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학교 보건교과의 변천에 관한 연구 -교수요목시기와 제1차 교육과정시기를 중심으로-

        김미경 ( Kim Mikyong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7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3 No.1

        보건교육은 과거 어느 시기에는 필수교과로서의 위상과 역사적 토대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그 동안 체육과 교육과정의 일부로만 알려져 있는 등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학교 보건교과와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현재 보건교육이 처한 상황과 연계하여 초등학교 보건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가교육과정, 법령,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 등을 토대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민학교에서 보건교과는 우리나라가 해방된 이후부터 17년간이나 필수교과로 있었다. 당시 미군정은 한국 사회의 비위생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체육교과를 보건교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청결과 위생관념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보건교과를 가르칠 교사 양성이나 양호교사 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당시 교사들조차 보건교과 지도에 대한 인식과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여, 결국 보건교과는 다시 체육교과로 명칭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건교과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보건교과가 필수과목으로 도입된다 하더라도, 보건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 자격,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교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es into health education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it has long been known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ven though it has had a status of a required course and historical basis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historical context in those days,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health education`s current status. To do that,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search on the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laws, previous studies, related materials, etc. And the literature search showed that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was a required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for 17 years from the time of Korean Independence.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o solve the unsanitary situation in Korea, tried to rename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as that of health education and thereby strengthen awareness for cleanliness and sanitation. But,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and placement of nursing teachers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nd in those days even teachers lacked awareness and consensus on guidance of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so ultimately the subject was named back to that of physical education. This implies that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may not be able to play its intended role as a course even if there is a stress on the subject of health education and it is adopted as a required course unless such preparations as teacher qualification sufficient to teach relevant subjects and support plans are made.

      • KCI등재후보

        소집단 협력학습 활동이 중등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미경(Mikyong, Kim) 다문화건강학회 2022 다문화건강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linguistic competence through small group collaborativelearning in children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three children selected from aclass of six-year-olds at a kindergarten in Mokpo, Jeonnam. The selected children had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and no paresthesia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children who were in a special class for thehandicapped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Mokpo and receiving home education. Results: The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ncreas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ren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improved their comprehension capabilities; third, it improved their ex pressive abilities; finally, it did not enhance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Conclusio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increased the communication skills,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ies of children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 abilities, but did not increase the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children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영자 신문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대학 영어 수업 운영 사례연구

        김미경 ( Miky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영자 신문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대학 영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지방 소재 C대학교 2021년 1학기 대학영어 과목을 총 16명이 참여하였다. 조별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은 (1) 유의미한 과업을 통한 영어학습, (2) 협동 학습을 통한 지식 구성, (3) 협력을 통한 비판적·성찰적 사고력 향상 측면이었다. 부정적인 반응은 비실시간 녹화 수업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진 토의방법운영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토대로 프로젝트 기반 영어교육에 대한 제안은, 기계번역인 MT 사용 허용과 모델링 제공이다. 끝으로, 비실시간 비대면 프로젝트 기반 교수법 관련 후속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English newspapers in an English class. The four-week PBL was embedded in a university during Semester 1, 2021. A total of 1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group journal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oject-based English cour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eaningful English skills development, (2) coope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and (3) collaborative critical and reflective thinking skills. Meanwhile, the students challenged limited discussion in an asynchronous online class. Two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the use of machine translation and modeling. The future research can explore project work within asynchronous online classrooms.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박영근(Park, Yungkeun),이태훈(Lee, Taehoon),김미경(Kim, Mikyong),박경란(Park, Kyungr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 대학에서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있었던 주된 경험 및 느낀 점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수한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30명의 예비특수교사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배우고, 경험하고, 느낀 점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반구조적인 감상문 형태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이후에 5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인 지속적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실습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현장역량들을 많이 기를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현장과 지적장애 학생들을 보다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2년간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경험을 통해서 4학년 1학기에 참여할 정규실습에 대비하기 위한 수업능력향상, 수업시연 자신감 향상, 문제행동 대처방법 숙지에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전공학업이해 증진 및 예비특수교사로서의 진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결론: 예비특수교사들의 현장역량강화를 위해서 4주간의 정규실습 전에 반드시 체계적인 사전실습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for two yea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train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Jeonnam province were asked to write semi-structured impressions about what they had learned, experienced, and felt during the two years’ pre-practicum program. Among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ed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to become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uld understand the special education field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two years’ experience was beneficial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epare the practicum they will participate i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senior grade by becoming confident in preparing for classes and teaching demonstrations and how to address behavioral issu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was beneficial for students to understand academic knowledge and gain confidence in career cho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atic pre-practicum program before participating in 4 weeks’ practicum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gain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as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유창성 및 과제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품사 산출의 양상 비교

        이승진(Seung Jin Lee),김향희(HyangHee Kim),서상규(Sangkyu Seo),김미경(Mikyong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낱말의 이름대기나 자발화 과제를 수행할 때 보이는 품사 사용의 어려움은 실어증의 특성이나 각 나라 언어의 고유한 특성 등에 따라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설명과제와 동화이야기 과제를 이용하여 유도된 실어증 환자군의 자발화에서 품사별 산출 및 오류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좌뇌반구 뇌졸중 환자들 중 실어증을 보이는 55명의 환자와25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발화 과제를 통해 산출된 품사별 산출 및 오류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모든 군에 대해서 가장 높은 산출비율을 차지한 세 품사는 명사, 동사, 조사로 그 순위가 군과는 무관하게 과제 간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따라서, 자발화에서 품사 산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할 때, 두 과제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품사별 산출빈도의 비율을 군 간 비교한 결과, 두 과제 간에 부분적으로만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셋째, 품사별 오류율을 군 간 비교한 결과, 오류의 양상은 과제 간에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동화이야기 과제가 그림설명에 비해서 다양한 통사론적 구조와 줄거리를 지닌 발화를 유도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넷째, 두 과제 간 공통되는 오류유형은음소착어와 대용어 오류였다. 그림설명 과제에서는 그 외에도 의미착어, 신조어, 미완성단어,생략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설명 과제가 주어진 맥락에서 한정된 수의 사물이나인물에 대한 이름대기 과제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논의 및 결론:본 연구를 통해 그림설명과 동화이야기 과제가 서로 유사성과 특이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이로써 실어증 환자의 표현특성을 평가할 때에 동화이야기 과제를 그림설명 과제에 보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Impairment in word production during spontaneous spee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of aphasic speech production and has been shown to depen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s language and task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phasic patients with a wide range in fluency levels are divergent inthe Korean word class production proportions during spontaneous speech. Methods: Spontaneous speech samples using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narrative task of the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Heungbu and Nolbu,’ were elicited and analyzed using nine Korean word classes, three sentence components, and nineerror types. The proportions of frequencies and errors of each word class were compared between and within the two subject groups: 55 Korean patients with aphasia and 25 normal Korean adult control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ased on their fluency levels measured by syllables per utterance during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Results: The most frequently produced 3-word classes were noun, verb, and postposition in both tasks. However, error patterns were divergent among the groups in that the non-fluent aphasic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error proportions in nouns, verbs and prepositions, as compared to the control subjects. The common error types in both tasks were phonemic paraphasias and substitutions. Discussion & Conclusion: Narrative tasks may be used in clinical settings as a supplementation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in order to assess aphasic patients’ spontaneous speech. In further studies, error patterns in various types of narrative tasks or other quantitative indices, such as mean length of utterance, should be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