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한국어 자동번역기 쌍방향 번역역량 조사 - 독일어 교재 내용 대상으로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3 No.-

        본 연구는 네이버와 구글 기계번역기의 독일어와 한국어 양방향 번역역량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인 독일어 전공 학생들의 기계번역기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구글 번역기(23.3%)보다는 네이버 번역기 파파고(39.7%)를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35.5%는 두 기기 모두를 사용한다고 답했다. 가장 비중이 높은(81.9%) 사용 목적은 독일어와 한국어의 양방향 번역이었다. 번역역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럽공통참조기준에 따라 편집된 A1, A2, B1 수준의 독일어 교재에서 총 1,753개(A1 397개, A2 870개, B1 486개)의 독일어 문장을 추출하여 파파고와 구글 번역기로 번역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를 독일어로 번역하는 역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한 독일어 문장을 한글로 번역하여 그것을 다시 두 번역기에서 독일어로 번역시켰다. 이렇게 도출된 번역결과물이 번역원문의 내용을 손상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적합’과 ‘부적합’으로 구분하여 두 번역기의 번역 성공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독-한 번역에서 구글 번역기가 A1에서 5.8%, A2에서 10.1% 그리고 B1에서 11.5% 파파고보다 더 우세하였다. 한-독 번역에서도 구글 번역기가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었는데, A1에서는 동일한 성과를 올렸고, 구글 번역기가 A2에서는 6.4%, B1에서는 4.2% 더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In dieser Untersuchung wird die bidirektionale Übersetzungsfähigkeit von Googles and Navers Maschinenübersetzer für Deutsch und Koreanisch verglichen. Nach einer Umfrage danach, welche Maschinenübersetzer von koreanischen Studenten zum Deutschlernen verwendet werden, benutzen 39,7% der Befragten Naver, 23,3% Google und 35,6% die beiden. Für diese Untersuchung wurden insgesamt 1753 Sätze aus ausgewählten Lehrbüchern für Deutsch als Fremdsprache extrahiert. Anhand dieser Daten wurde die Übersetzungserfolgsrate der beiden Maschinenübersetzer gemessen. Bei der Übersetzung vom Deutschen ins Koreanische auf der Stufe A1 zeigte Google eine Erfolgsquote von 83,4%, Naver dagegen eine von 77,6%. Auf der Stufe A2 waren bei Google 75,6% und bei Naver 65,5% gelungen; auf der B1-Stufe lag Google bei 86,6% und Naver bei 75,1%. Bei der Übersetzung vom Koreanischen ins Deutsche erreichten auf der Stufe A1 die beiden Anwendungen die gleiche Erfolgsquote von 87,9%. Auf der Stufe A2 zeigte Naver 75,8% und Google 82,2%; auf der Stufe B1 Google 91,4% und Naver 87,2%. Insgesamt betrachtet wurde somit herausgefunden, dass auf allen untersuchten Stufen Google eine bessere Erfolgsquote als Naver hatte. Der Nutzen der Ergebnisse dieser Studie liegt jedoch darin, dass die unterschiedlichen Fähigkeiten der beiden maschinellen Übersetzer es ermöglichen, unterschiedliche Lernsprachen abzuleiten. Kim, Mi-Seoung(2019) betrachtete das Ergebnis der maschinellen Übersetzung als eine Art Lernsprache und schlug eine Methode zur Nutzung des maschinellen Übersetzers zum Lernen von Deutsch als Fremdsprache vor. Diese Studie zeigt, dass es möglich ist, Kims Vorschlag sogar auf das B1-Niveau auszudehnen.

      • KCI등재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관점에서 살펴본 영상동화 출판의 교육 자료화 방안

        김미승 ( Mi Seoung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30 No.-

        본 연구는 동화와 관련된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대학에서 동화를 전공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디지털 동화에듀테인먼트’ 시장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관련 업체에서 개발한 상품에 제한하였는데 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한 5개 업체에서 출시한 5개 상품 브랜드를 조사하였다. 예를 들면 ‘웅진스토리빔, 삼성드림큐브, 스마트아이빔, 키즈패드, 아이코북 (icobook)’이 조사 대상 브랜드다. 그리고 사용된 디지털 기기는 ‘프로젝터, 태블릿 PC)/스마트 기기, 디지털케이블 TV’ 3가지 유형으로 묶을 수 있다. 이 외에 각 회사의 대표적인 브랜드로 제공되는 디지털 동화 콘텐츠로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에듀테인먼트 관점에서 살펴본 영상동화와 출판현황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인문학 전공교육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교육내용을 융.복합의 관점에서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시장에서 요구되는 역량 교육을 사회 수요 기반 교육대상으로 간주하고 이 분야의 역량교육 중 한 부분을 교과목으로 구체화하였다.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education and students who expect to work in a market related with children``s story, the lecture through the image projection on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edutainment will inspire the motivation for working andstudying. And it will also be informative for consumers. Children``s story is a genre of literature and useful as a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s. And it has been used as diverse media representing descriptive value through the ages,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echnical development. It had been passed verbally among people in early times, and then the oral tradition was replaced with books as printing and publications were prevalent. It was also replaced by radio, which is still being used these days. Futhermore, the development of the TV and film industry makes it available to carry sound and images together. Digital devices are the most high-tech among those communication media developed and market-formed recently. This thesis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for digital edutainment of children``s story, which integrates the contents of children``s stories into digital technolog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limited to the products from domestic corporations: Thinkbig by Woongjin, Samsung publishing, SK telecom, Daekyo Corp., and T-Broad by Taekwang Group. And there are 5 brands from these companies: Story Beam from Woongjin, Dream Cube from Samsung, I-Beam from Smart, Kids Pad, and Icobook. There are 3 types of digital equipment used for this research: beam projector, tablet pc, and digital cable TV. It also examines what kinds of digital contents for children``s books from the leading companies there are. For instance, Kids Pad from LG contains 30 Korean folk tales and 30 world classic books for children from school textbooks. There is lots of room to develop products for children``s digital edutainment. They are preferred at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at the moment. However the demand will increase considerably if the education authorities build the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public education in the future. And also the digital edutainment market will be expanded if it is available to exchange information by using a mobile equipment such as a cellular phone, with the ubiquitous educational system being built. Furthermore, if students majoring in Fairy Tale, Media and Contents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by acquiring this information through the 3-hour lecture, the attempt to integrate contents of children``s story into digital technology make students accept the convergence education more easily.

      • KCI등재

        교양수업에서 문화 간 탄뎀소통으로 상호문화역량을 함양하는 방안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91 No.-

        오늘날 대학의 교양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전환 중이다. 본 연구는 이 중 하나인 글로벌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양교과목 개발과 운영 경험을 학술적 관점에서 반추하면서 그것을 공유하여 국내 교양교육 발전과 더불어 대학생들의 상호문화역량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호문화역량 교육을 탄뎀학습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교양교육 교과목 개발 및 운영 경험을 공유한다. 탄뎀학습 방법을 상호문화역량 교육에 적용하면 상호문화 행동역량 함양이 교양수업을 통해 가능하다. 탄뎀학습법으로 한국인 학생들이 외국인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면서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을 체험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상호문화 인지능력과 소통능력이 향상된다. In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anhand von einigen Unterrichtserfahrungen die Frage untersucht, wie man das Tandem-Lernen zur Verbesserung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sfähigkeit im Rahmen der humanistischen Bildung an Universitäten nutzen kann. Beim Tandem-Lernen hat jeder Teilnehmer im Unterricht zahlreiche Gelegenheiten, mit ausländischen Lernpartnern interkulturell zu kommunizieren und zu interagieren. Dabei zielt der Unterricht darauf ab, die interkulturelle Handlungskompetenz der Teilnehmer zu fördern. Das Tandem-Lernen im untersuchten Unterricht wurde wie folgt gestaltet: Zuerst stellt der Lehrer den Teilnehmern Diskussionsthemen vor, die auf anekdotischen interkulturellen Erfahrungen ausländischer Studierender in Korea basieren, und erklärt, wie die Teilnehmer damit umgehen können. Anschließend diskutieren die Teilnehmer in jeder Tandem-Lerngruppe über die angegebenen Themen. Dabei fasst einer in der Gruppe die Diskussionsinhalte zusammen und überträgt sie in ein Online-Diskussionsforum, in dem die Teilnehmer außerhalb des Klassenraums ihre Meinungen schreiben. In einer 'uncontact'-Lernsituation findet der Unterricht auch in diesem Lernprozess online stat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수업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4 No.-

        Mit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anhand eines Experiments fur Deutsch als Fremdsprache die Frage untersucht, ob und wie auf kunstlicher Intelligenz basierende Übersetzungsprogramme wie Google und Papago als Hilfsmittel im Unterricht eingesetzt werden können. Im Unterricht sollte jeder Deutsch-Lerner 15 auf Koreanisch formulierte Sätze ins Deutsche ubersetzen. Dabei wurde die Aufgabe in funf Schritten abgeschlossen: Als erstes realisierte jeder Kursteilnehmer die Übersetzung alleine nur mithilfe von Online-Wörterbuchern. Hiernach wiederholte er den Vorgang unter ausschließlicher Verwendung von Google bzw. Papago. Anhand der Ergebnisse dieser Übersetzungsprogramme bearbeitete und verbesserte jeder Kursteilnehmer dann seine ersten Übersetzungsentwurfe. Schließlich bildeten die Teilnehmer Zweiergruppen, in denen gemeinsam die passendsten Übersetzungen ausgewählt wurden. Zuletzt zeigte und erklärte der Kursleiter allen die vorgesehenen Antworten, so dass die Fehler selbstständig korrigiert werden konnten. Die gewonnenen Daten erlaubten es, die Lernerprogression zu analysieren, d.h. es wurde untersucht, ob sich der Spracherwerb im ersten Lernschritt (mithilfe von Online-Wörterbuchern) durch die weiteren Lernprozesse (durch maschinelle Übersetzungssoftware, durch Kooperation unter Kursteilnehmern) verbesserte oder verschlechterte. Insgesamt ließ sich nachweisen, ob und inwieweit der Spracherwerb und das Lernverhalten der Deutsch-Lernenden hinsichtlich folgender Kriterien Veränderungen unterlag: a) Verbesserung des Spracherwerbs b) Ruckstand der Lernersprache c) Beibehalten der Lernersprache.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기반 다국어학습 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학의 외국어 학습환경 개선 방안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7 독일어문학 Vol.78 No.-

        Nach dem konstruktivistischen Ansatz sind zum Erlernen einer Fremdsprache eigeninitiierte Lernaktivitaten sowohl im als auch außerhalb des Unterrichts von großer Bedeutung. Es ist offensichtlich, dass eigeninitiierte Kommunikationserfahrungen mit Muttersprachlern der Zielsprache im Alltagsleben den Lernprozess fordern. Koreanische Deutschlerner haben jedoch nur selten die Moglichkeit, Deutsch in ihrem Alltag zu sprechen, da kaum Muttersprachler in Korea leben. Diese Untersuchung zeigt mit Hilfe von uber sozialen Netzwerken (SNS) gefuhrten Tandem-Dialogen zwischen koreanischen Deutschlernern und deutschen Koreanischlernern, wie sich die Konversationsfahigkeit verbessern lasst. Vier in Deutschland lebende Koreanischlerner und sechs in Korea lebende Deutschlerner nahmen als Tandempartner an dem Pilotprojekt teil, das zu Forschungszwecken organisiert wurde. Diese Untersuchung geht davon aus, dass die zweisprachige freie SNS-Kommunikation im Tandem nicht nur einen sprachlichen Lerneffekt hat, sondern auch einen interkulturellen Beitrag leistet. Hinsichtlich des sprachlichen Lerneffektes wird analysiert, ob und inwiefern die Teilnehmer Fehler korrigieren. Dabei zeigte sich, dass die Muttersprachler die sprachlichen Fehler des Kommunikationspartners nur in den folgenden beiden Fallen korrigierten: Entweder waren die Außerungen schwer oder uberhaupt nicht zu verstehen oder der Lerner bat explizit um Korrekturen.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기반 독일어 문법교육 개선 방안) - 거꾸로 수업과 탄뎀외국어학습법 중심으로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8 독일어문학 Vol.81 No.-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sich das Grammatiklernen im DaF-Unterricht an koreanischen Universitäten unter Berucksichtigung von aktuellen Forschungserkenntnissen optimieren lässt. Das selbstgesteuerte Lernen steht im Zentrum der Diskussion. Die Lernaktivitäten beim Fremdsprachenerwerb können in drei Phasen unterteilt werden: A) Vor dem Unterricht, B) Im Unterricht, C) Nach dem Unterricht. Die Methode des umgedrehten Unterrichts("flipped classroom") eignet sich fur die Lernphasen A) und B), während das Tandem- Lernen bei Lernphase C) zur Anwendung kommen kann. Der umgedrehte Unterricht ermöglicht es den Studenten, die Grammatik individuell oder im Kollektiv - aber immer selbständig - zu lernen. Der eigentliche Unterricht dient dann dazu, dieses vorher erarbeitete Wissen zu uben. Im Anschluss wird den Studenten angeboten, ein SNS-basierte Tandemkommunikation mit deutschen Muttersprachlern zu initiieren. Dadurch wird das neue Grammatikwissen in naturlichern Kommunikationssituationen erprobt.

      • KCI등재

        학생들의 직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독일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향 소개

        베트나르츠지그리트 ( Sigrid Bednarz ),김미승 ( Kim Mi-seoung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8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2 No.-

        유럽연합 차원에서 유럽공통의 대학교육 개혁을 추진하는 볼로냐 선언이 독일에 도입되면서 독일대학에 교육시스템뿐만 아니라 교육과정과 내용면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대학들이 학사과정을 수용하여 학생들이 대학 졸업장을 갖고 좀 더 일찍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을 트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개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면에서 변화하고 있는 독일 대학의 모습 중에 특히 학생들의 직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편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제 I장에서 독일 대학의 전반적인 변화 동향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제 III장에서는 직업수행능력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았다. 직업수행능력은 다음 4가지 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통합된 능력이다: - 전문지식 수행능력(Fachkompetenz,) - 문제해결수행능력(Methodenkompetenz) - 사회적 행위 수행능력(Sozialkompetenz) - 자기 계발 수행 능력(Personalkompetenz). 이어 III.2장에서는 이러한 직업수행능력 교육을 위하여 독일대학들이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지 개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대학의 교양과정과 같은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지만, 이와 더불어 교육내용이나 교육과정에 학생들이 향후 직업 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선행 연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장실습, 현장에서 발췌한 사례분석이나 조사, 현장 조건을 도입한 시뮬레이션 등의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그리고 IV장에서는 독어독문학과 같은 언어 관련 인문학 전공에서 직업수행능력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독일 대학들의 노력을 개괄하여 소개하였다. 이러한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개발할 때 향후 직업세계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게 될 상황을 고려하되, 추구하는 과제는 어느 특정 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전형적이며 통합적이어야 한다. 물론 대학의 교육여건에도 맞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중심의 조별 과제 해결형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향후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직업수행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필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삼아 프로젝트 수업을 수행한 방법을 소개하였다. 프로젝트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을 교육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삼아 그가 한국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도록 했는데, 이 작업을 조별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한국사회에서 독일인을 대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향후 직업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 과제를 조별로 수행하여 조직적인 문제해결 능력도 함께 연습하게 된다. 물론 독어독문학의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을 학생들의 직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개선한다고 하여도 그것만으로는 전공의 특성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다. 이 문제는 학생들이 졸업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전체 학점규모를 고려하면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제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문제는 독어독문학 전공과 어떠한 전공이 직업수행능력 향상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답을 찾는 것이다. 아마도 학생 개인별 조건과 취향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

        지중 가스 수송 강관의 차량 이동 속도에 따른 응력 분포 특성

        원종화(Jong Hwa Won),김문겸(Moon Kyum Kim),유한규(Han-Kyu Yoo),김미승(Mi Seoung Kim) 한국가스학회 2008 한국가스학회지 Vol.12 No.1

        주기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도로 하부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 배관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도로 설계 기준 및 가스공사 배관관리 규정에 의거, 현재 매설 실정을 타당하게 모사할 수 있는 유한요소모델을 구성하였으며, DB-24 하중의 진행속도에 따른 배관 발생 응력분포를 검토하였다. 매설 심도 1.5 m, 차량 이동 속도 40~160 km/h에 대하여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80 km/h를 정점으로 응력의 증가 추세가 감소로 돌아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B-24하중에 의하여 최대 약 10 Mpa의 응력이 증가 하였으나 설계압력에서 API 5L Gr. X65 매설 배관은 차량의 진동에 대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stimate the integrity and identi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buried gas pipelines subjected to vehicle loads, FE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Highway and Local Road Design Criteria’ and the ‘KOGAS Guideline for Pipeline Management’. The FE model describes the current burial condition of Korea properly, and the DB-24 load model is adopted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considers a varying velocity in the range of 40~160 km/h and Pi = 8 Mpa (internal pressure) with depth cover, Z = 1.5 m. Maximum stress occurs at v = 80 km/h and decreases after v = 80 km/h. The maximum induced stress by DB-24 loads is about 10 Mpa. Under the design pressure,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PI 5L Gr. X65 pipelines have sufficient integrity to withstand the vibration of vehicle loads.

      • Geschichte der Landeskundedidaktik im DaF-Unterricht

        Kim, Mi-Seoung 목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인문과학 Vol.12 No.-

        오늘날의 외국어 교육에서는 언어 교육 못지않게 지역사정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것은 학습목표어 국가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국제적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언어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외국어 교수법의 역사적인 발전에서 살펴보면, 지역사정은 문법연구나 단어와 숙어에 대한 연구 측면과 비교해 볼 때 더 많은 논쟁의 장이었다. 지역사정 개념에 대한 독일에서의 논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70년대를 기점으로 외국어 교육학 연구에서 지역 사정 관련 연구는 다른 관련학문들을 수용하여 긴밀한 학제간의 연관성을 맺기 시작했다. 그리고 문화 및 지역사정을 외국어 교육학의 연구대상으로서 뿐 아니라 연구 결과를 교육현장에서 실현하는 방안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외국어 수업에서 아주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 외국어 수업과는 달리 한국에서 지역사정은 아직까지 독일어 수업에서 독자덕인 이론 체계와 교수법적인 토대가 필요 목적에 의해 부분적인 영역에서 만 소개되었다. 그래서 외국어 수업에서 외국어를 습득할 때 목표국에 대한 정보의 전달의 통합적인 요소로서 만 구성, 전달되고 있다. 고등학교 뿐 아니라 대학의 독일어 교육에서 지역사정 내용 전달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더한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90년도 중반 독문학의 위기에 처하면서 지역사정은 학문적인 영역 뿐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점차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지역사정의 연구 현황에 대한 윤곽을 잡기위해 지역사정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학습내용과 대상을 위한 지역사정 교수법의 역사적 발달 현황을 기술하였다. 이와 연관하여 독일 지역사정의 연구를 토대로 발전한 국내 독일어 수업을 위한 지역사정의 이론적 논의의 방향과 논점들에 대해서 서술했고, 지역사정 교육이 실제 현장수업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어떻게, 무엇으로 교수·학습되고 있는 지를 하나의 가설로서 제시해 보고자 했다. 본 논문의 기본 목적은 국내에서 독일 지역사정 이론 - 개념과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학습방향과 내용들 - 을 도입, 적용하는 과정에서 파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특히 개념의 사용) 재고하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