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 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 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Elbaz의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기본 틀로 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내용, 구조, 정향의 세 양상이 있다. 본 연구는 수업, 즉 교실 교육과정 실행 중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표현되는 구조와 형성 배경인 정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기본적으로 개별적이지만 획일적 국가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우리 교육 상황에서 교사 간 공유 요소가 많으리라는 전제에서 그것을 개인적 측면과 집단적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개인적 측면과 집단 측면의 탐구는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적 연구 방법이 적절하다. 연구 문제는 크게 다음 세 가지이다; 1)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개인적, 집단적 측면에서 무엇인가? 2)특정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의 정향은 무엇인가? 3)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의 정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단원 범위 수업 내용으로 축소하여 탐구했다. 이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내용 특수적(content-specific)이라 기존 연구들처럼 교과 범위로 확대함은 문제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4학년 P 교사의 경제 단원 수업을 1 개월간(총 14차시) 참여 관찰하고 인터뷰하여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을 분석했으며,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기초로 집단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동일한 4학년 교사들로부터 응답을 받아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의 집단 경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초등 4학년 경제 대단원에 대한 P 교사의 4개의 이미지, 10개의 실천적 원리, 30 개의 실천의 규칙들을 도출했으며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도 분석했다.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 및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 또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TPK) in Korea`s educational context. According to Elbaz(1983), the structure of TPK is expressive aspect of image, practical principle, or rule of practice through teacher`s behavior or language while orientation of TPK is the way that TPK is held though those such as experience, situation, or theory. TPK is teacher`s "theory" or knowledge form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classroom situations and solving practical dilemmas in relation to teaching.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 of TPK in Korea has shown two weak points: (1) TPK studies have been sought in terms of either individual teachers or common aspects of teachers, and (2) TPK studies have dealt with too wide range of instructional contents. The current study tried to improve the two weak points: it has sought TPK focused on TPK`s collective aspects as well as individual aspects. It also focused on a uni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ead of a wide range of instructional contents like a subject area. An elementary teacher was selected and her classroom instructions for a unit of 4th grade social studies were observed for a month. She was also interviewed in relation to the instructions and her educational beliefs. As a result from the analysis of instruc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4 images, 10 practical principles and 30 rules of practice were drawn. Based on the structure of selected teacher`s TPK, an instrument to ask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it by collective teachers was made and administere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rule of practice between TPK of the selected teacher and that of collective teachers. However, there were common elements of TPK-images and practical principles-between them. Orientations of selected teacher`s TPK and those of collective teachers were different though. Discussions are made in view of individuality of TPK among teachers, linkage of TPK structure, orientation of TPK, and educational validity of TPK on the basis of study`s findings. Finall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education general, teacher education policy, and future studies together with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이론의 다양성과 한국적 선택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의 이론들을 분류하고 그 핵심 쟁점을 논의하고,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이론 탐구의 가능한 선택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이론을 크게 합리적 · 과학적 이론, 비판적 이론, 해석적 이론, 숙의적 이론으로 분류하고 각 범주별 대표적인 이론가 주장의 주요 쟁점을 논의했다. 합리적·과학적 이론가로는 F. Bobbitt 외 3인이, 비판적 이론가로는 M. Apple 외 7인이, 해석적 이론가로는 D. Huebner 외 6인이, 숙의적 이론가로는 J. Schwab 외 2인이 선정되었다. 합리적·과학적 이론의 Bobbitt는 최초로 전통적인 교과 대신 사회의 직업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Tyler는 학교 교육 목표의 자원을 교과, 사회, 학습자로 확대하고 맥락에 따라 개방적인 교육 목표를 제안한다. 비판적 이론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그 뿌리인 Marx 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쇠퇴의 길을 걷다가 J. Whitson의 모순적인 목소리의 포괄이라는 의미의 “헤테로그로시아”로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인에 초점을 두는 해석적 이론은 외부의 교육 목적보다 개인의 자유와 가치 있는 교육 활동의 탐구에 중점을 둔다. 숙의적 이론은 숙의를 지식과 가치와 의사결정의 실천을 연합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우리나라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능한 교육과정 탐구의 방향을 외래 교육과정 이론의 우리 상황에의 재 맥락화, 토착적 교육과정 이론의 전개 등의 두 가지로 제안한다. The study aimed to classify and discuss major school curriculum theories and to make possible choices for curriculum inquiries for Korea`s curriculum researchers. Major curriculum theories were classified as rational-scientific theory, critical theory, hermeneutical theory, or deliberative theory. Bobbitt made use of society as a curriculum source for the first time. Task analysis was the method that he used to develop curricula. Tyler drew educational purpose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subjects, learners, and society. New developments of critical theories, such as popular culture, border pedagogy, new literacy, ecological crisis, and peace education, appeared after cultural reproduction or resistance theories became weak. Whitson`s heteroglossia, the inclusion of conflicting voices, activated weakened critical theories. Hermeneutical theories, which focus on individual students, emphasize individual freedom and value educational activities. Deliberative theories, originally based on Schwab`s work, suggest that deliberation is ideal as a methodology to make full use of knowledge, moral values, and decision-making together. The researcher finally proposes two possible choices for curriculum inquiries Korea`s curriculum researchers, 1) recontextualization of current theories to Korea, and 2) Korea`s own curriculum inquiries about its particular curriculum.

      • KCI등재

        뇌 과학: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fMRI, PET와 같은 스캔닝 기법의 발달로 최근 뇌 과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뇌 과학 분야의 연구는 교육학 분야 연구와는 거의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교육학자로서 지금까지의 뇌 과학 분야의 주요한 연구 성과와 그 교육적 원리들을 검토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참으로 어렵고 방대하였지만, 교육과 교육과정에 의미를 지니는 뇌 과학 분야의 주요한 연구 결과들이 뇌의 구조와 기능, 학습과 기억, 그리고 뇌의 발달 등의 견지에서 정리 되었다. 다음으로, 뇌 과학의 연구 결과 중 교육에서 응용될 수 있는 원리로 다섯 가지가 추출되었다. 첫째, 뇌의 각 기관들은 연결하여 상호작용을 하며 정보는 병렬적으로 처리된다. 둘째, 학습은 점증적·누적적이며 철저하게 경험 기반적이다. 셋째, 거울 뉴런을 통해 인간은 다른 인간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모방하거나 공감하고, 또한 그 행동의 의도도 알 수가 있다. 넷째, 인지와 정서 과정이 다양한 수준에서 뇌에서 통합된다. 마지막으로, 훌륭한 아이디어는 태생적으로 타고 난 뇌의 능력에서 나온 것이 아니고, 환경에 적응해 새롭게 창의적으로 신경 회로를 연결할수 있는 뇌의 유연성(plasticity)에 의해 만들어진다. 뇌 과학 연구 결과가 교육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들이 도출되었다. 대표적인 것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뇌 과학과 교육학은 상호 활발한 교류를 통해 그 간극을 메워 학교 교육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야 한다. 2) 위계성을 가정한 교육 이론과 실천은 재검토 되어야 한다. 3) 난독증의 치료는 지능이나 동기 문제와는 다른 신경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4) 수학 학습은 뇌의 특정 영역을 활용하여 기억 재생을 하는 암기 위주보다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수학 전략 학습이 위주가 되어야 한다. 5) 개인적 뇌 발달에 초점을 둔 학습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6) 학교 교육과정은 학습 경험이 반복되고 정교화 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7) 정서는 교수·학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Brain science(BS) has recently been an active research area thanks to scanning technology such as fMRI or PET. The BS and the science of education have worked separately. The science of education should reorganize its frameworks and contents in reference to the BS and search for the implications of BS` findings. The current study aimed to seek: 1) main research findings of BS, 2) to draw educationally applicable "bridge" principles from BS, and 3)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general and the school curriculum of BS.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BS have been summarized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human brain and its functions, mechanism of memory and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brain and its cells. In the educational principles drawn from BS are included: 1) information in the brain is processed in parallel instead of in linear fashion, and 2) emotion and cognition are integrated on various levels in the brain. Various Implications for education general and school curriculum of BS were discussed including: 1) BS and education should mutually cooperate in their research in order to meet gaps between them, 2) the educational theories which assume hierarchy in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changed in reference to the finding of BS research, 3) various subjects integrating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should be constructed, and, 4)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primarily in all instructional situ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Phenacyl Bromide와 置換아닐린類와의 反應에 關한 反應速度論的 硏究

        여수동,김두정,Soo-Dong Yoh,Doo-Jung Kim 대한화학회 1981 대한화학회지 Vol.25 No.6

        페나실브로미드와 치환아닐린류와의 반응속도를 메탄올과 DMF중에서 전기전도도 법으로 측정한 결과 반응속도는 치환기의 전자를 주는 능력이 강할 수록 빨랐으며, 메탄올 속에서 보다 DMF 속에서 더 빨랐다. ${\delta}H^{\neq}$와 ${\delta}S^{\neq}$ 사이에서는 등속 관계가 성립하였으며, 이때 등속 온도는 메탄올에서는 $539^{\circ}K$, DMF에서는 $400^{\circ}K$ 였다. 그러나 p-니트로 아닐린은 용매효과 때문에 직선에서 벗어났다. $Br{\o}nsted$ plot의 경우 메탄올과 DMF에서 log k = 0.57p$K_a$-1.28 (r = 0.996) in MeOH at $45^{\circ}C$; log k = 0.65p$K_a$-0.88 (r = 0.970) in DMF at $45^{\circ}C$,로서 좋은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Hammett${\sigma}$ 도시 결과 이 반응은 아닐린의 친핵치환 반응이었으며, 다음의 식이 얻어졌다. log k/$k_0$ = -2.00${\sigma}$ + 0.06 (r = 0.985) in MeOH; log k/$k_0$ = -2.22${\sigma}$ + 0.08 (r = 0.995) in DMF. 그리고 DMF에서 $4-NO_2$기가 직선에서 벗어났다. 이는 치환기에 의한 용매효과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반응의 치환기 효과는 전이상태에서 결합의 형성이 보다 우세한 $S_N2$ 메카니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결합의 형성은 DMF 용매에서 더욱 진행되고 있다. The rates and the activation parameters for the reaction of phenacyl bromide with substituted anilines in methanol and dimethylformamide were measured. The effects of substituted anilines were discussed. The rate of the reaction was increased with the electron donating power of substituent and showed larger value in DMF than in MeOH. The isokinetic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delta}H^{\neq}$ and ${\delta}S^{\neq}$, isokinetic temperature was 539 and $400^{\circ}C$ in MeOH and DMF respectively, but p-nitro aniline was deviated from linearity in both solvents caused by solvent effects. The excellent linear relationship between log k and p$K_a$ of substituted anilines was observed by following equation. log k = 0.57p$K_a$-1.28 (r = 0.996) in MeOH at $45^{\circ}C$, log k = 0.65p$K_a$-0.88 (r = 0.970) in DMF at $45^{\circ}C$. From the Hammett plot, this reaction was a nucleophilic displacement of aniline to phenacyl bromide and the following equation was obtained at $45^{\circ}C$. log k/$k_0$ = -2.00${\sigma}$ + 0.06 (r = 0.985) in MeOH; log k/$k_0$ = -2.22${\sigma}$ + 0.08 (r = 0.995) in DMF. Large deviation of p-nitro aniline in DMF is resulted from solvent effects too. From above results, the substituent effect of this reaction can be described as $S_N2$ mechanism and bond formation more proceeds in DMF relative to MeOH.

      • KCI등재후보
      • 역량기반 교수지원 체제 구축

        송명현(Song, Myung-Hyun),김두정(Kim, Doo-Jung)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문제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교수학습지원센터의 교수지원 체제를 체계화하고 역량기반 교수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교수자 생애주기별 교수지원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정책연구를 시작으로 2015년에는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진과 실무자 간 숙의가 진행되었다. 역량기반 교수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1차년도(2014)에는 선행연구 분석, 표적 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설문조사, 타 기관 자문을 통해 49개 역량요소로 이루어진 ‘C대학 교수자 맞춤 역량’ 을 도출하였다. 2차년도(2015)에는 연구진, 자문위원, CTL실무자로 이루어진 ‘TF’를 구성하여, 숙의를 통해, ‘CNU(C: Competence, N: Need, U: Underpin) Teaching System’을 완성하여 직급별 추천 프로그램 및 역량 기반 환류체제를 완성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수행되는 정책연구의 수행과정과 현장 적용을 위한 숙의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대학교수 역량향상을 위해 어떻게 교수학습지원센터의 교수지원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a professor support system in professor learning support center of the university and to build competency -based professor support system. The study of policy on ‘designing a professor support program throughout the different life stages of professors’ was started in 2014, followed by discussions and consultations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2015 in a bid to adopt it in on-site practices. In Year 1 (2014) for the project to build a competency-based professor support system, preliminary study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sultation with external institutions were conducted to come up with the ‘Competencies tailored to the professors of university C’ comprised of 49 competency elements. In Year 2(2015), a task force team that consists of researchers and CTL practitioners was formed and the ‘CNU(C: Competence, N: Need, U: Underpin) Teaching System’ was completed through consultations, which led to the completion of the recommended programs by position and the competency-based feedback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one to take a look at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olicy researches and consultations for on-site adoption and can be used as a material on how the professor support system in professor learning support center is operated to improve competencies among university professor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