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DNA 가계검색 활용 검토 - 수사 상당성의 원칙을 중심으로 -

        김면기 ( Kim¸ Myeonki ) 한국경찰법학회 2021 경찰법연구 Vol.19 No.3

        DNA technology has brought remarkable results, such as contributing to the resolution of crim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by the traditional investigative techniques. In movies and dramas, the scene where an investigator identifies a suspect and arrests a criminal through DNA analysis is now becoming a symbolic aspect of criminal investigation. DNA technology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in criminal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However, it is somewhat questionable whether we are fully utilizing these advanced DNA technologies in criminal investigations. In the 21st century, countries are using advanced DNA technology, such as DNA familial search, to identify suspects. Despite these developments, South Korea still uses DNA technology to a limited extent only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t enough consensus on the use of DNA evidence as social controversies continue.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violent cases has been decreasing recently, and the number of cases of early resolution of violent cases in investigative agencies has increased,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the expansion of the use of DNA technology. This study argues that South Korea should also actively review the use of DNA family search. DNA technology is constantly developing, and as confirmed by the ‘Hwa-Seong Serial Murders’ the potential of DNA technology is enormous. Although the social controversy over the use of DNA technology has not yet been completely resolved, investigative agencies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DNA-related investigative techniques before confronting the need.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DNA genealogy analysis technique, it would be a good way to prepare a substantive and procedural control device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investigative relevance.

      • KCI등재

        주요 오판사건에서의 과학적 증거 오류에 대한 경험적 연구

        김면기(Kim, Myeonki),박미선(Park, Miseon) 한국형사정책학회 2022 刑事政策 Vol.33 No.4

        21세기 전후로 물적 증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과학수사 및 과학적 증거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졌으나, 비판적인 논의는 다소 부족한 편이었다. 미국 등 주요선진국에서는 과학적 증거에 대한 문제제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주로 선진국의 동향에 대한 소개에 머물렀고 우리의 실태와 접목시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재심을 통해 명백한 오판으로 확인된 사건들 중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8건을 분석하여 우리 형사재판에서 과학적 증거의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개럿 교수의 선행 연구에 따라, 1) 경험적 증거 없이 통계가 제시된 경우, 2) 경험적 증거 없이비수치적인 주장이 제시된 경우, 3) 무죄를 시사하는 증거가 평가절하된 경우 4) 증거가치가 없음에도 증거가치가 있는 증거로 평가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같은 결과는 과학적 증거의 오류를 보다 체계화·유형화함으로써, 신뢰성에 문제가생길 수 있는 지점을 명확히 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과학적증거의 오류 가능성에 대하여 막연히 추상적으로 인식하거나, 그저 일회적인 우연또는 실수의 결과로 치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형사사법종사자들은 대부분 법·행정 전문가로서, 과학적 증거에 대한 전문성이충분하지 않다. 그렇지만 형사사건에서 유무죄 판단을 위한 사실인정은 어디까지나이와 같은 비전문가들의 몫이다. 재판단계에서 판사가 궁극적으로 판결을 내리지만, 기소 단계에서는 검사가, 수사단계에서는 경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법과학자 등이 과학적 증거 등을 수집·분석·제출하지만, 그 증거의 증거능력 및 증명력 판단은대부분이 비과학자인 판사, 검사, 경찰의 몫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사사법종사자들이 과학적 증거의 오류 가능성과 그 대표적인 유형들을 정확히 인식할필요가 있다. Around the 21st century, as the importance of physical evidence was emphasized, the interest for forensic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evidence increased considerably. However, the critical discussion was lacking. In man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problems with scientific evidence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but South Korea has mainly focused on the status quo of those countri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tudies that explore our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scientific evidence by analyzing eight well-known wrongful convictions cases. Based on professor Garrett s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ategorizes the flawed forensic evidence that 1) statistics were presented without empirical evidence, 2) non-numeric claims were presented without empirical evidence, 3) evidence suggesting innocence was devalued, 4) evidence is considered as valuable even though there was no probative value. This finding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larified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reliability could arise by typifying the errors of scientific evidence. Otherwise, the possibility of error in scientific evidence may be vaguely recognized, or it may be dismissed as the result of a coincidence or mistake. Most criminal justice practitioners are legal and administrative experts, and they do not have sufficient expertise in scientific evidence. Nevertheless, in a it is up to the non-scientist to find out the facts for the guilt or innocence. Forensic scientists collect, analyze, and submit scientific evidence, but judges, prosecutors, and the police, who are mostly non-scientists, have no choice but to determine the probative value of evi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uch criminal justice practitioner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scientific evidence.

      • KCI등재
      • KCI등재

        변호인의 피의자 신문 참여에 대한 경찰 수사관의 경험과 인식 - 최근의 변화를 중심으로 -

        김면기 ( Kim Myeonki ),강소영 ( Kang Soyoung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3 No.1

        이제 피의자 신문 과정에서의 변호인 참여권은 확고히 보장받고 있지만, 변호인 참여권도 결코 ‘절대적’으로 보장받는 ‘무제한적’인 권리는 아니다. 변호인 참여권이 피의자 신문 과정을 부당하게 저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고, 형사사법제도의 목적 달성과도 조화롭게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변호인 참여제도의 운영 실태를 평가하고, 수사관의 변호인 참여권에 대한 인식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변호인 참여권에 대한 경찰 수사관들의 경험과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다수의 수사관들은 2017년 이후 변호인 참여권과 관련된 변화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의 변화가 수사에 일부 제약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결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고,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감안하면 최근의 변호인 참여권 변화는 우리나라의 수사현실 속에서 나름 조화롭게 정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지적되어 왔던 변호인의 역할들을 보다 폭넓게 보장함과 동시에 수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최소화한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화의 방향이 합리적이라면, 상위 법령 등의 개정을 통해 변화의 토대를 보다 탄탄히 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Now,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is firmly guaranteed, but the right to counsel is by no means a ‘unlimited’ or ‘absolute’ right. This is because the right to counsel is not allowed to unfairly impede the process of interrogating the suspect, and it must be operated in harmony with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o this end,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and explore the investigator's awaren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olice investigators about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Most investigators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recent changes related to the right to counsel during the interrogation since 2017. And although the recent changes brought some restrictions on the investigation, it does not seriously impede the function of police interrogation, and it also accompanies greater positive effect.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ecent change of the right to counsel during interrogation has been harmoniously settled. This is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the roles of lawyer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so far, are guaranteed more broadly and at the same time, the negative impact on the investigation has been minimized. If the direction of such change is reasonab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 change through revision of higher-level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현행 헌법상 영장주의의 합리적 해석 및 운용방안 - 살아있는 헌법 (Living Constitution)의 시각에서 -

        김면기 ( Kim Myeonki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2 비교형사법연구 Vol.23 No.4

        헌법의 시대다. 헌법은 단지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들에서도 자주 원용된다 학문적·법적인 의미를 넘어 일상생활과 학교교육에서도 헌법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뜨거웠던 개헌 논의도 이와 같은 국민적 관심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987년에 개정된 현행 헌법은 결코 34년전의 빛바랜 문서가 아니다. 헌법은 역동적이다. 그렇다면 헌법해석도 역동적이어야 한다. 제정 당시의 문언에만 얽매여 있지 말고, 현세대(現世代)가 합리적인 헌법해석을 통해 헌법에 생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살아 숨 쉬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살아 있는 헌법(living Constitution)’의 정신이다. 현행 헌법상 영장주의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만큼은 이러한 접근이 긴요하다. 헌법 제12조 3항의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는 1) 헌법 연혁적 측면에서도, 2) 비교헌법적 측면에서도 3) 법현실적 측면에서도, 결코 정당성을 인정 받기 어렵다. 현실적으로 개헌의 장벽이 높다면, 국회 입법을 통해 충분히 ‘아홉글자’의 의미와 효력을 제한할 수 있다. 현행 형사소송법의 고등검찰청 영장심의위원회 제도를 현실화하고, 경찰영장검사의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It is the era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goes beyond just a symbolic meaning, and is often mentioned in socially important matters. The importance of the Constitu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everyday life and school education beyond academic and legal meanings. The heated debate over Korean constitutional amendment in recent year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such public interest. The current Constitution, amended in 1987, is by no means a faded document published in 35 years ago. The Constitution is dynamic. If s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also dynamic. The current generation should breathe life into the Constitution through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rather than being bound only by the language at the time of its enactment. It must be made alive. That is the spirit of the ‘living Constitution’. This approach is essential for the interpretation of warrant principle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Article 12 (3) of the Constitution, ‘by the prosecutor’s request’, is hardly ever justified in terms of 1) constitutional history, 2) comparative constitutional perspective, and 3) legal reality. Realistically, if the barriers to constitutional amendment are high, the meaning and effect of ‘nine letters’ can be sufficiently limited through legislation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justifiable to improve the current ‘Warrant Review Committee’ in High Prosecution Office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promote the introduction of police warrant prosecu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