 청년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로는 소멸위기 농촌지역 청년이 소멸위기 농촌지역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출신고교 시군 취업, 학점, 자격증개수, 농림어업직으로 도출되었으며 비소멸지역 청년이 소멸위기 농촌지역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전공계열(교육·자연·의약계열), 종사상지위(상용근로자), 취업 전 직업가치 중 발전가치(고용안전성)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멸위기 농촌지역의 청년 인구유입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소멸위기 농촌지역 청년일수록 자기지역에 머무를 경향이 더 높으므로 자기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부수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며, 타지역 유출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지역 정착 유도를 위한 정책 관련 수요조사를 통한 출산 연령대의 젊은 여성의 인구유입 확대, 그리고 회사규모와 고용안정성 등의 외재적 가치가 기반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소멸위기 농촌지역의 강소(유망)기업 발굴 및 지원으로 청년 친화적인 지역형 일자리 발굴이 중요하다고 시사 할 수 있다.

      • 속도에 의존하는 저항력을 받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새로운 해석

        김미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new methods for solving the mechanical problem called the motion with the velocity dependent resistance under the uniform gravity. For this problem, we reviewed the differential equation method and then introduce the discrete time method and classical perturbation method. Concludingly, we found that these three methods give the same result for this problem.

      • 『조선녀성』에 나타난 북한의 가족담론 분석

        김미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are many cases of difficulties caused by family problems while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are adopting their life in South Korea. The most common case is to suffer from conflict among family members resulted on the gap of experience towards family they had i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eventually can lead to the dissolution of families in the end. We have interviewed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to study about their specific experience on family while they were in North Korea. However, there is limitation on the interviews as the memories of the interviewees are not clear, and the figure of the families during the limited period can only be studied.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fficial discourse publish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 Author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stated above and to follow how concept of families have been created in North Korea. It is considered that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is the appropriate official document for this study of North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tent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and first, characterize the features of discourse on families of each periods, seco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amilies in it. The article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between 1956 and 2008 which the researcher could obtain wer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and the articles which contained “home” and “family” were categorized through completed survey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There were 207 articles out of 409 volumes of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which were categorized as above mentioned, and the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periods of every 20 years which specifies the family discourse, from 1950s to 1960s, 1970s to 1980s, and 1990s to 2000s. At the second stage, the analysis on the certain family type of North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bject of the articles which categorized at the first step. At the third stage, original North Korean resources will be referred to study the important events and follow the trends of each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family discourse on the 1950s and 1960s focuses on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family which was formula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 Authority. Above all, it is concentrated that family discourse on this period encouraged women’s participation on society. In 1970s and 1980s, it is thought that the North Korean society reached plateau and the family discourse has been incredibly changed in 1980s. In 1970s, the family discourse aimed "Family Revolutionization”, while traditional family function was emphasized due to the “Socio-politico Life Theory” in 1980s. In 1990s and 2000s, it is analyzed that financial difficulties after 1990s had been affected on family discourse. It is said that family function to resolve the financial difficulties has been emphasized, and to build appropriate concept of the family followed by “Military oriented ideology” which North Korea Authority had sugges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family in North Korea described in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is “Daegajung (Extended Family)” and “Revolutionary family”. It is depicted that the features of “Daegajung(Extended Family)” and “Revolutionary family” describe different meanings and have different domains at each period. In 1950s, “Daegajung(Extended Family)” contains “Union” and “Inminban(Group of Local Community)” with family as center, while in 1970s, the concept had expanded due to “Socialistic Extended Family”, describing the whole nation as a family members such as “Kim Il-Sung” as a father, the party as a mother, and the crowd as children. In 1990s and 2000s, the concept of the party as a mother had disappeared affected by “Military oriented ideology” in “Daegajung(Extended Family)”, but the “army” had appeared instead as a new boundary of the new family. Meanwhile, the concept of the “Revolutionary family” had meant a family accomplishing the order from the party and the Marshal general based on“Juche(Self-reliance)” in 1970s ~ 1980s, while it has changed its meaning as a sacrificing family for the army based on “Military oriented ideology” in 1990s ~ 2000s. This research shows that social change has affected discourse on North Korean family through analysis of the family discourse analysis. It is appeared that “Joseon Yeosung(Woman in North Korea)” contains specified characteristics of family discourse of each period. In 1950s ~ 1960s, it suggested the function of the family for women to enter society while in 1970s ~ 1980s to enforce sacrifice of the family for the party and the Marshal general. In 1990s ~ 2000s, it constantly contains the contents that each family should work for the army. The reason why these changes have made is because the conversational topic of the society has affected the family discours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the family has been slowly appeared compared to the demand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tried to enforce the social function of the family to solve the social problem instead of searching governmental solutions. 북한이탈주민은 정착과정에서 가족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남한과 북한에서 가족에 대해 경험하는 차이가 많아 갈등을 겪기도 하고 결국에는 가정이 해체되는 사례도 나타난다. 북한이탈주민 면접을 통해 그들이 북한에서 경험했던 가족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면접 당사자의 기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그들이 경험했던 시기에 한정된 가족 모습만을 파악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북한의 가족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 파악하지 위해 북한 당국이 정권수립 단계에서부터 제시해 온 공식담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조선녀성』은 이러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북한의 공간문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녀성』에 나타나는 가족담론 내용 분석을 통해 첫째, 각 시기별 가족담론의 특징을 파악하고 둘째, 그 속에 나타나는 북한 특유의 가족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구할 수 있는 1956년부터 2008년 사이의 『조선녀성』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첫 번째 단계에서 목차 전수조사를 통해 제목에 가족과 가정이 포함되어 있는 기사를 분류하였다. 전체 409호의 『조선녀성』 발간호 중에서 위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기사는 총 207건이었다. 이렇게 분류한 자료를 살펴보니 20년 단위를 기준으로 각 시기마다 가족담론에 특징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료의 분석대상 기간을 1950~1960년대, 1970~1980년대, 1990~2000년대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단계에서 분류된 기사제목을 기준으로 북한의 특정 가족유형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시대별 주요 사건들과 시기별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 원전자료를 참고하였다. 1950~1960년대 가족담론은 정권수립 이전 형성되었던 전통적 가족개념을 타파하는 것에 초첨을 맞추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여성의 사회진출을 장려하기 위해 이를 중심으로 가족담론이 형성되었다. 1970~1980년대 가족담론은 북한사회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든 시기로 1980년대를 기점으로 그 내용이 크게 변화하였다. 1970년대 가족담론은 가정혁명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1980년대에 들어서는 ‘사회정치생명체론’의 영향으로 가족의 전통적 역할수행을 다시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1990~2000년대 가족담론은 90년대 이후 시작된 경제난의 영향이 그대로 드러난다. 이 시기 북한의 가족담론은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가족의 역할을 강조하고, 당국이 제시한 ‘선군사상’에 적합한 가족 개념을 확립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녀성』에 나타난 북한의 특징적인 가족유형으로 ’대가정’과 ’혁명적 가정’을 들 수 있다.’대가정’과 ’혁명적 가정’유형은 각 시기별로 그 의미와 영역이 다르게 서술된다. 1950년대 ’대가정’은 혈연가족을 중심으로 조합과 인민반을 포함하는 개념이었는데 1970년대에는 ’사회주의 대가정’의 영향으로 김일성과 당을 어버이와 어머니로, 대중을 자녀로 하여 국가 전체를 하나의 가정으로 비유하는 개념의 확장 현상이 나타난다. 1990~2000년대의 ’대가정’은 선군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어머니 역할을 하던 당의 존재는 나타나지 않고, 대신 ’군대’가 새로운 가정의 영역으로 등장하였다. 한편 ’혁명적 가정’개념은 1970~1980년대에는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당과 수령의 명령을 관철하는 가족을 의미하지만 1990~2000년대는 선군사상을 바탕으로 군을 위해 희생하는 가족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시대별 북한의 가족담론 분석을 통해 사회의 변화가 북한의 가족담론에 영향을 미쳐왔다고 결론을 내린다. 『조선녀성』에는 시대별로 특징적인 가족담론이 등장한다. 1950~1960년대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위한 가정의 역할을 제시하는가 하면, 1970~1980년대에는 당과 수령을 위해 희생하는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고, 1990~2000년대는 각 가정이 군대를 위해 생활하자는 내용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사회적 화두가 가족담론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북한 당국의 요구에 비해 가족의 변화가 느리게 나타난다는 것과 북한이 사회문제를 정권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대신 가족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다.

      •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과의 관계 연구

        김미주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공정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의 정도와 그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07년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 하여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oorman(1991)이 개발한 공정성척도, Mowday 등(1979)이 개발한 조직몰입척도, Parsuraman, Zeithmal 및 Berry(1988)가 개발한 고객지향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의 지각 정도는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평균 30.2세로 26 ~ 35세가 54.4%로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56.7%, 종교는 있는 경우가 57.8%, 학력은 3년제 간호대학 졸이 67.8%,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1.1%,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54.4%, 근무년수는 평균 7년으로 3년 이하가 40%로 각각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2.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은 평균 3.05점으로 각 하부영역별로 보면 상호작용공정성은 평균 3.58, 분배공정성은 2.90, 절차공정성은 2.64점 순이었고, 조직몰입은 평균 3.09점, 고객지향성은 평균 3.54점으로 나타났다. 3.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은 조직몰입(r=.635, p=.000), 고객지향성 (r=.214, p=.043)과,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r=.422, p=.000)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4.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의 하부영역별 상관관계 는 r=.225 ~ .843의 범위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정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조직몰입은 학력, 직위, 근무년수, 고객지향성은 연령, 근무년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므로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서는 공정성과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또한 공정성의 하위개념 중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비해 낮게 나타 났으므로 인사관리, 간호관리 등에서 절차공정성을 우선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조직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of nurses by investigating the degrees of the equit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ir interrelation. Data collection had carried out from Oct 30th, 2007 to Nov 5th, 2007 using the organized questionnaire and the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ere subjected to this research. For the investigation methods, the equity index by Mooman(1991),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x by Mowday(1979)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index by Parsuraman, Zeithmal and Berry(1988) were used. As the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Win 12.0,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used.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stimate the degree of the perception of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to appraise the result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given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verage age was 30.2 while the range between 26~35 took the largest portion with 54.4%. For marriage status, single was 56.7% and the percentage who has religion was 57.8%. For the academic background, the graduates of 3-year program in nursing college were 67.8%. For the job position, general nurse was 91.1% and for the working department, the general ward was 54.4%. For the length of service, the below 3 years was 40% and average was 7 years. 2. The degree of equity recognized by clinic nurses was 3.05 on average, and by each subcategory, the interactive equity was 3.58 on average, the distribution equity was 2.90 on average, the process equity was 2.64 on averag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09 on average,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appeared to be 3.54 on average. 3. The equity recognized by clinic nurses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interrelation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r=.635, p=.000) and with the customer orientation(r=.214, p=.043).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t interrelation with the customer orientation(r=.422, p=.000). 4. The interrelation of each subcategory of the equity,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recognized by clinic nurses showed a significant record in the range of (r=.225 ~ .843) 5.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s, the job position and the length of service where the customer orientation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age and the length of service. In summary, since the clinic nurse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alized equa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lution for increasing the eq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linic nurses in order to improve their orientation toward customers. Also, among the subordinate concepts of equality, since the procedural equality has been shown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distributive equality and the interactive equa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ocedural equality first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nurse management.

      • '-어 하-'의 통합 양상과 의미기능

        김미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gration pattern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construction of ‘-eo ha-’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By looking at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of ‘-eo ha-’, it was noted that ‘-eo ha-’ has various senses, playing a role in synchronic language use. Until now, '-eo ha-' has been suggested as functions such as ‘Verbalization’, ‘Relaxation of Person Constraints’, and modal meaning such as ‘Egophoricity’ and ‘Evidentiality’ within the integration with psychological and sensory adjectives. However, in the actual corpus, '-eo ha-' appears behind various categories other than psychology and sensation. Furthermore, its semantic function can also be revealed in more various ways. In Chapter 2, each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has been summarized and the necessity of describing ‘-eo ha-’ as a grammatical construction with multiple senses is shown. Chapter 3 presents a specific list of preceding elements of '-eo ha-', and divides them into two mai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bjectivity. Since the ‘internal state’ expressed by psychological and sensory adjectives can only be directly known by the speaker at the time of utterance, the subject is limited to the first-person speaker in the present tense. In this case, subjectivity is high because the speaker's perception and perspective become the main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subject person because other people can perceive the cases related to the expressions that represent external behavior based on internal states, human personality/attitudes, and physical movements. I have grouped them into the category with relatively low subjectivity. Among them, in expressions of physical movement, a new integration pattern was found which was not presented as a preceding element of ‘-eo ha-’ in previous studies. Also, in recent years it has been shown that exceptional integration patterns have been additionally found in the context of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In this regard, I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list of preceding elements of ‘-eo ha-’ is gradually expanding. Chapter 4 presents the factors of '-eo ha-' integration for each semantic type of preceding element, and explains the factors in common. First of all, the factors that made ‘-eo ha-’ integrated with the high-subjectivity class are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internal states’, ‘demand of activity’, and ‘emphasis on the meaning of observation’. On the other hand, the low-subjectivity class does not include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internal states’ in the ‘-eo ha-’ integration factor. Instead, ‘demand of activity' and 'emphasis on the meaning of observation' are presented as integration factors. Through these two common factors, the possibility of gradual expansion of '-eo ha-' distribution is suggested.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ains the meaning of 'observation' as a conventionalized meaning from the context in which '-eo ha-' wa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of '-eo ha-' describing the subjective internal states of the third-person subject,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can be observed by others. In addition, regardless of person, '-eo ha-' is used to satisfy demand of activity, so it is used more frequently in the context of observation. As a result, the meaning of the '-eo ha-' construction itself can be recognized as an addition to the meaning of 'observation' as it repeatably appears regardless of person in the context of observation itself. All the preceding elements of ‘-eo ha-’ included 'activity' and 'observation' factors, therefore the two factors can be said to play a major part in the expansion of the '-eo ha-' distribution. This is also supported by he fact that the exceptional cases of integration were mainly revealed in the description and observation context. Chapter 5 lists the grammatical elements that affect the necessity and optionality of '-eo ha-' integration patterns. Even if the elements that can precede '-eo-ha-' in Chapter 3, '-eo ha-' integration phenomenon was realized differently due to essential, impossible, or optional trends depending on which grammar elements follows. By revealing each grammatical element and its characteristics, it is shown that the integration factor of '-eo ha-' discussed in Chapter 4 also interacts with the given syntactic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o ha-' construction is actively used with multiple meanings, and its distribution expanding, thus being a synchronic grammar element. Chapter 6 summarizes the above discussions and considers limitations. 본고는 현대국어 ‘-어 하-’ 구성의 통합 양상과 의미기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 하-’의 선·후행요소를 살핌으로써, ‘-어 하-’가 공시적인 문법 구성으로서 여러 의항을 갖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간 ‘-어 하-’는 심리·감각 형용사와의 결합 구성을 대상으로, ‘동사화’, ‘인칭 제약의 완화’, ‘자기조응성, 증거성 등의 양태적 의미’ 등의 기능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말뭉치에서 ‘-어 하-’는 심리·감각 외의 다양한 범주 뒤에서도 나타나, 그 의미기능 또한 보다 다양하게 드러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의 각 논의를 종합한 뒤, ‘-어 하-’를 여러 의항을 갖는 문법 구성으로 기술할 필요성을 보였다. 제3장에서는 ‘-어 하-’의 선행요소로 나타난 구체적 목록을 제시하고, 주관성의 정도에 따라 이들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누었다. 심리·감각형용사가 나타내는 ‘개인의 내면 감정·감각 상태’는 발화시의 화자만이 직접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1인칭 화자로 제약된다. 화자의 인식, 관점이 주된 의미가 되므로 주관성이 높다. 반면 내면 감정·감각과 관련되면서 외현적 행동까지 드러나는 경우와 인간의 성격·태도, 신체 동작을 묘사하는 의미 등은 타인도 비교적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주어 인칭에 대한 제약이 없고, 상대적으로 주관성이 낮다. 이 중에서 신체 동작 의미는 기존 논의에서 선행요소로 제시되지 않았던, 새롭게 통합 양상이 발견된 경우이다. 또 화자에 따라 수용성의 정도는 다를 수 있으나, 최근 들어 인물 관찰·묘사의 맥락에서 예외적인 통합 양상도 추가적으로 발견됨을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어 하-’의 선행요소 목록이 점차 확장되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선행요소의 의미유형별 ‘-어 하-’의 통합 요인을 제시하고, 공통적으로 드러난 통합 요인의 등장 배경을 설명하였다. 먼저 주관성이 높은 부류에 ‘-어 하-’가 통합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내면의 객관화’, ‘동작성 요구’, ‘관찰 의미 강조’가 있었다. 반면 주관성이 낮은 부류는 그 의미상, ‘-어 하-’ 통합 요인에 주관적 내면의 객관화는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동작성 요구’, ‘관찰 의미 강조’가 요인으로 제시된다. 이 공통되는 두 요인을 매개로 ‘-어 하-’의 분포가 점차 확장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관찰’의 의미는 ‘-어 하-’가 빈번하게 사용되던 맥락으로부터 관습화된 의미라고 설명했다. ‘-어 하-’가 3인칭 주어의 주관적인 내면을 서술하는 맥락에서는, 주어의 내면이 타인에게 관찰될 수 있게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 ‘-어 하-’는 인칭과 무관하게 동작성 충족을 위해서도 사용되면서, 관찰 맥락에 더 빈번히 쓰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관찰의 맥락 자체에서도 인칭과 무관하게 ‘-어 하-’ 구성이 빈번하게 나타나면서, 점차 ‘-어 하-’ 구성 자체의 의미가 ‘관찰’의 의미를 더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선행요소의 두 부류 모두에 ‘동작성’, ‘관찰’ 요인이 드러나며, 예외적인 통합 용례도 묘사·관찰 맥락에서 주로 드러난 것을 근거로, ‘-어 하-’의 분포의 확장에 두 요인이 중요하게 관여함을 보였다. 제5장에서는 ‘-어 하-’ 통합 양상의 필수성 및 수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법요소를 정리하였다. 3장의 ‘-어 하-’에 선행할 수 있는 요소라도, 후행하는 문법요소에 따라 ‘-어 하-’ 통합이 필수적이거나, 불가능하거나, 수의적인 경향 등으로 달리 실현되었다. 각각의 문법요소와 그 특징을 밝힘으로써, 4장에서 논의된 ‘-어 하-’의 통합 요인이, 주어진 통사적 환경과도 상호작용함을 보였다. 요컨대 이 논의는 ‘-어 하-’ 구성이 다의적 의미를 지니고 활발히 사용되며 그 분포도 확장해나가는 점에서 공시적인 문법요소라고 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데 의의를 둔다. 제6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고, 논의의 미진한 점들을 밝히며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