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원영희(Won, Younghee),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압축적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경험, 사고방식, 가치관, 행동 등 세대 간의 차이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세대차이는 권력 불평등과 이해갈등, 세대간 편견과 접촉의 제한 등과 맞물리면서 세대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대 갈등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중요한 사회문제로서, 세대갈등의 원인은 사회적 정체성 이론, 사회적 접촉 가설, 현실적 집단갈등 이론 등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세대갈등 완화 및 세대양극화 해소, 사회 공동체성 회복에 도움을 주는 세대통합은 고령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함은 물론이고, 지속가능한 고령사회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교육학적 관점에서 세대갈등을 해결하고 세대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세대통합 규범의 내재화, 세대통합 문화의 조성, 세대통합을 위한 제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In our society, the generation gap and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e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ompressed economic growth. The generation gaps are being combined with power inequality, conflict of interests, intergenerational prejudices, and limited contacts between generations, which are expanding in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at undermines social integration and prevents social development, and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can be explained by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such as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contact hypothesis, and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eas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resolving generational polarization,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storation of a social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internaliz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norms, the cre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s a way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gerontology..

      • KCI등재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Meesook Kim),원영희(Younghee W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한부모가 지각하는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저소득층이 밀집된 46개 지역에 거주하는 한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교차분석 및 t-test, 그리고 위계적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통제감은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아통제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감이 낮았다. 2) 자아통제감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아통제감이 높은 한부모 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편이었다. 또한 고연령이고, 수입이 많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가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예상외로 자아존중감 모델에서 사회적 지원을 받는 경우 주관적 복지감은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즉 가족, 친지, 공공기관으로부터의 도움은 오히려 한부모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한부모에게 자아통제감을 제고하는 것이 이들의 주관적 복지감을 높일 수 있는 주요 방안이므로, 향후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을 제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관련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공적부조보다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나 자활프로그램 등의 강화를 통해 한부모의 자아존중감 제고를 통한 빈곤극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the low-class single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ail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single parents residing in 46 areas nationwide. The dependent variable is single parent’s subjective well-bing, includ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 social support factor, and self-control factor.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tilized. The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1) Self-control affected depression negatively. Those with high self-control have low depression. 2) Self-control influenced self-esteem positively. Those with high self-control have high self-esteem. Based on the findings, this has propos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low-income single parents, raising self-control is very urgent. Developing various counseling programs and assisting in forming self-help groups should be the policy’s first priority to boost the self-control capability of single parents, followed by health promotion and the enforc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since social support, public support in particular,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single parent negatively, both active labor market policy and self-reliant policy should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in devising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