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公務員)의 삶의 질(質)에 영향(影響)을 주는 요인(要因) 연구(硏究)

        김미숙 ( Meesook Kim ),조경호 ( Kyung-ho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공무원의 삶의 질 수준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은 객관적 차원과 객관적 차원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나 뉜다. 공무원의 6개 객관적 영역 및 10개 주관적 영역에서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민간기업종사자의 수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10개의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나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공무원이 대부분의 삶을 보내는 직장생활에서 어떠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나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장생활 관련 10개 영역 의 만족도가 직장생활 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삶의 질은 객관적 차원에서는 총 6개 영역 중 월수입, 가구수입, 주거형태, 휴가일수 등 4개 영역에서 민간기업종사자보다 열악한 수준임이 판명되었다. 주관적 차원에서는 총 10개의 영역 중에서 교통·통근 영역에서만 공무원의 만족도가 높았고, 건강상태, 직업생활, 가족생활, 가구재 정, 주거생활, 여가시간, 친구관계 등에서 민간기업종사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도 낮았다. 공무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업생활, 가족생활, 가구재정, 여가시간, 친구관계, 지역사회, 한국거주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생활로 국민의 존경심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무원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 공직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보수향상, 승진기회 확대 등이 필요하고 아울러 가족과 직장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가족친화적 정책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of public employees an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QOL). There are two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objective and subjective dimensions. These dimensions of QOL of the public employees are compared with that of private sector workers. Ten areas of satisfaction in life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QOL. In addition, ten areas of satisfaction of workplace where civil servants spend most of their time, were selected to find factors affecting work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objective dimension, in four out of six areas - monthly income, family income, living arrangements, and leisure time - public employees were treated less favorably than their private sector counterpart. In terms of subjective dimension, in seven out of ten areas - health, work, family life, family income, living arrangement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 and 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public employees have lower satisfaction than private sector counterpart. It turned out that the satisfaction with work, family life, family finances, friends, community and country are affecting QOL. Among these factors satisfaction with work affected QOL most. In respect to satisfaction with work, factors such as income, coworkers, department, autonomy, and people`s respect toward public employee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o improve QOL of public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it is necessary to raise income, gurantee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 adopt family friendly-work policy to enable public employee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 KCI등재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Meesook Kim),원영희(Younghee W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한부모가 지각하는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저소득층이 밀집된 46개 지역에 거주하는 한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교차분석 및 t-test, 그리고 위계적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통제감은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아통제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감이 낮았다. 2) 자아통제감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아통제감이 높은 한부모 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편이었다. 또한 고연령이고, 수입이 많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가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예상외로 자아존중감 모델에서 사회적 지원을 받는 경우 주관적 복지감은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즉 가족, 친지, 공공기관으로부터의 도움은 오히려 한부모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한부모에게 자아통제감을 제고하는 것이 이들의 주관적 복지감을 높일 수 있는 주요 방안이므로, 향후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을 제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관련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공적부조보다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나 자활프로그램 등의 강화를 통해 한부모의 자아존중감 제고를 통한 빈곤극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the low-class single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ail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single parents residing in 46 areas nationwide. The dependent variable is single parent’s subjective well-bing, includ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 social support factor, and self-control factor.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tilized. The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1) Self-control affected depression negatively. Those with high self-control have low depression. 2) Self-control influenced self-esteem positively. Those with high self-control have high self-esteem. Based on the findings, this has propos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low-income single parents, raising self-control is very urgent. Developing various counseling programs and assisting in forming self-help groups should be the policy’s first priority to boost the self-control capability of single parents, followed by health promotion and the enforc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since social support, public support in particular,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single parent negatively, both active labor market policy and self-reliant policy should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in devising policies.

      • KCI등재

        교회(敎會)의 사회복지활동(社會福祉活動)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김미숙 ( Meesook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保健社會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인적, 물적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교회사회복지활동과 교세의 증감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회사회복지활동과 교회성장과의 관계 및 교회사회복지활동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교회의 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주로 기술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특히 목회자의 복지에 대한 인식, 사회복지전문가의 역할, 교인의 복지에 대한 인식, 교회간의 협력체계 구축, 사회복지 예산 확충 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을 회귀분석을 하여 유의한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교회의 사회복지활동과 교세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영향력의 순서대로 교회의 사회복지예산, 교인수, 교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사회복지전문가 유무, 교회소재지, 사회복지활동을 위한 시설의 충분성, 교회개방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회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교회간의 협력 정도, 교회와 타 기관과의 협력정도, 사회복지를 위한 인력의 충분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울러 교회사회복지활동은 교세의 증감과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음이 밝혀졌다. 이로써 교회사회복지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복지예산증액, 교회인력활용, 교인의 인식제고, 사회복지전문가 양성, 농촌교회 지원, 교회시설활용, 지역주민에 교회 개방 등을 제안하였다. 이때 한국 교회는 실추된 공신력을 회복할 수 있게 되고 교회성장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Previous research utilized descriptive analysis. Research findings assume that major elements related with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are the pastors` perspectives on social welfare, social workers roles, cooperation among local churches, and the budget for social welfare activities.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above hypothe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members in the church. It h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are the budget for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church members` awareness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 in the church, the location of the church(urban area or rural area), church facilities, and church openness to the local community. Meanwhile, the pastor`s awareness on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cooperation among churches and other institutions have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factor. It has also found that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nges in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Active social welfare activities are related with the growth of church memb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vive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ies churches should increase the social welfare budget, utilize church facilities for social welfare, raise church member`s awareness on social welfare, hire social worker(s), assist urban churches, and open churches to the community. Through promoting the participation in more active social welfare activities, Korean churches can regain the reputation which has faded recently.

      • KCI등재

        남녀(男女)의 성역할(性役割)에 대한 태도(態度)가 정신건강(精神健康)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미숙 ( Meesook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保健社會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男女의 性役割에 대한 態度가 精神健康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미국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影響力이 남성과 여성에게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傳統的性役割態度를 갖고 있을수록 공동체, 종교, 고용상태 및 수입에 대한 만족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傳統的인 성역할태도를 갖고 있는 사람이 現代的인 성역할을 갖고 있는 사람보다 자존감이 더 낮았고, 우울감을 더 경험한다. 즉, 긍정적인 측면의 정신건강 수준은 높았으나, 부정적인 측면의 정신건강 수준도 함께 높게 나타나, 총체적으로 정신건강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동체와 가사노동에 대한 만족감에서 전통적인 여성이 전통적인 남성보다 더 이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성역할과 만족감에 대한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로 이에 대한 신중한 해석이 내려져야 하겠다. 여성의 經濟活動參與率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신건강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성역할태도는 남녀간에 융통성 있게 상호 교환가능하고 평등한 역할이라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impact of gender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mental well-being is tested with the sample of 706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reveal the significant impact of gender role attitudes o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religion,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People with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ose domains of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they have low self-esteem as well as high depression. Th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contrary to much popular and clinical belief, the presence of positive mental well-being (high satisfaction) does not automatically guarantee the absence of negative mental well-being (low self-esteem, low depression). Gender and gender role attitudes have interaction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nd housework. The result indicates that traditional females are more satisfied with community and housework than traditional males or nontraditional females. However, this result is not conclusive, because most extant research suggests that females are less satisfied, especially with housework. Therefore, for further research a more elaborate sex-role theory is need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impact of gender role attitudes on these well-being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well-being,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flexible and equal gender role attitudes are desirable.

      • 공공 아동보호체계 개편실태와 과제

        김미숙 ( Meesook Kim ) 한국어린이재단 2021 동광 Vol.116 No.-

        본 고에서는 새롭게 개편된 공공 아동보호체계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제도가 안고 있는 쟁점들을 살펴본 후, 개편된 아동보호체계의 정착화 방안을 논하였다. 새로운 아동보호체계에서는 과거와 달리 ‘공공’이 아동의 발견에서 사후관리까지 전 단계를 주도한다. 시·군·구의 아동보호팀을 중심으로 보호대상아동과 학대피해아동을 보호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개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장 조사기능을 강화하여 아동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아동보호 전 단계에서 공공이 개입하도록 하였다. 개편된 아동보호체계의 쟁점으로는 담당인력 역할 모호 및 과중, 신분문제, DB 접근성의 한계, 아동복지 인프라 부족 등이다. 개편된 아동보호체계를 안착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업무 명확화, 적정 근로조건 제공, 충분한 인력확보, 인프라 확충, 정보시스템 개편, 아동보호체계와 아동학대체계의 통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ly reformed public child protection system as well as its major issues. In addition, it discussed ways to settle the system. Unlike the past, under the modified system the public leads every step of the child protection, starting from case intake to monitoring. Public’s intervention to children in-need as well as abused children has now become effective, as the child protection team has been set up in every Si-Gun-Gu. In addition, it has been feasible to understand situations objectively and accurately by building up the elaborate on-the-spot inspection, to make the workable c hild p rotection p lan, a nd t o m onitor t he results. At all stages of child protection, the public performs major roles. However, there are several key issues in the revised system such as vague role of the employees, their work overload, the rather unstable status and job rotation, limitations in accessing the data base, and the lack of child protection infrastructure. What are needed to settle the new child protection are to clarify the employees’roles, to provide appropriate labor conditions, to ensure enough labor power and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and to integrate child protection system and child abuse system.

      • KCI등재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은 4대 아동권리를 골고루 반영하였나?

        김미숙(Kim, Meesook),배화옥(Bae, Hwa-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2020년 한 해 동안 정부가 도입했던 코로나19 대책들이 유엔아동권리협약이 표방하는 아동의 4개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 4개 유형의 아동권리를 골고루 반영하였는지, 관련 쟁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여 코로나19 대책이 아동권리 관점에서 실행되었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연구 대상이 된 정부 부처는 아동권리 관련 대책을 신규로 도입하였거나 기존 대책을 확장한 것으로 판단되는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법으로 3개 정부 부처의 홈페이지, 내부업무자료, 보도자료 등을 색인하여 정리 분석하면서 연구 목적을 얻고자 하였다. 3개 정부 부처가 실행하였던 코로나19 대책을 아동권리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아동권리 유형의 충돌, 포괄성 문제, 대책의 중복성과 분절성 문제, 주요 대책의 누락 문제가 쟁점으로 지적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개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골고루 보장하기 위하여 정부 부처가 마련하여야 할 정책적 과제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체계와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고자 할 때 아동권리 관점에서 실행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아동의 최우선 원칙이 지켜져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governmental COVID-19 policies practiced during the last year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to examine whether the governmental COVID-19 policies are related to four principal children’s rights (i.e., right to survival,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development, and right to participation), whether the policies have evenly reflected the four types of the children’s rights, and what problems the government has faced.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policie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COVID-19. This study collected and reviewed available data and material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agenda such as conflict of children’s rights, comprehensiveness of policies, duplication and fragmentation of policies, and missing of critical polici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to secure four principal children’s rights. We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actice policies and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and that the children’s rights need to take precedence over the others for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이번엔 아동을 제대로 보호할 수 있을까?-아동보호전담요원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숙(Kim, Meesook),김시아(Kim, Si Ah),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3

        본 연구는 ‘포용국가 아동정책’과 관련하여, 공공 아동보호수행체계 전담인력으로 2020년 10월에 새롭게 고용될 예정인 아동보호전담요원 도입시 필요한 전제조건과 아동보호체계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서 전담인력에 부과될 필요가 있는 역할에 관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보호체계 최일선에 있는 아동보호업무 담당 공공 및 민간종사자, 총 44명에 대한 초점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수행하였다. 6차에 걸쳐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아동보호전담요원 도입전 선결과제’ ‘아동보호전담요원 주요 업무’ ‘아동보호전담요원 도입후 예상문제’라는 3개 주제와 1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보호전담요원 제도가 현실에 안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업무매뉴얼 마련, 인력의 전문성 확보 및 양질의 근로조건 제공, 교육체계의 정비, 전문적인 수퍼비전 체계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explore the preconditions for hiring new child protection workers to be recruited on October, 2020, based on the national action plan entitled “Children’s Policy of Inclusive Korea” and to examine the workers’ roles that are needed to properly operate the child protection systems. A total of six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tilized to 44 workers in charge of child protection from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analyses generated three categories (“preconditions in adopting the child protection worker system,” “major tasks of child protection workers,” “anticipated obstacles when launching the system”) and 13 sub-categorie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of successfully adopting the new child protection worker system, such as preparing a detailed manual, recruiting skilled workers, offering favorable working conditions, developing a training system, and providing professionally appropriate supervision.

      • KCI등재

        아동의 생활시간 변화와 삶의 질에 대한 종단연구

        김미숙(Kim, Meesook),배화옥(Bae, Hwa-ok)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생활시간 변화추이, 아동과 가족 특성별 생활시간 차이, 생활시간의 종단적 변화가 삶의 질인 아동의 신체 증상,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생산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자료 가운데 초4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2010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2015년 중학교 3학년까지 6년간의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아동 생활시간은 수면시간, 학습 시간, 미디어 시간, 친구 시간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6년간 아동의 수면시간은 꾸준하게 감소하는 추이였고, 학습 시간은 감소하다가 중3 때 상승하였다. 미디어 시간은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중학교 들면서 약간 감소하였고, 친구 시간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아동과 가족 특성별 생활시간 차이를 보면, 수면시간은 도시 거주, 고소득 가정의 아동이 적었고, 학습 시간은 여아가 남아보다, 모 학력이 높을수록, 맞벌이 가구와 양부모 가족 아동이, 도시 아동이 농촌 아동보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았다. 미디어 시간과 친구 시간은 남아가 여아보다, 모 학력이 낮을수록, 비양부모 가족 아동이,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았다. 친구 시간은 홑벌이 가구의 아동이 더 많았다.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수면시간, 학습 시간, 친구 시간이 빠르게 줄어들수록 아동의 신체 증상은 덜 낮아졌으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더 낮아졌다. 반면 미디어 시간이 빠르게 증가할수록 신체 증상은 더 많아졌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덜 상승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생활시간 사용상의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the changes in children’s use of time, the time-use differenc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the impact of time-use change on their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physical symptoms,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s study used the fourth grad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produc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Korea. The data from 2010 to 2015 were used to examine changes in children’s use of time over a six-year period from the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Children’s time was categorized into sleeping, study, and media time, and time spent with friends. Children’s sleeping time showed a pattern of consistent decrease over the six years. Study time decreased at first but increased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Media time increased drastically at first but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s and time with friends consistently increas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use of time. Urban children of high-income families had shorter sleeping times. Longer study hours were observed among girls, among the children of moth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among those from dual-income parents, higher-income families, and two-parent families, and among those living in urban areas. Regarding both media time and time with friends, longer hours were observed in boys, children of mothers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those from single-earner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and lower-income families, and thos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Analyse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found that as sleeping time, study time, and time with friends decreased, physical symptoms were less likely to decrease, wherea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On the other hand, as media time increased, physical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wherea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less likely to increase.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ren’s time use were suggested aiming to raise the quality of children’s lives.

      • KCI등재후보

        도시와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의 복지와 여가수준 비교연구

        김미숙(MeeSook Kim),신어진(Oejin Shin)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도시의 아동청소년의 복지 및 여가 수준을 농산어촌 아동청소년과 비교하고, 아울러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생산하고 있는 제4차 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표본수는 총 3,145이었고, 평균 연령은 17세(고2)이었다. T-test와 다중회귀분석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거의 모든 복지관련 변수에서, 삶의 만족도, 여가만족도, 부모애착, 교사 및 학우관계,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은 도시 아동청소년에 비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비록 도시 아동청소년이 농산어촌보다 높은 스트레스와 학업부담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복지수준은 농산어촌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스트레스는 곧 도시 아동청소년의 밝은 미래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이 도시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 유일한 변수는 지역요인에 있었다.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인 여가수준에 있어서도,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은 불리한 상황에 있다. 농산어촌에는 여가시설에의 접근도가 낮고, 여가시설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결론: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의 복지와 여가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산어촌에 대한 인프라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을 제안하였다. 한편 도시 아동청소년에게 부족한 자연체험활동을 위해서 농산어촌 학교와 도시학교와의 자매결연을 맺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welfare level and leisure activities of children and the youth in urban areas with rural areas,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ir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fourth wave of the Youth Pane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has been utilized. A total of 3,145 sample was drawn, and the average age of the sample was about 17 years old (a sophomore in high-school).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has been employed. Results: In almost all welfare related variables including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pare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the rural children and youth showed lower scores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The only factor whose score was higher to the rural children and youth was community factor including community attachment and guidance. In terms of leisure (satisfaction) level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predicting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the rural children and youth revealed unfavorable condition, as their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was low and there were less facilities in rural areas in the first place. Conclusions: As a way to improve the welfare and cultural level of rural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proposed to make investment to the rural areas by providing them with welfare and leisure infra structure and various welfare and leisure programs. To improve the outdoor leisure activities of the urban children and youth, setting up a sisterhood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빈곤율 수준과 아동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미숙 ( Meesook Kim ),배화옥 ( Hwa-ok B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保健社會硏究 Vol.27 No.1

        아동빈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아동빈곤 예방을 위하여 아동빈곤에 대한 이해, 국가적 통계 생산, 관련요인 분석 등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2004년도 국민생활실태조사」원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적 아동빈곤율 및 빈곤아동인구 산정, 아동빈곤의 계층화, 그리고 아동빈곤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빈곤의 계층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2003년 절대아동빈곤율과 상대아동빈곤율은 8.9%, 14.9%이고각각의 인구규모는 102만명, 170만명으로추정되었다. 아동이 1명이라도 있는 1,538가구만을 선택하여 절대빈곤선과 상대빈곤선을 근거로 극빈층, 차상위층, 비빈곤층으로 계층화하여 빈곤의 원인을 계층별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거주지역,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그리고 부모 취업형태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농어촌에 사는 조손가정이나 부자가정, 자녀가 많은 임시직·일용직에 종사하는 저학력의 맞벌이 부모가정이 가장 극빈층에 속할 확률이 가장 높으며, 자녀가 많은 임시직·일용직에 종사하는 저학력의 모자가정이 차상위층에 속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Child poverty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e era of economic affluency. In order to prevent child poverty, we need to understand its size, produce national statistics, and find correlates and/or factors in relations with child povert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both absolute and relative child poverty rates in Korea and find factors affecting it using the National Social Life Survey in 2004. We found that the absolute child poverty rate and the relative child poverty rate amounted to 8.9% and 14.9%,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children living below the absolute poverty line and the relative poverty line are approximately 1.02 million and 1.7 million, respectively. This study classified 1,538 household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wo poverty lines, such as extreme poverty, second level poverty, and no poverty. We found that region,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the disability of parents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hild poverty. In conclusion, children living with grandparent(s), single fathers with poor education and under-employment, rural residents, and dual-earner families with low education and part-time employment were most likely to fall into extreme poverty; and single mothers with poor education and part-time employment were most likely to fall to second level pov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