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몽골 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 비교를 위한 ICALT 관찰도구 검증 연구

        천세영(Chun Seyeoung),Galindev Ulziisaikhan,김득준(Kim Deukjoon),Adiyasuren Amarjargal,김지은(Kim Jieu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몽골 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CALT 수업관찰도구를 활용하였으며 도구의 객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MG-CFA, Multiple Group Confirmative Factor Analysis)과 차별기능문항(DI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몽골 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은 동일한 요인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별기능문항에 관계없이 동일한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두 나라 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 영역(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 효율적 운영, 명료하고 구조화된 수업, 집중적이고 활발한 수업, 개별화 학습지도, 교수·학습전략)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한국 교사의 수업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e the teaching skill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secondary teachers in an scientific way by utilizing ICALT classroom observation tool. Multiple group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MG-CFA)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objectivity of tools. Results say that teaching skill of two countries’teachers is composed of the same factor structure, which supports comparison is possible regardless of some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By the resul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f teaching skill were found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teachers, the former higher than the latter in all six domains(SSLC, EO, CSI, IAT, AIPID, TLS) by ICALT framework.

      • KCI등재

        수업관찰 유형에 따른 수업전문성 요인 차이 분석: ICALT 수업분석 관찰도구 활용을 기반으로

        장순선 ( Soonsun Jang ),이옥화 ( Okhwa Lee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두 수업관찰 유형 간에 분석결과에 수업전문성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함이다. 두 가지 수업관찰 유형의 분석을 위해 수업전문성 분석도구인 ICALT를 활용하였다. ICALT 도구 사용법 훈련을 통해 검증된 수업관찰 전문가가 2016-2017년 충남, 충북, 대전, 경기도 울산지역에서 수집한 총 458건(동영상 관찰 103건, 직접 관찰 355건)의 수업분석결과를 대상으로 두 관찰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동영상 수업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관찰의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동영상 관찰의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제거되었던 ICALT 수업전문성 요소는 1 영역(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와 2 영역(효율적 운영 영역)은 모든 문항과 4영역(집중적이고 활발한 수업)의 3 문항, 3영역(명료하고 구조화된 수업분위기)과 6 영역(교수학습 전략)은 1 문항이었다. 반면, 수업 전문성의 난이도가 높은 5영역(학생 간 차이를 반영한 수업과 학습자 조절)의 경우는 모든 문항이 제거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업분석을 위한 동영상 녹화시 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와 효율적 운영, 집중적이고 활발한 수업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활동들이 포함되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고, 명료한 방식으로 수업내용을 제시하고 설명하고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이 동영상에 포함되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Many teachers are interested in enhancing their teaching skills and class observation is often used as the practice to meet their needs. There are two kinds of class observation: direct classroom observation and indirect class ob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se two observation shows differences in analysis of teaching skills. ICALT observation tool is used. Data of 458 cases (103 video observation and 355 direct class observation) was collected in 2016-2017 throughout Chungnam, Chungbuk, Daejeon, Kyunggi and Ulsan area.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proven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lass analysis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ing skills which were not grouped are domain1 (safe and stimulating learning climate), domain2 (efficient organization) and domain4 (intensive teaching). It is recommended that video taping for class requires caution for domain1,24 while still an item from domain 3,6 require also extra considerations.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이옥화 ( Okhwa Lee ),유민선 ( Minseon Yoo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완화를 위해 2020년도 4월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전국의 학교에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2020년 일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면서, 교사들이 보인 인식의 변화,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 새로운 교육적 기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전국의 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4월과 8월에 수집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고, 교사들과 면담을 하였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온라인 원격수업의 형태는 학기 초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을 포함하는 혼합형 수업이었으나, 학기말에는 콘텐츠 활용 수업으로 바뀌었다. 관심을 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도입은 학기 내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교사들은 콘텐츠 활용 수업이 온라인 원격수업의 장점을 잘 살리는 수업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원격수업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학기초에는 EBS 제공 동영상이나 교사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학기말에는 민간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직접 제작이 학생을 위해 좋다고 생각하나 학기 내내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지속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온라인 원격수업의 기술적 우려는 학기초와 비교해 학기말에는 크게 줄어들었다. 디지털 교과서나 다른 기술 사용은 용이성이 기술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교사들은 학기 초에 온라인 원격수업 운영의 큰 애로사항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부여 및 참여 유도와 같은 수업 활동을 꼽았고 이는 온라인 원격수업의 적응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교사들은 이로 인해 수업 전문성이 발현되기 어려웠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이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나오므로, 에듀테크를 통해 학사관리나 수업 운영을 지원받는 환경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비대면 수업 기간 동안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별학습으로 지원하여 교육격차를 완화시키는 기회로 삼는 창의적 적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been forced in 2020 April to alleviate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while experiencing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used two survey don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pril and August 2020,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distance learning, a “combined learning format” (including a content applied instructional model) was the most used, b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contents applied” format was most common.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though it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two way synchronous’ model was the least used in both surveys even it draws most of attention from interest groups. The contents mostly used were teacher produced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BS videos, but at the end private sector produced contents were the mostly used. Teachers recognize that teacher made video contents are effective but they were exhaus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o produce their own contents any more. At the beginning, teachers perceive how to motiv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online learning management as the most difficulty task for online instruction and it remained until the end of the semester. Teachers claimed that those difficulties prohibited teachers’ practice of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Teachers asked the support of EduTech to deal with instructional management and academic activities. Teachers recognized th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chools and showed creative adoption by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to release educational ga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